1. 
여적 장례도 치르지 못하고 있지요. 이러다 해를 넘기지나 않을런지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그래서일까요. 요즘 들어 부쩍 조속한 해결을 촉구하는 행사들이 열리고 있습니다. 지난 18일에 열린 국민법정이 그러했구요. 19일에는 세계 각국의 평화운동가들로 이뤄진 ‘평화와 비폭력을 위한 세계행진단’이 현장을 방문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MB정부는 꿈쩍도 하지 않네요. 겨우 유족들을 만나 거짓 눈물을 흘릴 줄만 알고 말이죠.
 
2. 
정리해고를 막기 위해 파업을 벌였던 쌍용자동차 노동자들 가운데 2명이 자살을 시도했다고 합니다. 신문기사를 보니 한 분은 ‘경찰이 허위 자백을 강요했다’는 취지의 유서를 남겼구요, 또 다른 한 분은 정리해고 이후 심적 고통으로 괴로워하다 계속되는 경찰 조사에 생계마저 막막해지자 자살을 시도했답니다. 애당초 기술력만 빼돌릴 게 뻔한데도 쌍용자동차를 팔아넘긴 정부관료와 경영진은 여전히 그 자리에 앉아 있는데 말이죠.      
 
 <2006년도에 개정판이 나왔네요. 초판 발행 시 미비했던 점들이 보충됐구요. 별면 화보가 추가 됐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3.
한국전쟁이 우리 사회에 남긴 유산(遺産)으로는 뭐가 있을까요. 김동춘 샘(성공회대 사회과학부)은 이런 물음에 ‘전쟁이 사회 운영원리로 내재화되고 냉전적 정치경제 질서가 가장 철저하게 착근된 사회’라고 답합니다. 한마디로 우리 사회는 여전히 ‘전쟁’중이라는 겁니다. 그리고 김동춘 샘은 또 이런 이야기도 합니다. 이 ‘전쟁’ 중인 사회에서 힘없는 민중들은 끊임없이 목숨을 부지하기 위한 ‘피난’ 행렬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말입니다. 
 
 4.
용산참사 때도 그랬고 쌍용자동차 파업 때도 그랬습니다. 시시각각 전해지는 화면을 보고 있자니 이건. 그래요. 누가 이런 상황을 한마디로 표현하라 한다면, 주저 없이 ‘전쟁터’라 할만 했습니다. 다들 보셔서 아시겠지만 이 나라 공권력은 용산참사 농성자들과 쌍용자동차 노동자들을 마치 전쟁터에서 맞닥뜨린 ‘적’으로 간주하고 있는 듯했거든요. 그렇지 않다면야 어디 ‘여기 사람이 있어요.’라며 울부짖는 이들을 그리 무자비하게 대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노무현과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분향소에는 주저 없이 발길을 옮기면서도 용산 참사 현장은 애써 외면하는. 한 집 건너 비정규직 노동자가 있고 또 한 집 건너 정리해고자가 넘쳐나면서도 노동조합에는 거침없이 비난을 쏟아내는 국민들을 보고 있자니. 그래요. 우리 국민들은 자기 목숨 건사하기 위해 여전히 ‘피난’을 떠나고 있구나, 생각이 들었더랬습니다.    
 
5.
검찰이 용산참사 농성자 전원에게 중형을 선고했다고 합니다. 쌍용자동차 파업노동자들 가운데 이미 40여명이 구속된 상태이고 앞으로 30여명은 더 구속될 것 같다는 얘기들이 있는 걸로 봐선. 아무래도 모두 감옥살이를 각오해야 할 것 같은데. 혹 김동춘 샘이 쓴 <전쟁과 사회>의 분석틀로 보자면 ‘전쟁터’에서 ‘포로’로 붙들린 이들에게 이 정도 처분이면 오히려 과분하다, 말하는 사람들이 있을런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아무튼 이놈에 ‘피난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마냥 ‘피난’ 행렬에 뛰어드는 것 말고는 정말 할 수 있는 게 없는 건지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10/21 21:10 2009/10/21 21:10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