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곳곳에 현수막이 요란합니다. 이제 곧 지방선거니까요. 시장이든 도지사든, 지방의회든 교육감이든 꽤 짭짤한 보수와 각종 이권에 개입할 여지가 많아서인지(선거 뒤 뇌물 수수로 처벌 받거나 직을 잃는 사람이 한 둘이 아니니 그렇습니다.) 선거가 거듭될수록 나오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래서일까요. 한 동네에서도 각 당(黨)마다 나오는 후보들이 여러 명입니다. 현수막 가게가 때 아닌 호황인 이유지요.
 
2.
선거라는 것을 하고 나서부터 말입니다. 지금까지 표를 던진 사람이 당선이 된 경우가 있었나, 되돌아보면요. 6번의 대통령선거와 또 6번의 지방선거까지. 두 번의 교육감 선거만은 분명한데요. 나머지는 기억이 없습니다. 손에 무슨 신기라도 있는 건가요. 어쩌다 산 복권도 5등 한 번 안 되는 것처럼. 아니, 꼴등이나 안 하면 다행입니다. 개표방송 본지도 오래됐으니 더 말해 뭣하겠습니까.
 
3.
선거를 흔히 민주주의의 꽃이라고 합니다. 선거라도 제대로 하자며 피 흘리며 싸운 분들을 생각하면 당연히 그래야 하겠는데. 지난 경험으로는 선뜻 동의가 되질 않습니다. 물론 처음부터 승자독식 문제까지 생각했어야 했다고 하는 말이 아닙니다. 그땐 체육관 대통령 말고 우리 손으로 뽑아보자, 시장도 군수도 민의를 거스르지 말라는 의지를 반영한 것이었으니까요.
 
4.
국회의원은 한 선거구에서 한 명을 선출합니다. 경상도에는 이당, 전라도에는 저당, 충청은 이저당, 지역주의가 여전할 수밖에 없습니다. 광역의원과 기초의원은 한 선거구에서 한 명이나 두 명을 뽑습니다. 뭐 세 명, 많게는 네 명까지 의원이 되는 선거구도 있지만요. 그러니 늘 빨간 색 아니면 파란 무늬, 거대 양당만이 살아남게 됩니다. 1번과 2번. 기껏해야 3번 또는 4번. 그 이후는 그야말로 가뭄에 콩납니다.
 
5.
민주노동당이 처음 무상급식을 얘기했을 때 다른 정당들은 쳐다보지도 않았습니다. 기초연금도 그렇고 무상의료 역시 그랬습니다. 녹색당과 노동당이 내걸었던 기본소득은 또 어떻습니까. 지금은 그 누구도 허황되고 무책임한 공약이라며 대놓고 무시하진 못합니다. 선거연령을 낮추자는 것도 그렇고 핵발전소를 멈추자는 목소리도 헌법 개정안에 반영되고 고리 1호기는 아예 영구정지 되지 않았습니까.
 
6.
가만 생각해보니 찍은 사람이 당선되지 않아 기억이 없는 게 아닙니다.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아니 보수라고 자칭하는 이들이 처음 집권을 했던 10년 전쯤부터였을 겁니다. 더 이상 이대로 둬선 큰 일이 나도 여러 번 나겠다 싶은 겁니다. 그러니 어쩌겠습니까. 어차피 안 되는 사람보다는 저 사람은 꼭 떨어뜨려야 하니요. 늘 최선이 아닌 차악을 택하게 됐습니다.   
 
7.
그렇다고 민주정부라고 했던 때라고 뭐 크게 달랐겠습니까. 파병이다, FTA다, 비정규직법이다 해서 보수정권과는 얼마나 달랐나요. 하는 수 없어 다시 거리에 나서보았지만 달라지기는커녕. 이제 민주주의 사회가 됐으니 그런 ‘과격한 방법’은 버리고 선거로 의견을 표출하라는 점잖은 경고. 맞습니다. 우리 사회가 민주주의를 선거라는 제도에 가두는 순간부터 시작됐을지도 모릅니다.
 
8.
정당등록취소 요건을 완화했다는 얘기가 들립니다. 2번 국회의원 선거, 득표율이 1% 미만일 경우로 제한한답니다. 선심이라도 쓰듯 여야 합의로 ‘국회 헌법 개정 및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정치개혁소위원회’를 통과했다는데요. 4년 전, ‘득표율 2% 미만’이 위헌이라는 결정을 받아낸 소수정당들로서는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고. 벌써부터 다음 이름 준비해야 하는 건 아니지 모르겠습니다.
 
9.
선거구 분할은 거리낌 없이 자행되고 있습니다. 한 선거구에서 4인까지 뽑을 수 있는 곳을 반으로 쪼개 2명씩 뽑는다는 겁니다. 이럴 땐 어찌나 짝짜꿍이 잘 맞는지요. 물론 대구와 같이 한 당이 영구 집권하는 곳 얘기가 아닙니다. 서울과 같은 곳마저 4인 선거구가 모두 2인 선거구로 나눠졌으니 하는 말입니다. 이럴 거면 헌법 개정안에 ‘비례성’원칙은 왜 넣었는지 모르겠습니다.
 
10.
민주주의의 꽃은 선거가 아닙니다. 선거는 주기적으로 한 번씩 투표소로 사람들을 불러내는 대의민주주의일 뿐입니다. 하지만 그것마저도 1번이나 2번만을 강요하는 대의민주주의라면요. 다른 견해를 가졌다고 배제해버리거나 머릿수로 결정해버리겠다는 것이라면 말입니다. 맞습니다. 민주주의를 제도 안에 가두는 것도 모자라 차악을 강요하는 사표민주주의일 뿐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8/04/03 22:41 2018/04/03 22:41

지방선거가 두 달 남짓 않았습니다. 손바닥 뒤집듯 공약을 폐기하는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를 판가름할 수 있겠고. 여론조작에 증거조작까지, 연이어 터져 나온 국가기관들의 국헌문란도 있고. 대선 후 첫 선거니 중간평가는 아니라도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가 될 수 있겠으니 다들 사력을 다하겠지요. 하지만 돌아가는 모양새를 보니. 이건 뭐, 아직 본격적으로 선거운동이 시작된 건 아니라 해도. 지금으로선 재미없게 될 공산이 커 보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공약이야 좀 전에도 말했듯, 어차피 맨 위 대통령부터 손바닥 뒤집듯 하니 애초 별 관심들은 없는 것 같고. 선거 때만 나타나 90도 허리 굽혀 인사하는 토호세력들 사이에서 그래도 참신한 사람이 나올까 아무리 둘러봐도, 온통 번지르르한 이들만 득실득실하니 말입니다. 게다가 언제부터인가 정당이라곤 달랑 두 개만 남았더니만. 정작 대놓고 싸울 일이 터질 때는 슬금슬금 눈치들만 보더니.
 
적과 싸우다 빨갛게 돼버린 새누리당은 그렇다 쳐도. 애초 뚜렷한 청사진이나 내용도 없는 뜬구름 ‘개혁’을 외치다. 꼴랑 보수 양당의 품안에 들어간 ‘새정치’ 세력들이 한다는 일이 고작. 표를 의식해 써 넣었던 ‘공천’이니 ‘무공천’이니 하는 것을 가지고 이제 와 무슨 대단한 것 인양. ‘약속’을 지키겠다느니, 당이 망하니 번복해야 된다느니 갈팡질팡하다. 마치 국민들이 원해서 공약했던 것처럼 되묻는 꼴만 보이고 있으니 그렇습니다.
 
결국 방구 뀐 놈이 성내는 꼴이라고. 처음부터 그 놈의 ‘약속’이란 걸 안 지킨 쪽으로부터 호되게 공격만 당할 게 뻔하고. 모르긴 몰라도 선거 끝날 때까지 ‘너네가 먼저 약속을 안 지켰다’니, ‘새정치한다더니 약속이나 깨느냐’니로 서로 헐뜯기만 할 겁니다. ‘종북’이라는 프레임에 ‘약속’만이 더해졌으니. 잇따른 대선 공약 파기도, 국가기관의 국기문란도, ‘통일 대박’도 다 무슨 소용이냐 이겁니다.         
 
한때 국회의원을 10명씩이나 당선시키기도 했던 이들이 자중지란(自中之亂)으로 흩어진 건. 그동안 한 지붕 아래 두 집이 용케도 잘 어울려 살았었다 생각하는 게 속편합니다. 물론 그들이 좀 더 동거하면서 판을 더 크게 짰으면 좋았을 겁니다. 요 몇 번의 선거동안 ‘복지’ 논쟁이 붙었던 것도, 속내는 다르지만 어쨌든 ‘통일은 대박’이라는 말이 유행된 것만 봐도 그러니까요. 그러니 그들이 어떤 얘기를 하는지 다시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후세대에 돌이킬 수 없는 폐기물만 남기는 핵발전 정책을, 온 산하를 파내고 뚫고 닦아내는 일을 그만두자는 녹색당은 ‘정당해산’이라는 협박에도 굴하지 않고 다시 힘을 내고 있습니다. 주민투표와 주민소환 등 주민참정제도 전면 개선, 주민참여예산과 주민자치위원회 개선과 같은 공약을 내놓고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들어간 겁니다. 비록 많은 곳에서 이런 얘기를 들을 수는 없겠지만, 이보다 더 소중한 ‘약속’들이 또 어디 있겠습니까.
 
아침, 저녁으로 교차로마다 자기 몸만큼이나 큰 푯말을 목에 걸고 환한 웃음을 짓는 사람들이 하나, 둘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틀이나 선거일이 늘었다고 요란한 현수막도 곳곳에 내걸리고, 가증스런 웃음과 몸짓이 담긴 명함도 길거리에 너저분합니다. 하지만 보이는 건 온통 빨간색과 파란색 일색입니다. 언제는 ‘약속’을 지키기는 했나 싶은, 그들뿐이란 말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4/09 11:37 2014/04/09 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