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가 두 달 남짓 않았습니다. 손바닥 뒤집듯 공약을 폐기하는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를 판가름할 수 있겠고. 여론조작에 증거조작까지, 연이어 터져 나온 국가기관들의 국헌문란도 있고. 대선 후 첫 선거니 중간평가는 아니라도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가 될 수 있겠으니 다들 사력을 다하겠지요. 하지만 돌아가는 모양새를 보니. 이건 뭐, 아직 본격적으로 선거운동이 시작된 건 아니라 해도. 지금으로선 재미없게 될 공산이 커 보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공약이야 좀 전에도 말했듯, 어차피 맨 위 대통령부터 손바닥 뒤집듯 하니 애초 별 관심들은 없는 것 같고. 선거 때만 나타나 90도 허리 굽혀 인사하는 토호세력들 사이에서 그래도 참신한 사람이 나올까 아무리 둘러봐도, 온통 번지르르한 이들만 득실득실하니 말입니다. 게다가 언제부터인가 정당이라곤 달랑 두 개만 남았더니만. 정작 대놓고 싸울 일이 터질 때는 슬금슬금 눈치들만 보더니.
 
적과 싸우다 빨갛게 돼버린 새누리당은 그렇다 쳐도. 애초 뚜렷한 청사진이나 내용도 없는 뜬구름 ‘개혁’을 외치다. 꼴랑 보수 양당의 품안에 들어간 ‘새정치’ 세력들이 한다는 일이 고작. 표를 의식해 써 넣었던 ‘공천’이니 ‘무공천’이니 하는 것을 가지고 이제 와 무슨 대단한 것 인양. ‘약속’을 지키겠다느니, 당이 망하니 번복해야 된다느니 갈팡질팡하다. 마치 국민들이 원해서 공약했던 것처럼 되묻는 꼴만 보이고 있으니 그렇습니다.
 
결국 방구 뀐 놈이 성내는 꼴이라고. 처음부터 그 놈의 ‘약속’이란 걸 안 지킨 쪽으로부터 호되게 공격만 당할 게 뻔하고. 모르긴 몰라도 선거 끝날 때까지 ‘너네가 먼저 약속을 안 지켰다’니, ‘새정치한다더니 약속이나 깨느냐’니로 서로 헐뜯기만 할 겁니다. ‘종북’이라는 프레임에 ‘약속’만이 더해졌으니. 잇따른 대선 공약 파기도, 국가기관의 국기문란도, ‘통일 대박’도 다 무슨 소용이냐 이겁니다.         
 
한때 국회의원을 10명씩이나 당선시키기도 했던 이들이 자중지란(自中之亂)으로 흩어진 건. 그동안 한 지붕 아래 두 집이 용케도 잘 어울려 살았었다 생각하는 게 속편합니다. 물론 그들이 좀 더 동거하면서 판을 더 크게 짰으면 좋았을 겁니다. 요 몇 번의 선거동안 ‘복지’ 논쟁이 붙었던 것도, 속내는 다르지만 어쨌든 ‘통일은 대박’이라는 말이 유행된 것만 봐도 그러니까요. 그러니 그들이 어떤 얘기를 하는지 다시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후세대에 돌이킬 수 없는 폐기물만 남기는 핵발전 정책을, 온 산하를 파내고 뚫고 닦아내는 일을 그만두자는 녹색당은 ‘정당해산’이라는 협박에도 굴하지 않고 다시 힘을 내고 있습니다. 주민투표와 주민소환 등 주민참정제도 전면 개선, 주민참여예산과 주민자치위원회 개선과 같은 공약을 내놓고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들어간 겁니다. 비록 많은 곳에서 이런 얘기를 들을 수는 없겠지만, 이보다 더 소중한 ‘약속’들이 또 어디 있겠습니까.
 
아침, 저녁으로 교차로마다 자기 몸만큼이나 큰 푯말을 목에 걸고 환한 웃음을 짓는 사람들이 하나, 둘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틀이나 선거일이 늘었다고 요란한 현수막도 곳곳에 내걸리고, 가증스런 웃음과 몸짓이 담긴 명함도 길거리에 너저분합니다. 하지만 보이는 건 온통 빨간색과 파란색 일색입니다. 언제는 ‘약속’을 지키기는 했나 싶은, 그들뿐이란 말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4/09 11:37 2014/04/09 11:37
선거가 시작됐나, 싶었는데 그새 내일이 투표일입니다. 워낙에 선거운동 기간이 짧기도 하지만, 아무래도 대선을 앞둬서인가요. 각 정당들이 이전 선거 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로 선거를 치렀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한국에선 정당들이 인기를 잃으면 당 이름을 바꾼다”는 해외기사까지 나게 하는 두 거대 양당, 새누리당은 박근혜가 전면에 나서 총력전을 펼쳤고, 민주통합당 역시 MB정권 심판을 내걸고 ‘야권연대’까지 이뤘으니 말입니다. 게다가 직접 선거에 나오지도 않았는데도 연일 뉴스에 오르내리는 안철수까지, 아무래도 다들 이번 선거를 통해 다음 대선까지 어찌어찌해볼 생각들을 갖고 있었나 봅니다.
 
하지만 돌아가는 모양새, 아니 다 끝나가는 마당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짧게는 4년, 길게는 50년, 100년을 두고 우리 사회가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가를 놓고 치열하게 토론하고 싸우기는커녕 진흙탕 싸움만 하다 볼일 다 봤으니. 뭐, 새누리당이야 어차피 정책이라고 해봐야 공약(空約)에 불과한 말잔치에 불과하니 볼 것도 없었지만. ‘야권연대’라는 이름으로 뭉친 반MB 진영 역시 솔직하고 뼈저린 반성 없이 내건 ‘한미FTA폐기’ 주장에서 보듯 일단 표부터 얻고 보자는 속셈이 뻔히 보였고. 여론조사 결과를 놓고 봐도 정당이나 정책보단 인물을 보고 뽑겠다는 사람들이 많으니. 말이 좋아 인물이지, 또 ‘그 밥에 그 나물’들이 잔칫상에 올라올 것 같습니다.
 
그러니 요란스레 떠들어대는 선거 관련 뉴스에도 그닥 관심이 가질 않았고. 집으로 배달 온 공보물도 봉투만 겨우 뜯어내고 투표소 위치만 확인했다 뿐이지 거들떠도 안 봤는데요. 그나마 진보신당에서 낸 한 장짜리 공보물 “세상을 바꾸는 동행/희망을 현실로 만드는 정당투표”가 없었다면 그대로 쓰레기통으로 직행했을 겁니다. 지역구 후보자들이라고 해봐야 달랑 세 명, 그것도 꼴도 보기 싫은 새누리당, 민주통합당, 자유선진당 이렇게 셋인데다, 그나마 관심 갖고 지켜보고 있던 녹색당은, 혹시 빠진 거 아닌가 싶어 몇 번이나 뒤적거렸는데도 찾아볼 수 없었으니 말입니다.
 
해서 내일이 투표긴 하지만 녹색당 홈페이지도 가보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당.정책정보시스템에서 비례대표 선거공보 e-book도 다운받아 보고. 정당별 10대 공약이며 지역구 후보들 공약까지 쭉 훑어봤는데요. 느닷없이 이번 선거에서 정당투표는 통합진보당을 집중투표하기로 결정한 민주노총이 떠오르더군요. 국회의원 뺏지에 목매달아 신자유주의 세력과 손을 잡은 것도 눈꼴사나워 죽겠는데, 성폭력 사건 당사자를 비례후보로 내세운 것도 모자라, 남근 중심 성적 조롱에 환호하는 이들을 보며 우쭐대는 김용민까지 감싸고도는 통진당을 팍팍 밀어 주기로 한 민주노총이 말입니다.
 
내심 진보신당은 지지한다고 선언하진 않더라도 통진당을 꼭 짚어 투표하라고 하진 않겠지, 라고 생각했었는데. 그건 그래도 5년 넘게 한솥밥을 먹었다고 생각했던 사람이 가진 짝사랑이었나 봅니다. 물론 5년 전에도 설마 그러겠어, 하며 뒤통수를 맞았던 게 한 두 번이 아니어서 충격은 좀 덜하지만, 그래도 씁쓸함은 쉽게 지울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뭐 어쩌겠습니까. 새로운 시작은 늘 힘들고 어려운 일이며, 우직하게 제 길을 가는 것도 만만치 않은 걸 알면서도 그걸 하는 사람들이 있어 세상은 살만한 것인 걸요. 그러니 아무래도 내일 투표소에선 시간이 한참 걸릴 것 같습니다. 지역후보야 대충 1번과 3번을 빼고 찍으면 되겠지만. 정당투표, 11번과 16번 사이에서 말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4/10 13:26 2012/04/10 1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