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박완서의 유년기는 해방과 한국전쟁이라는 격동의 한국 현대사 속에서 보냈습니다. 그 이야기는 "순전히 기억력에만 의지해서" '장편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 온전히 다 그려져있구요. 후편 격이라 할 수 있는 <그 산이 정말 거기에 있었을까>와 함께 읽으면 작가의 말처럼 "자료로서 정형화된 것보다 자상하고 진실 된 인간적인 증언"을 올곧게 마주할 수 있으니 꼭 소설이라고만 할 수 없겠습니다. 그러니 스스로 '자화상'과 같은 글이라고 밝히고 있음에도 어린 박완서가 겪은 혼란과 파탄은 동 시대를 살아왔던 모든 이들의 아픔입니다. 물론 좌익에 몸담기도 했던 오빠가 마주해야 했던 참혹함 역시 그렇습니다.
 
오빠는 거의 한 트럭분은 됨직한 죄수들을 거느리고 돌아왔다. 죄수라고 했지만 머리를 빡빡 깎고 죄수복을 입고 있어서 그렇게 부른 것이지, 그들의 표정은 훈장을 주렁주렁 단 개선장군보다 더 당당하고 위엄과 영광에 넘치고 있었다. 그들에 비해 평상복을 입은 오빠가 되레 자기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하나도 이해 못하는 사람처럼 맹하니 무표정했다. 그들 중 하나가 댓돌 아래서 역시 표정이 바랜 채 우두망찰하고 서 있는 엄마를 사뿐히 안아올려 좌정을 시키고 큰절을 하자 모두 따라했다. 엄마도 그제야 그를 알아보고 그의 손을 잡고 그간의 고생을 위로했지만 한번 바랜 핏기는 돌아오지 않았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박완서, p. 238
 
우두망찰하다: 갑자기 닥친 일에 정신이 얼떨하여 할 바를 모르다.
 
처음엔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는 반응들이었습니다. 하지만 곧 공천파동과 "0박"논란이 참패를 불렀다는 얘기가 나오고. '정권 심판론'이 '국회 심판론'을 우세했다는 주장, '호남홀대론'이 3당을 만들었다는 말들이 넘쳐납니다. 이유야 어찌됐건 총선 결과는 여소야대(與小野大),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의 일방독주에 대한 일침입니다. 하지만 갑자기 닥친 일에 정신이 얼떨하여 할 바를 모르고 있는 새누리당은 그렇다 쳐도. 더불어민주당이나 국민의당, 정의당들은 대체 뭡니까. 아무리 20대 국회가 개원하지 않았다고 해도 말이지요. 댓글이나 다는 국정원에 무소불위 권력을 쥐어준 법도 폐기해야 하고. 세월호 진실을 건져내기 위한 법도 개정해야 하는데. 아니 전경련에 청와대, 국정원까지 연루됐다는 의혹이 연일 제기되고 있는 '어버이연합게이트'를 철저히 파헤쳐야 하는데 그저 우두망찰하고만 있으니요. 그러니 말입니다. '불통' 대통령은 여전히 제 갈 길을 가는 것이겠고요. 국정원은 법 위에 군림하려는 것이겠지요. 밤새 개표방송을 보며 맘 졸였던 국민들, 풀리던 속이 다시 타들어갑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6/05/11 11:56 2016/05/11 11:56
선거가 시작됐나, 싶었는데 그새 내일이 투표일입니다. 워낙에 선거운동 기간이 짧기도 하지만, 아무래도 대선을 앞둬서인가요. 각 정당들이 이전 선거 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로 선거를 치렀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한국에선 정당들이 인기를 잃으면 당 이름을 바꾼다”는 해외기사까지 나게 하는 두 거대 양당, 새누리당은 박근혜가 전면에 나서 총력전을 펼쳤고, 민주통합당 역시 MB정권 심판을 내걸고 ‘야권연대’까지 이뤘으니 말입니다. 게다가 직접 선거에 나오지도 않았는데도 연일 뉴스에 오르내리는 안철수까지, 아무래도 다들 이번 선거를 통해 다음 대선까지 어찌어찌해볼 생각들을 갖고 있었나 봅니다.
 
하지만 돌아가는 모양새, 아니 다 끝나가는 마당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짧게는 4년, 길게는 50년, 100년을 두고 우리 사회가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가를 놓고 치열하게 토론하고 싸우기는커녕 진흙탕 싸움만 하다 볼일 다 봤으니. 뭐, 새누리당이야 어차피 정책이라고 해봐야 공약(空約)에 불과한 말잔치에 불과하니 볼 것도 없었지만. ‘야권연대’라는 이름으로 뭉친 반MB 진영 역시 솔직하고 뼈저린 반성 없이 내건 ‘한미FTA폐기’ 주장에서 보듯 일단 표부터 얻고 보자는 속셈이 뻔히 보였고. 여론조사 결과를 놓고 봐도 정당이나 정책보단 인물을 보고 뽑겠다는 사람들이 많으니. 말이 좋아 인물이지, 또 ‘그 밥에 그 나물’들이 잔칫상에 올라올 것 같습니다.
 
그러니 요란스레 떠들어대는 선거 관련 뉴스에도 그닥 관심이 가질 않았고. 집으로 배달 온 공보물도 봉투만 겨우 뜯어내고 투표소 위치만 확인했다 뿐이지 거들떠도 안 봤는데요. 그나마 진보신당에서 낸 한 장짜리 공보물 “세상을 바꾸는 동행/희망을 현실로 만드는 정당투표”가 없었다면 그대로 쓰레기통으로 직행했을 겁니다. 지역구 후보자들이라고 해봐야 달랑 세 명, 그것도 꼴도 보기 싫은 새누리당, 민주통합당, 자유선진당 이렇게 셋인데다, 그나마 관심 갖고 지켜보고 있던 녹색당은, 혹시 빠진 거 아닌가 싶어 몇 번이나 뒤적거렸는데도 찾아볼 수 없었으니 말입니다.
 
해서 내일이 투표긴 하지만 녹색당 홈페이지도 가보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당.정책정보시스템에서 비례대표 선거공보 e-book도 다운받아 보고. 정당별 10대 공약이며 지역구 후보들 공약까지 쭉 훑어봤는데요. 느닷없이 이번 선거에서 정당투표는 통합진보당을 집중투표하기로 결정한 민주노총이 떠오르더군요. 국회의원 뺏지에 목매달아 신자유주의 세력과 손을 잡은 것도 눈꼴사나워 죽겠는데, 성폭력 사건 당사자를 비례후보로 내세운 것도 모자라, 남근 중심 성적 조롱에 환호하는 이들을 보며 우쭐대는 김용민까지 감싸고도는 통진당을 팍팍 밀어 주기로 한 민주노총이 말입니다.
 
내심 진보신당은 지지한다고 선언하진 않더라도 통진당을 꼭 짚어 투표하라고 하진 않겠지, 라고 생각했었는데. 그건 그래도 5년 넘게 한솥밥을 먹었다고 생각했던 사람이 가진 짝사랑이었나 봅니다. 물론 5년 전에도 설마 그러겠어, 하며 뒤통수를 맞았던 게 한 두 번이 아니어서 충격은 좀 덜하지만, 그래도 씁쓸함은 쉽게 지울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뭐 어쩌겠습니까. 새로운 시작은 늘 힘들고 어려운 일이며, 우직하게 제 길을 가는 것도 만만치 않은 걸 알면서도 그걸 하는 사람들이 있어 세상은 살만한 것인 걸요. 그러니 아무래도 내일 투표소에선 시간이 한참 걸릴 것 같습니다. 지역후보야 대충 1번과 3번을 빼고 찍으면 되겠지만. 정당투표, 11번과 16번 사이에서 말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4/10 13:26 2012/04/10 13:26
여․야 모두 잰걸음입니다. 결국 공주가 앞장선 딴나라당에서부터 지도부 선출을 위해 전국을 도는 민주통합당까지 말입니다. 아, 일찌감치 공동지도부 선출을 마친 통합진보당에 홍세화를 대표로 내세워 철지부심하고 있는 진보신당도 빠질 순 없지요. 마치 한 몸인 양 ‘인적쇄신’이니 ‘물갈이’를 말하고, 너도나도 ‘소통’과 ‘서민’을 외치니. 이만하면 눈이 번쩍 뜨고 귀가 활짝 트는 일도 생길법도 한데. 그도 그럴 것이 20년 만이라지요. 국회의원 선거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는 해이니 말입니다. 부디 꼴통은 제일 먼저 제쳐놓고, 짝퉁 ‘진보’도 잘 가려낸다면. 또 입만 바른 소린 이미 여러 번 겪었으니 다시 속지 말고 허황된 장밋빛 그림에도 현혹되지 않는다면. 혹시 또 모르지 않겠습니까. 모두가 행복한 사회, 평화로운 사회를 향한 계단을 두 계단쯤은 훌쩍 오를 수 있을지 말입니다.
 
통터지다: 여럿이 한꺼번에 냅다 쏟아져 나오다     
 
안철수 바람에 공주가 나섰습니다. 이대론 안 되겠다, 싶었나봅니다. 불법선거 꼬리 자르기부터 카카때리기까지, ‘물갈이’와 ‘인적쇄신’, 가만 보고 있으니 개과천선이라도 하는 것처럼 요란은 합니다. 하긴 곧 있으면 총선이고 또 얼마 안 있어 대선인데 시늉은 해야겠으니 그렇겠지요. 허나 그렇다고 해서 20대를 대변한다고 데려온 작자만 봐도 뻔 하듯. 아무리 통터져봐야 그 밥에 그 나물이 아니겠습니까. 그러니 제발 이번만큼은 ‘속지말자 딴날당 다시보자 공주’를 새기고 또 새겨야겠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짝퉁 ‘진보’에게 몰아주잔 건 더더욱 아닙니다. 선거 때만 말고 정말 평소에도 잘하는 정당, 사람을 찾아보잔 얘깁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1/04 16:54 2012/01/04 1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