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넘어 산이라고 했나요. 이번엔 반드시 절단 내야겠다고 덤벼드는 것을 보니. 앞길이 험난하기 그지없어 보입니다. 뭐, 애당초 금뺏지 달아보겠다고 뭉친 이들이라 거들떠도 안 봤고, 온갖 의혹이 제기되는 터라 마땅치 않게 보고 있었는데. 가만 보아하니 이건. 사상검증에 빨간색 칠하기는 기본이요, 제명하겠다는 얘기까지 나오는 마당이니. 기가 막혀 말이 다 나오질 않고 있는데. 나 참, 산 넘어 산이라고 했나요. 세상에 어느 나라에서도 이런 일은 없을 겁니다. 공당(公黨)의 당원명부를 압수수색해 가져간다니요. 기가 막혀 나오지 않던 말이 다 나올 지경입니다. “이런 C足”

 

물론 영장을 발부한 법원도, 전광석화처럼 도둑질해간 검찰도, 옳지 이때다, 원, 투 스트레이트에 훅, 어퍼컷. 잽싸게 치고 들어오는 조.중.동을 위시한 꼴통들까지 죄다 어찌하고 싶지만 말입니다. 대체 탈당한 당원 명부까지 고이 간직하고 있던 구(舊) 민주노동당은 뭐랍니까. <개인정보보호법>은 거들먹거리지도 않겠습니다. 당이 쪼개진 게 언제고 다시 딴 살림 차린 게 또 언젠데. 옛날 당원들 신상정보까지 왜 갖고 있었던 겁니까. 개인정보가지고 장사하려고 했던 건 아닐 터이고. 당원 부풀리기 하려고 했던 건 더욱 더 아닐 터인데 말입니다. 다시 기가 막혀 말이 안 나옵니다.

 

검찰청에서 농성하는 것, 당연히 해야겠지요. 정치탄압으로 규정해 싸우는 것도 또 당연히 해야 합니다. 외부 유출은 없다, 란 검찰 말을 곧이곧대로 믿어서도 안 되고, 법원과 검찰이 저지른 ‘정치사찰’을 그냥 넘어가서는 안 된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말입니다. 그와 함께 해야 할 일이 하나 있습니다. 통합진보당이 갖고 있었던 당원 명부로 인해 피해를 고스란히 받게 될지도 모를 구(舊) 당원들에게 말입니다. 왜, 어떤 이유로 명부를 갖고 있었는지 소상히 밝혀야 한다는 겁니다. 그리고 당연 사과도 해야 하지요. 어이 없이 털린 ‘정치의 자유’, ‘결사의 자유’를 어떤 식으로든 책임져야 한다는 말입니다. 솔직히 지금 돌아가는 모양새를 보니 어물쩍 넘어갈 것 같기도 한데. 이번 일을 어떻게 처리하나 가만 지켜보겠습니다. 검찰이 가져갔다고 해서 탈당한 당원 명부를 가지고 있었다는 일은 그냥 넘어갈 수 없으니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5/25 09:54 2012/05/25 09:54
여․야 모두 잰걸음입니다. 결국 공주가 앞장선 딴나라당에서부터 지도부 선출을 위해 전국을 도는 민주통합당까지 말입니다. 아, 일찌감치 공동지도부 선출을 마친 통합진보당에 홍세화를 대표로 내세워 철지부심하고 있는 진보신당도 빠질 순 없지요. 마치 한 몸인 양 ‘인적쇄신’이니 ‘물갈이’를 말하고, 너도나도 ‘소통’과 ‘서민’을 외치니. 이만하면 눈이 번쩍 뜨고 귀가 활짝 트는 일도 생길법도 한데. 그도 그럴 것이 20년 만이라지요. 국회의원 선거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는 해이니 말입니다. 부디 꼴통은 제일 먼저 제쳐놓고, 짝퉁 ‘진보’도 잘 가려낸다면. 또 입만 바른 소린 이미 여러 번 겪었으니 다시 속지 말고 허황된 장밋빛 그림에도 현혹되지 않는다면. 혹시 또 모르지 않겠습니까. 모두가 행복한 사회, 평화로운 사회를 향한 계단을 두 계단쯤은 훌쩍 오를 수 있을지 말입니다.
 
통터지다: 여럿이 한꺼번에 냅다 쏟아져 나오다     
 
안철수 바람에 공주가 나섰습니다. 이대론 안 되겠다, 싶었나봅니다. 불법선거 꼬리 자르기부터 카카때리기까지, ‘물갈이’와 ‘인적쇄신’, 가만 보고 있으니 개과천선이라도 하는 것처럼 요란은 합니다. 하긴 곧 있으면 총선이고 또 얼마 안 있어 대선인데 시늉은 해야겠으니 그렇겠지요. 허나 그렇다고 해서 20대를 대변한다고 데려온 작자만 봐도 뻔 하듯. 아무리 통터져봐야 그 밥에 그 나물이 아니겠습니까. 그러니 제발 이번만큼은 ‘속지말자 딴날당 다시보자 공주’를 새기고 또 새겨야겠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짝퉁 ‘진보’에게 몰아주잔 건 더더욱 아닙니다. 선거 때만 말고 정말 평소에도 잘하는 정당, 사람을 찾아보잔 얘깁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1/04 16:54 2012/01/04 1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