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1.
일본에서 아톰이 처음 흑백 애니메이션 영화로 제작됐던 1963년은 발전시험로 및 원자력 발전에 성공한 해입니다. 그 후 컬러텔레비전 애니메이션으로 리메이크 됐던 1982년은 1971년부터 가동되기 시작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 이어 제2발전소가 가동을 시작한 해이기도 합니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다카하다 이사오와 함께 제작한 코난이 NHK에서 방영되기 시작한 1978년은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핵확산금지법을 개정한 해입니다. 이로 부터 일본은 미국의 새로운 행정부와 핵연료폐기물을 재처리하는 공장 건설을 위한 협의를 시작했고, 1993년 착공을 하게 됩니다.
 
2.
아톰은 핵분열에서 나오는 에너지로 움직이는 로봇입니다. 1945년 히로시마와 나카사키에 떨어진 핵폭탄의 위력이 채 가시기도 전에 아톰이 등장한 겁니다. 패전 후 국가를 다시 일으켜 세워야 하는 일본인들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끝임 없이 고민하면서 사랑과 우정, 용기를 북돋우는 주인공이 역설적이게도 핵에너지였던 셈입니다.
 
반면 코난은 “그때 남아돌아가는 에너지를 가지고 멋대로 놀아난 결과가 그 대변동을 일으킨” 이후에 살아남은 세대들 이야기입니다. 다시 “하늘에서 빛나는 태양의 은혜로 대지와 바다는 식물을 키우고 동물을 기른다. 인간은 그 자연 속에서만 마음 편히 살아갈 수 있는” 시대로 돌아간 포비와 라나, 코난이 펼치는 모험 이야기인 겁니다.
 
3.
에너지 고갈과 기후온난화에 시대에 우리나라가 채택한 대응은 핵에너지입니다. 발전과정에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라는 것이 그 이유라는데. 우라늄이라는 광물 역시 무한정 묻혀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그것을 채굴, 농축, 운송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화석연료와 그에 따른 탄소배출은 뭐랍니까.
 
아직까지도 처리방법을 정하지도, 정할 수도 없는 핵폐기물들은 또 어떻게 하려는지요. 더구나 핵으로 망했으나 핵을 포기하지 않았던, 그리해 되레 그 핵으로 전세계를 공포에 몰아넣었던 나라가 바로 가까이에 있습니다. 그러니 핵 말고 다른 대안이 분명 있음에도 고집하는 이유는 혹 다른 데 있는 건 아닐까요.
 
4.
<아톰의 시대에서 코난의 시대로>는 글쓴이가 과학전문 ‘기자’인 덕에 가능한 쉽게 에너지 문제에 접근하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아톰의 시대’를 지탱하고 있는 화석, 핵에너지의 고갈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제기이자 석유 없는 세상 즉, ‘코난의 시대’를 서둘러 준비하자는 건데요. 결코 만만치 않은 두께임에도 하룻밤 사이 다 읽었으니까요.
 
물론 책에는 최근에 등장하는 이슈들도 빠지지 않고 있습니다. 석유정점을 둘러싼 쟁점과 바이오디젤, 바이오매스, 풍력 등 지속가능한 에너지들이 어느 나라, 도시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말입니다. 덧붙여 각 장이 끝나는 곳마다 추천 도서들이 소개돼 있습니다. 꽤 많은 책들이지만 더 깊은 고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니 꼭 참고해야겠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5/06/07 20:54 2015/06/07 2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