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강의는 작물 재배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주제에 따라 강사가 바뀌는 탓도 있겠지만, 앞쪽에 이런 내용을 먼저 하는 게 좋았을 법한 내용들이다.
 
▶ 식물재배 이것은 알고 농작물을 관리하자
: 뿌리 ⇒ 호흡 / 잎 ⇒ 광합성
 
<잎: 광합성>
: 빛 에너지 → 화학에너지
  
     빛
 
O2 (산소) → 기공을 통해 배출
 
      ↓
 
 
     H2O

 

H + H + O
CO2 (기공에서 흡수)
      ↓
 
     전자생산
 
NADP와 결합
+
      ↓ (FeS가 운반)
 
 
     ADP와 결합
ATP →→→→→
+ 소비(호흡, 생장 등 이용)
 
 
 
↓ ↗ 이동(K)
 
 
 
“당” 생산
 
 
 
↘ 이동(K)
 
 
 
저장(저장기관, 전분, 유분으로 전환
 
* 당의 이동
- 엽록소에서 광합성 작용으로 당 생산
- 잎 속에서 당이 가득차면(창고) 스스로 광합성 작용을 하지 않음 ⇒ 당의 이동이 필요함
광합성 작용 ⇒ 당 생산 ⇒ 당 이동 ⇒ 광합성 작용(당 생산)
- 저장기관(열매 등)의 비대기에 원활한 이동을 위해 이동물질(K, Mg)의 보충이 필요(이삭거름, 옆면살포 등)
 
* 광의 이용도를 높이는 방법
- 적정 잎의 확보
- 잎이 공간적으로 균일하게 배치
- 검고 두껍게: 엽록소 함량을 많이 만들 것
- 크기: 크게 만들 것(햇빛을 받을 수 있는 면적을 많이 확보)
- 잎자루는 짧은 것이 좋음
 
<뿌리: 호흡>
* 식물체의 질소 흡수 및 단백질 생성 원리
  
 
암모니아가스
 
아질산가스
질산균
 
 
 
 
 
 
 
  요소태 질소[(NH2)2 CO]: 요소태 → 암모니아태(NH4) → 아질산(NO2-) → 질산(NO3-) → 식물흡수
 
 
 
 
 
 
 
 
미생물 분해
 
아질산균
 
질산균
 
 
 
 
     NO3- ⇒           NO2 ⇒                 NH4+ ⇒            아미노산        ⇒     단백질
 
 
 
 
 
 
호흡에너지
호흡에너지
호흡에너지
아미노산 결합
                                                                                                                      
* 생육과 뿌리
- 생육 촉진: 뿌리는 상대적으로 약함(탄질비에서 질소 함량이 높아지는 것이 원인으로 추측)
- 생육 억제: 뿌리 생육 촉진(지상부 생육이 억제되면서 당의 지하부 전류가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측)
 
* 친환경 “병” 예방
- 햇빛(광) 부족: 광 보충을 위해 티타늄(광 증폭 효과) 활용
- 토양 내 영양분(비료) 불균형: 토양 검정에 의한 적정시비, 뿌리가 잘 자랄 수 있는 토양 및 수분 보유력 증대 조성(입단구조화),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식물체가 잘 흡수할 수 있는 형태의 미네랄 활용
- 미숙 퇴비: 가스 장해로 인한 뿌리 장해, 수분 및 비료흡수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완숙 퇴비 사용
- 염류 장해: 담수(답전윤환), 제염작물(옥수수, 수단 등) 재배, 환토, 심토반전, 심경, 객토 및 이화학적 성질 개선(유기물 시용, 심토파쇄기 이용 경반층 파괴, 합리적 시비)
- 미생물 부족: 광합성세균, 바실러스, 유산균, 효모, 방선균 등 유용 미생물 활용
- 작물의 생육 조건 불량: 햇빛, 수분, 온도, 습도 등 불량 조건 개선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8/29 15:36 2014/08/29 1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