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날, 마량항에서 천관산 입구까지(2005년 10월 22일)

 

강진에서 마량항에 이르는 23번 국도. 누군가는 이 길을 ‘횡재한 길’이라 했지만 실은 몇 손가락 안에 드는 이름난 길로 꽤 많은 사람들이 지났다. 물론 차를 타고 지나기보다는 천천히 걸으면서 느끼기에 더 좋은 길이기는 하다. 헌데 이 좋은 길이 마량항에서 끝난 것이 아니었으니, 다시 천관산으로 향하는 길. 지번은 77번으로 바뀌었어도 여전히 아름다운 길.

  

지난번과는 달리 이제는 철이 지난 코스모스들과 제철을 맞은 억새풀들이 길 양옆에 줄지어 서 있다. 오른쪽으로는 멀리 남해바다가 머리를 내밀었다가 숨었다 하며 약을 올리고, 높고 파란 가을 하늘은 마음을 푸근하게 한다. 거기에 알맞게 부는 가을바람이 걸음을 가볍게 하니, 이건 분명 또 다른 ‘횡재'다.

 

<마량에서 관산으로 가는 77번 국도 변> 

 

마량항에서 출발한 시간이 7시가 조금 넘은 시간이었고, 12km가 조금 넘는 거리인 대덕읍에 11시가 안 되어 도착했으니 이 속도에 몸이 익숙해졌나보다. 다만 여기까지 오는 도중에 그 흔한 주유소 하나, 음식점 하나 보이지가 않아 급한 볼일을 참아가면서 오는 바람에 길을 걷는 여유를 느끼지도, 지나치는 마을들을 들여다보지도 못했다. 또 폐교를 개조해 천연염색을 하는 곳도 지났는데 이 역시 지나쳐왔다.

 

대덕읍은 제법 큰 마을임에도 마땅한 식당을 찾기가 어렵다. 대충 빵으로 때울 까도 했는데 아침을 일찍 먹어서 그런지 배속의 요란함이 그리 하지 못하게 한다. 다행인지 어쩐지 모양새만큼이나 맛도 그다지 좋지 않은 허름한 식당에서 주린 배를 채운다.

 

오늘은 천관산 아래에 머무른다. 대덕읍에서 천관산 아래 방촌문화마을까지는 10km밖에 되지 않아 3시밖에 안 되어서 도착했지만 이곳에는 이것저것 ‘보물찾기’ 놀이를 할 만한 것들이 꽤나 있어서 부러 일정을 그리 했다.

 

야트막한 언덕 위에 숨어있는 고인돌 군이며, 길 양옆에 마주보고 나란히 서있는 남, 여 장승, 집성촌인 장흥 위씨 마을에 흩어져 있는 고택(古宅)들과 천관산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장천재()는 훌륭한 숨은 ‘보물’들이다.

 

마음 같아서는 이참에 하루 더 머무르며 30만평에 달한다는 천관산 가을 억새 물결도 구경하고, 산 이쪽저쪽에 흩어져 있는 문학공원, 돌탑, 문학비 등도 찾아보고, 동학농민전쟁의 최후 혈전이 치러졌던 석대들과 이 전투 이후 살아남은 농민군이 마지막 항전을 벌인 옥당리도 들러 묵도라도 올려야 할 것이나 시간이 허락지 않음이 아쉬울 뿐이다.

 

둘째 날, 천관산 입구에서 수문해수욕장까지(2005년 10월 23일)

 

어제와는 달리 읍내를 지나자마자 길게 이어진 고갯마루에 이어 색색의 등산복을 입은 이들을 싫은 차들이 연이어 질주하는 바람에 걸음걸이가 더디다. 그래도 길가에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 구경에, 빨갛게 익어 가는 감나무 구경에 시간 가는 줄 모른다. 헌데 이 좋은 풍경 뒤로 ‘쌀 협상 무효’, ‘WTO 반대' 구호가 쓰인 대나무 깃발이 자주 보인다. 또 오가는 트럭과 트랙터에도 ‘殺農반대’ 깃발이 꽂혀 있고, 읍, 면소재지에는 어김없이 농민회에서 야적해 놓은 쌀가마들로 가득하다. 쌀 개방에 대한 농민들의 항의 표시다.

 

<한 시간 가량 낮잠을 즐겼던 관흥삼거리 쉼터에 걸려 있는 ‘WTO반대’ 깃발. 이번 여행에는 이런 깃발들을 곳곳에서 볼 수 있었다>

 

용산면사무소 앞 삼거리에서 수문과 율포를 거쳐 벌교로 가는 길을 걷기 위해 또 옆길로 샌다. 마량에서부터 쭉 함께 한 길을 따라 곧장 간다면 장흥읍으로 나갈 수 있지만.

 

안량우체국 앞 사거리까지는 식당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뱃속은 요란하기만 한데 뾰족한 수가 없다. 별 수 없어 사거리 슈퍼에서 늦은 점심을 빵과 우유로 때우고는 18번 국도를 따라 수문해수욕장으로 가는 길로 접어든다. 여기서부터는 다른 곳에서는 전혀 볼 수 없는 종려나무가 열 맞추어 사열하고 있는데 색다른 느낌을 준다는 것 빼고는 그다지 볼거리는 아닌 것 같다. 허나 우리를 돌아가게 한 이유 중에 하나이니 소개할 수밖에.

 

일제시대에 한센병 환자들이 소록도로 가기 위해 배를 기다리다 더위에 지쳐 목욕을 했더니 몸이 가뿐해지고 병도 완치되어 이후에 해수욕장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품고 있는 수문에 도착하니 어느새 득량도(得粮島) 넘어 해가 수평선에 목을 걸치고 넘어가지 않으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 색다른 색과 맛을 내는 해물수제비를 국물까지 깨끗이 비워내니 짙은 어둠이다.

 

장흥으로 나가는 버스를 기다리다 시간이라도 때울 요랑으로 모래사장에 내려서니 까짓 하루 더 있을까, 유혹이 생기는데, 때마침 도착한 버스에 아쉬움만 남기고 차에 오른다.

 

 

* 세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 첫째 날 : 마량항에서 대덕읍을 지나 천관산 아래 방촌문화마을까지 억새와 코스모스가 피어있는 77번 국도를 따라 약 21km. 걸은 시간 7시간.

- 둘째 날 : 77번과 18번 국도로 바꿔가며, 방촌문화마을에서 용산삼거리, 안량사거리를 거쳐 수문해수욕장까지 약 25km. 걸은 시간 8시간.

 

* 가고, 오고

첫 번째, 두 번째 여행과는 달리 서울에서 광주까지는 새벽 2시에 출발하는 심야고속 마지막 편을 이용했다. 요금이 열차보다는 3,000원 정도는 더 비싸지만(무궁화 기준) 조금이라도 잠을 편하게 자면서 이동하고자 한다면 버스가 훨씬 낫다. 게다가 마량항까지 운행하는 4시 50분 직행버스 첫차도 바로 이용할 수 있다. 수문에서는 일단 장흥으로 나와야만 광주가 됐던 서울이 됐던 움직일 수 있는데, 서울행 고속버스는 하루 세 번밖에 운행하지 않는데다가 오후 4시가 막차다. 결국 광주로 한 번 더 나와야 쉬이 서울로 올라올 수 있는데 다행히 장흥에서 광주로 나가는 차편은 꽤 늦게까지, 꽤 자주 있는 것 같다.

 

* 잠잘 곳

마량항에서 방촌문화마을까지는 대덕 읍내를 제외하고는 식사할 만한 곳이 전혀 없다. 대신 숙박은 인근 관산 읍내에 모텔과 여관이 몇, 그리고 장천재로 가는 길목에 천관산관광농원과 우리가 하루 밤 묵었던 담소원이 있다. 방촌문화마을에서 수문해수욕장까지 가는 길은 음식점은 다수 있으나 비수기에는 문을 열지 않은 곳이 많다. 또 숙박을 할 만한 곳은 없다고 보아야 한다. 대신 수문해수욕장에는 음식점과 숙박할 만한 곳이 다양하게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04/30 23:55 2009/04/30 2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