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날, 마량항에서 천관산 입구까지(2005년 10월 22일)

 

강진에서 마량항에 이르는 23번 국도. 누군가는 이 길을 ‘횡재한 길’이라 했지만 실은 몇 손가락 안에 드는 이름난 길로 꽤 많은 사람들이 지났다. 물론 차를 타고 지나기보다는 천천히 걸으면서 느끼기에 더 좋은 길이기는 하다. 헌데 이 좋은 길이 마량항에서 끝난 것이 아니었으니, 다시 천관산으로 향하는 길. 지번은 77번으로 바뀌었어도 여전히 아름다운 길.

  

지난번과는 달리 이제는 철이 지난 코스모스들과 제철을 맞은 억새풀들이 길 양옆에 줄지어 서 있다. 오른쪽으로는 멀리 남해바다가 머리를 내밀었다가 숨었다 하며 약을 올리고, 높고 파란 가을 하늘은 마음을 푸근하게 한다. 거기에 알맞게 부는 가을바람이 걸음을 가볍게 하니, 이건 분명 또 다른 ‘횡재'다.

 

<마량에서 관산으로 가는 77번 국도 변> 

 

마량항에서 출발한 시간이 7시가 조금 넘은 시간이었고, 12km가 조금 넘는 거리인 대덕읍에 11시가 안 되어 도착했으니 이 속도에 몸이 익숙해졌나보다. 다만 여기까지 오는 도중에 그 흔한 주유소 하나, 음식점 하나 보이지가 않아 급한 볼일을 참아가면서 오는 바람에 길을 걷는 여유를 느끼지도, 지나치는 마을들을 들여다보지도 못했다. 또 폐교를 개조해 천연염색을 하는 곳도 지났는데 이 역시 지나쳐왔다.

 

대덕읍은 제법 큰 마을임에도 마땅한 식당을 찾기가 어렵다. 대충 빵으로 때울 까도 했는데 아침을 일찍 먹어서 그런지 배속의 요란함이 그리 하지 못하게 한다. 다행인지 어쩐지 모양새만큼이나 맛도 그다지 좋지 않은 허름한 식당에서 주린 배를 채운다.

 

오늘은 천관산 아래에 머무른다. 대덕읍에서 천관산 아래 방촌문화마을까지는 10km밖에 되지 않아 3시밖에 안 되어서 도착했지만 이곳에는 이것저것 ‘보물찾기’ 놀이를 할 만한 것들이 꽤나 있어서 부러 일정을 그리 했다.

 

야트막한 언덕 위에 숨어있는 고인돌 군이며, 길 양옆에 마주보고 나란히 서있는 남, 여 장승, 집성촌인 장흥 위씨 마을에 흩어져 있는 고택(古宅)들과 천관산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장천재()는 훌륭한 숨은 ‘보물’들이다.

 

마음 같아서는 이참에 하루 더 머무르며 30만평에 달한다는 천관산 가을 억새 물결도 구경하고, 산 이쪽저쪽에 흩어져 있는 문학공원, 돌탑, 문학비 등도 찾아보고, 동학농민전쟁의 최후 혈전이 치러졌던 석대들과 이 전투 이후 살아남은 농민군이 마지막 항전을 벌인 옥당리도 들러 묵도라도 올려야 할 것이나 시간이 허락지 않음이 아쉬울 뿐이다.

 

둘째 날, 천관산 입구에서 수문해수욕장까지(2005년 10월 23일)

 

어제와는 달리 읍내를 지나자마자 길게 이어진 고갯마루에 이어 색색의 등산복을 입은 이들을 싫은 차들이 연이어 질주하는 바람에 걸음걸이가 더디다. 그래도 길가에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 구경에, 빨갛게 익어 가는 감나무 구경에 시간 가는 줄 모른다. 헌데 이 좋은 풍경 뒤로 ‘쌀 협상 무효’, ‘WTO 반대' 구호가 쓰인 대나무 깃발이 자주 보인다. 또 오가는 트럭과 트랙터에도 ‘殺農반대’ 깃발이 꽂혀 있고, 읍, 면소재지에는 어김없이 농민회에서 야적해 놓은 쌀가마들로 가득하다. 쌀 개방에 대한 농민들의 항의 표시다.

 

<한 시간 가량 낮잠을 즐겼던 관흥삼거리 쉼터에 걸려 있는 ‘WTO반대’ 깃발. 이번 여행에는 이런 깃발들을 곳곳에서 볼 수 있었다>

 

용산면사무소 앞 삼거리에서 수문과 율포를 거쳐 벌교로 가는 길을 걷기 위해 또 옆길로 샌다. 마량에서부터 쭉 함께 한 길을 따라 곧장 간다면 장흥읍으로 나갈 수 있지만.

 

안량우체국 앞 사거리까지는 식당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뱃속은 요란하기만 한데 뾰족한 수가 없다. 별 수 없어 사거리 슈퍼에서 늦은 점심을 빵과 우유로 때우고는 18번 국도를 따라 수문해수욕장으로 가는 길로 접어든다. 여기서부터는 다른 곳에서는 전혀 볼 수 없는 종려나무가 열 맞추어 사열하고 있는데 색다른 느낌을 준다는 것 빼고는 그다지 볼거리는 아닌 것 같다. 허나 우리를 돌아가게 한 이유 중에 하나이니 소개할 수밖에.

 

일제시대에 한센병 환자들이 소록도로 가기 위해 배를 기다리다 더위에 지쳐 목욕을 했더니 몸이 가뿐해지고 병도 완치되어 이후에 해수욕장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품고 있는 수문에 도착하니 어느새 득량도(得粮島) 넘어 해가 수평선에 목을 걸치고 넘어가지 않으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 색다른 색과 맛을 내는 해물수제비를 국물까지 깨끗이 비워내니 짙은 어둠이다.

 

장흥으로 나가는 버스를 기다리다 시간이라도 때울 요랑으로 모래사장에 내려서니 까짓 하루 더 있을까, 유혹이 생기는데, 때마침 도착한 버스에 아쉬움만 남기고 차에 오른다.

 

 

* 세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 첫째 날 : 마량항에서 대덕읍을 지나 천관산 아래 방촌문화마을까지 억새와 코스모스가 피어있는 77번 국도를 따라 약 21km. 걸은 시간 7시간.

- 둘째 날 : 77번과 18번 국도로 바꿔가며, 방촌문화마을에서 용산삼거리, 안량사거리를 거쳐 수문해수욕장까지 약 25km. 걸은 시간 8시간.

 

* 가고, 오고

첫 번째, 두 번째 여행과는 달리 서울에서 광주까지는 새벽 2시에 출발하는 심야고속 마지막 편을 이용했다. 요금이 열차보다는 3,000원 정도는 더 비싸지만(무궁화 기준) 조금이라도 잠을 편하게 자면서 이동하고자 한다면 버스가 훨씬 낫다. 게다가 마량항까지 운행하는 4시 50분 직행버스 첫차도 바로 이용할 수 있다. 수문에서는 일단 장흥으로 나와야만 광주가 됐던 서울이 됐던 움직일 수 있는데, 서울행 고속버스는 하루 세 번밖에 운행하지 않는데다가 오후 4시가 막차다. 결국 광주로 한 번 더 나와야 쉬이 서울로 올라올 수 있는데 다행히 장흥에서 광주로 나가는 차편은 꽤 늦게까지, 꽤 자주 있는 것 같다.

 

* 잠잘 곳

마량항에서 방촌문화마을까지는 대덕 읍내를 제외하고는 식사할 만한 곳이 전혀 없다. 대신 숙박은 인근 관산 읍내에 모텔과 여관이 몇, 그리고 장천재로 가는 길목에 천관산관광농원과 우리가 하루 밤 묵었던 담소원이 있다. 방촌문화마을에서 수문해수욕장까지 가는 길은 음식점은 다수 있으나 비수기에는 문을 열지 않은 곳이 많다. 또 숙박을 할 만한 곳은 없다고 보아야 한다. 대신 수문해수욕장에는 음식점과 숙박할 만한 곳이 다양하게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04/30 23:55 2009/04/30 23:55

첫째 날, 땅 처음 마을에서 출발하는 무작정 걷기 여행(2005년 6월 4일)

  

“땅끝입니다. 땅끝마을입니다. 물건 잘 챙기십시오”

  

어느새 잠에 빠졌었는지 기사분의 목소리에 놀라 깬다. 물건이라고 해봐야 각자 배낭 하나씩에 햇빛을 가려줄 모자가 다니 그리 법석을 떨지 않아도 될 듯 싶은데, 사람들이 한꺼번에 짐을 챙기느라, 또 내리느라 버스 안이 어수선하기만 하다.

  

‘여기가 땅끝마을 인가?’.

  

버스에서 내린 그 많은 사람들 가운데 한 무리들은 마치 약속이나 한 듯 보길도로 가는 첫배를 타기 위해 선착장으로 몰려가는데, 다른 한 무리들은 갈 곳을 정하지 못해 우왕좌왕 하는 눈치다. 우리 역시 어찌해야 하나 잠시 우왕좌왕하는 무리들 속에 끼어있다 아침이나 먹을 요량으로 선착장 매표소 옆 가게에 들어가 컵라면 두 개를 주문하고 나니 언제 들어왔는지 기사 분이 한마디하신다.

 

“에헤 사람들이 말야. ‘땅끝마을이다’하고 내렸는데 말야. 아무 것도 없으니까 다들 우왕좌왕하네. 어디로 가야하는지도 모르는 것 같고. 하기야 서울에서 보면야 여기가 땅끝이지만 여기서보면 땅끝이 처음인데 뭐 그리 볼게 있다고 그렇게들 오는지”

 

맞다. 땅끝은 저쪽에서 봤을 때야 그렇지 이쪽에서 보면 땅 처음인 거고, 길을 걸어온 사람에게는 여기가 끝일런지는 모르지만 다시 돌아서는 사람들에게는 처음이 아닌가. 길은 끝나는 곳에서 다시 시작되는 것이다.

 

사실 우리가 처음부터 무작정 땅끝부터 고성까지 걷자고 한 건 아니었다. 둘 다 원체 걷기를 좋아하기는 했어도 말이다. 지금 생각해보니 작년 봄 월악산에서 제천까지를 2박 3일 동안 걸었었는데 그때 기억이 너무 좋았던 게 아마도 출발점이 아니었던가 싶다. 물론 그때만 해도 땅끝에서 고성까지 걷는 사람들이란 다들 한 달 이상의 긴 시간을 낼 수 있었던 사람들이라 그저 부러워만 했을 것이다. 그러다 ‘우리도 한 번 해볼까'라고 생각하게 된 것은 한참이 지난 어느날 문득 접한, 백두대간을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 몇 달에 걸쳐 종주를 한다는 이야기였을 거다. ‘그래, 한번에 못하면 나누어서 하는 거지’. 생각이 거기에 미치자 우리의 계획은 일사천리였다. 하지만 계획이라고 해봐야 ‘1년에 두서너 번 있는 연휴와 6일간의 여름휴가를 적절히 이용하면 되겠다’ 정도지, 어떤 길로 걸을지, 얼마나 시간이 필요할지, 경비는 얼마나 들지 등등의 계획까지 세운 것은 아니었기에 ‘일사천리’라는 말은 좀 그렇다.

  

77번 국도는 땅 처음 마을에서부터 첫 숙박지로 예정한 남창리까지 이어지며, 오른쪽으로는 바다가, 왼쪽으로는 산이 번갈아 가며 따라오는 걷기에는 아주 좋은 길이다. 게다가 차도 많이 다니지 않고 갓길도 충분하다. 또 길을 걷다보면 여러 곳에서 ‘전망 좋은 곳’이라는 표지판과 함께 쉼터가 나오는데, 이 쉼터는 차를 타고 여행을 하더라도 꼭 놓치지 말고 쉬어가야 할 것이다. 멀리 수평선까지는 아니지만 꽤나 넓고 파란 바다가 보이고, 그 바다 위에는 작은 섬들이 점점이 줄을 서있고, ‘통통통’ 소리와 함께 고깃배들도 솔솔이 보이는 것이 남쪽 바다의 풍성함을 보여주기에.

  

적당한 햇빛에 적당한 바람이 발걸음을 가볍게 한다. 마중 나오는 모든 마을들이 그렇듯이 너무나 예쁜 ‘통화마을’에서는 골목길까지 들어가 이곳저곳을 둘러보기도 하고, 모래가 가늘고 곱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사구미해수욕장’에서는 모래사장을 거닐며 여유를 부려보기도 한다. 헌데 점심을 먹기로 예정했던 ‘남전리’라는 마을에 도착하니 마을은 꽤 큰 편인데도 불구하고 식당이 전혀 보이질 않는다. 그러고 보니 이곳까지 오는 중간, 지나쳐왔던 마을들에서도 식사를 할 만한 곳을 보지는 못했다. 다만 주위 풍경이 좋다 싶은 곳이면 어김없이 들어서 있는 횟집과 가든만이 보였다. 어째 이리도 먹거리는 전국이 하나같을까?

 

낮 12시부터 오후 2시까지는 무조건 쉬기로 했는데 첫날부터 어긋났다. 12시가 넘어서야 겨우 남전리에 도착했으니. 그래도 햇빛의 따가움이 한 숨 잦아들 때까지는 무조건 쉬기로 하고 마을 입구 슈퍼에서 빵과 우유로 점심을 때운 후 신발 끈까지 풀고 평상에 올라간다.

 

오후 2시. 다시 출발이다. 6월인데도 등뒤로 내리쬐는 햇빛이 어찌나 따가운지, 게다가 아스팔트에서 올라오는 열기 때문에 숨이 턱턱 막힌다. 오늘은 남창리까지 가는 것이 목표다. 남전리에서 남창리로 가는 길은 오전에 걸은 길과는 달리 길 양옆으로 논과 밭 그리고 산들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며 길동무를 하는 길이다. 또 이름 모를 저수지들이 마을근처에 있어 쉬어가기 좋으며, ‘이진마을’에는 길손들을 위해 마을사람들이 심어놓은 느티나무가 있으니 땀도 식힐 겸 마을 사람들의 마음 씀씀이도 느낄 겸 평상에 누워 쪽잠을 자도 좋다.

 

첫날은 무리하지 않기로 했다. 당초 무작정 걷기 여행 첫날밤을 보낼 곳으로 정했던 남창리에 도착하니 5시가 조금 안됐다. 대략 23킬로미터 정도를 걸었으니 꽤 괜찮은 속도로 온 것 같다. 남창사거리 기사식당에서 무려 15가지 반찬이 나오는 5천 원짜리 백반으로 맛나게 저녁을 먹고 남창관광여관에 짐을 푼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04/30 18:54 2009/04/30 1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