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첫 번째 여행 ② 제주의 아픈 역사를 오롯이 만나다: 10구간 화순-모슬포 올레(2015년 1월 28일)
 
제주에 가면 꼭 가야할 곳으로 두 군데는 일찌감치 정했습니다. 올레길도 마찬가지로 한 구간만큼은 걸어야겠다, 마음먹었구요. 4.3 평화공원은 도착하는 날 그리고 강정마을은 떠나기 전에 돌아보기로 했습니다. 해서 여행 첫날엔 세찬 비구름에도 기념관을 둘러봤고, 강정은 이제 내일 가보려 합니다.
 
올레길은 어제 우도가는 길이 막히는 바람에 대신 예정 없이 걸었던 21구간은 제처놓구요. 바로 오늘 걸을 10구간만은 꼭 걷고 싶었습니다. 제주 어디라고 그렇지 않은 곳이 없겠지만요. 모슬포항에서 얼마 떨어지지 섯알오름과 알뜨르비행장 그리고 송악산 자락 여기저기에 새겨져 있는 아픈 역사를 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사실 우리 현대사에서 제주만큼 가시밭길을 걸어왔던 곳도 많지는 않습니다. 더구나 여전히 가슴 아픈 길을 걷고 있기에 마음이 안쓰럽기만 합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온 몸으로 겪어온 곳이면서 여전히 미국과 중국이라는 세계 초강대국들의 틈바구니 속에서 언제 터질지 모를 화약고가 될 지경이니 말입니다.
 
화순-모슬포 올레는 이런 제주 역사를 생생히 보고 느낄 수 있는 구간입니다. 물론 중산간 마을들을 이어주는 다른 곳들에서도, 해안가 마을과 오름들을 걷는 또 다른 길들에서도 제주와 만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만큼이나 오롯이 역사와 마주설 수 있는 곳이 또 있을까요. 해서 오늘은 지난번과는 다른 마음으로 올레길을 걷습니다.
 
나중에 안 일이지만 다들 여기 10구간은 모슬포에서 시작해 화순모래해변으로 걷더군요. 내내 산방산을 품고 걷는 게 좋았다는 사람, 송악산과 섯알오름을 지나고 나면 다소 밋밋한 길이 이어져 마무리가 아쉽다던 사람들이 그렇습니다. 하지만 바로 걷던 거꾸로 걷던 무슨 상관입니까. 그 안에 담긴 역사를 제대로 본다면 말이지요.
 
금강산도 식후경이라지요. 맞습니다. 걷기 전에 배부터 든든히 챙깁니다. 대략 5시간 정도 걸린다고 하니 시간이 될까, 걱정되기도 하지만. 그래도 일단 먹어야지요. 그래야 힘차게 걸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서는 배 툭툭 두드리며. 엊그제 만났던 것만큼이나 예쁜 모래밭, 이름도 비스므리한 하모라는 해변을 걷는 것 또한 나쁘지 않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올레길에서 만나는 풍경 가운데 가장 익숙한 것이라는 건 다음 날 알았더랬습니다. 동백꽃이 예쁘다는 위미에서 떼 지어 나돌아 다니는 덩치 큰 개들을 보고 나서 말입니다. 모래밭을 벗어나 소나무 숲길에 들어선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마주친 산만한 개. 딴에는 그저 무심한 듯 쳐다본 것 같지만, 방심하다 어찌나 놀랐던지요.
 
하는 수 없습니다. 찻길로 내려와 돌아갑니다. 다행히 얼마 가지 않아 혹시나 하며 다시 숲길로 들어섰을 때 개가 보이질 않습니다. 하지만 이런, 숲길이 금방 끝납니다. 별 도리 없네요. 올레길에 빨리 적응해야 할 터인데, 아직은 쉽질 않습니다. 지금은 돌아서 갈 수야 있겠지만 외길인 경우엔 어쩌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알뜨르는 ‘아래쪽 들판’이라는 뜻을 가진 예쁜 이름인데요. 이름만큼이나 정말 넓디넓은 들판이 펼쳐져 있습니다. 산방산과 섯알오름을 번갈아가며 마주고보고 걷던, 억새가 가득한 그 들판 말이지요. 하지만 이곳이요. 눈에 보이는 표지판 하나 없고, 위성지도를 통해서야 겨우 그 형태를 알아 볼 수 있는, 일본군 비행장이었다니요.
 
19개나 남아 있는 비행기 격납고며 고사포 진지, 탄약고, 지하벙커들을 하나하나 둘러보고 있자니 가슴 한편이 먹먹해집니다. 곧 만나게 될 송악산 일본군 진지들도 그렇겠지만, 대체 얼마나 많은 제주민들의 희생이 있었던 걸까요. 그저 전쟁이 미치지 않아 다행이었지, 하기엔 그 노역(勞役)이 너무 무거울 따름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격납고 안에 세워진 제로센을 먼발치에서 보고 난 후 섯알오름에 오릅니다. 물론 입구에 세워진 <섯알오름 희생자 추모비> 앞에서 묵도(默禱)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추모비에는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과 경찰에 의해 집단학살 된 200여명의 제주민들의 영령이 새겨져 있습니다. 잠깐 멈췄던 아련함이 다시 밀려옵니다.
 
10구간은 알뜨르비행장에서 섯알오름, 그리고 곧 이어지는 송악산 둘레 일주가 전부라 해도 될 만합니다. 또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던가요. 이미 알고 있다면 이 길이 가진 의미를 세 곳에서 다 볼 수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더구나 이 세 곳에서 보는 풍경은 이 길에 보여주는 모든 풍경이라 해도 충분하니, 그것만으로도 족합니다.
 
다만 송악산에서는 다른 곳과는 달리 좀 어수선합니다. 꼭 그런 이유 때문인 것만은 아니겠지만. 중산간 지역도 모자라 여기까지 손을 뻗쳤다고 하는 중국인들이 많습니다. 거기에 들어가지 말라는 표지판도 무시하고 산 정상에 올라가는 사람들. 대낮부터 술판을 벌이고 있는 사람들까지. 서둘러 자리를 뜹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용머리해안은 이미 매표소가 문을 닫았습니다. 입장료가 있어 처음부터 생각하지는 않았지만 막상 닫힌 문을 보니 들어가 보고 싶네요. 참 사람마음 간사하지요. 하지만 시간도 그렇거니와 해가 뉘엿뉘엿, 곧 어두워질 것 같으니 서둘러야겠습니다. 엊그제와 같이 예상시간은 그야말로 걷는 시간만을 따진 듯합니다.
 
아무리 까치발을 해도 볼 수 가 없었던 화석지는 분명 용머리 해안 전이었을 터인데 가물가물합니다. 또 설큼바당과 산방연대, 퇴적암지대는 어둑어둑한 가운데 걸었던 탓에 변변한 사진 한 장 남기질 못했습니다. 다만 밤하늘 반짝이는 별과 같았던 검은 모래와 조개껍데기만은 선명히 기억에 남아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격납고 안으로 숨은 제로센에는 일제강점기 때 친일했던 이들을 써놨다던데 왜, 누가 그리로 치웠을까요. 절벽 가까이까지 데크에 계단은 만들어 놓고는 정작 일본군 진지에는 가까이 가보질 못하게 해놓은 까닭은 무엇일까요. 맞춤법조차 맞지 않고 읽기에는 숨이 찬 섯알오름 유적지 알림판을 제대로 해 놓을 수는 없는 걸까요.
 
동아시아의 화약고가 될 수 있을 해군기지를 만들면서 ‘세계 평화의 섬 제주’라는 현수막을 내건 이유는요. 왜 지금 이 순간 ‘재심사’라는 말을 꺼낸 걸까요, 혹시 여전히 ‘빨갱이’들 때문이라고 믿는 걸까요. 조금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유적지들을 놔두고 오가는 버스 편도 많지 않은 곳에다 4.3 평화공원을 들여놓은 이유는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짙은 어둠이 내려앉는 화순항에 도착하니, 이런저런 답 없는 생각들이 떠돕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6/11/17 14:55 2016/11/17 1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