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우길 ⑧ 시대를 앞서갔던 이, 허균․허난설헌의 애틋함을 쫓아(2013년 6월 6일)
 
허균은 누이 허난설헌에게 세 가지 잘못이 있다고 했다. 첫째는 여자로 태어난 것이 잘못이요, 둘째는 이 나라에서 태어난 것이 잘못, 마지막으로 이 시대에 태어난 것이 잘못이란다.  그 역시 지배계급의 일원인 양반가, 그것도 사대부 집안에서 태어났긴 했지만. 천부적인 재능을 가졌던 누이가 그 재능을 세상에 떨쳐내지 못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과 사랑을 저리 표현했다.     
 
누이 난설헌에 대한 애틋함은 이것 말고도 또 있다. 자신이 지은 시 구절처럼 27세라는 한창 나이에 세상을 떠나면서 남긴 유언마저 지키지 않았던 거다. 자기가 죽으면 자기 시를 모두 태워버리라 했음에도. 초희가 친정에 남긴 것들과 자신이 외우던 시들을 모아 <난설헌집>을 펴낸 것이니. 지독한 누이 사랑이 아니고서야 어찌 그럴 수 있을까.
 
碧海浸瑤海
靑鸞倚彩鸞
芙蓉三九朶
紅墮月霜寒
 
푸른 바닷물이 구슬 바다에 스며들고
푸른 난새는 채색 난새에게 기대었구나
부용꽃 스물일곱 송이가 붉게 떨어지니
달빛 서리 위에서 차갑기만 해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허균은 조선 왕조가 끝날 때까지 복권되지 못했다. 그가 남긴 글들은 입에서 입으로 옮겨졌거나, 몇몇 목숨을 건 이들 덕분에 겨우 전해질 수 있었다. 이전에는 겨우 <홍길동전>을 쓴 이로, 어느 책들에선 균이란 이름만 남겨졌는데. 근래 새삼스레 관심을 받고 있으니. 봉건왕조가 물러난 뒤에야 겨우 살아나고 있다.

 
허난설헌은 스물일곱이라는 나이에 요절했음에도 중국과 일본에서 그 명성이 자자했다. 하지만 정작 그가 살았던 조선에서는 철저히 외면을 받았다. 아니 고루하고도 비루한 유생들로부터 철저히 따돌림을 당했으니. 일곱 살 때, 하늘나라 황제가 살고 있다는 백옥루에 올릴 ‘광한전백옥루상량문廣寒殿白玉樓上樑文’을 써냈던 그이가 그렇게도 못마땅했나.
 
솔직히 오죽헌은 세계최초 부자 화폐 인물이라는 요란한 현수막 때문에 못마땅한 구석이 있고. 김시습문학관은 그저 구색만 맞춰 놓았다는 인상이 짙긴 하나. 오죽헌에서 허난설헌 생가까지 이어지는 길은 문학길이라 이름 붙여도 좋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신사임당도 그렇고 그 아들 율곡 이이에. 호수를 사이에 두고 이쪽에는 김시습과 저쪽에는 허균, 허난설헌 남매가 있으니 말이다. 그리고 이 길 끝에서 만나는 작은 도서관. 그 툇마루에 앉아 이들이 남긴 글들을 읽노라면, 시간 가는 줄 모른다.  

 
애틋한 두 오누이를 뒤에 두고 솔 숲길을 나서자 경포호수다. 바우길과는 5코스 바다 호숫길과 연결된다. 시내 어디서 또 이런 길을 걸을 수 있을까, 싶은 둔치길 끝에 바닷길이 있는 것이다.
 
찻길을 가운데 놓고 한 번은 바다 옆 솔숲 길로. 또 한 번은 차 소리도 들리지 않는 솔숲 길을 번갈아 걸으면. 어느새 송정과 안목해변을 지나 솔바람 다리에 이르는 길이니. 이번에도 쉬엄쉬엄 걷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열네 번 째 여행에서 걸은 길
사천해변에서 시작하는 5구간 바다 호숫길과 위촌리 송양초교에서 출발한 11구간 신사임당길과는 경포대에서 허균.허난설헌 생가까지 겹친다. 이후 5구간은 6구간 출발점이기도 한 솔바람다리 건너 남항진으로 이어진다. 허균.허난설헌 생가에서 만난 작은도서관에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있었던 탓에 고작 7Km 정도를 1시간 반 남짓이나 걸었는데 시간은 반나절 넘게 걸렸다.  
 
* 가고, 오고
아직까진 시내버스 노선(http://www.gangneung.go.kr/sub/bustime/main.jsp?pp=sub01)을 챙겨야 한다.  
 
* 잠잘 곳
경포해변에서 남항진까지 이어지는 5구간에는 식당도, 숙박시설도 많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7/01 10:55 2014/07/01 1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