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기저기 초콜릿이 넘쳐나는 걸 보니 밸런타인데이가 얼마 안 남았나 봅니다. 뭐, 애당초 초콜릿을 좋아하지도 않은데다. 무슨, 무슨 날이다 해서 격식을 차리거나 뭘 주고받는 것도 싫어하니. 그리 눈꼴사납진 않지만. 저 많은 초콜릿들이 대체 어디서 만들어진 건지는 궁금하기도 하고. 또 다른 나라에서도 이런 우습지 않은 날이 있는지 알아보고도 싶고. 초콜릿은 코코아로 만든다는데 코코아는 어디서 재배되는 걸까? 저 초콜릿에는 코코아가 얼마나 들어있을까? 혹 설탕덩어리는 아닐까? 코코아를 심고 기르고 수확하는 사람들은 정작 초콜릿을 구경조차 못한다고 하던데..... 꼬리에 꼬리를 물면서 생겨나는 물음들은. 가만 얼마 전 읽은 <공정한 무역, 가능한 일인가?>에서 읽었던 구절들이 아니지 뭡니까.
 
2.
노무현이 한미 FTA를 하겠다고 나서자 곧 반대 운동이 일어났었지요. 헤비급 선수와 라이트급 선수가 맞붙는 게임이 공정한 것이냐? 말이 좋아 선진금융기법이지 ‘먹튀’나 하는 금융자본을 들여오려는 것이냐? 자동차 팔자고 농수산업을 포기하려는 것이냐? 하면서 말이지요. 물론 지금도 구구절절 다 옳은 말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리고 지금이라도 국회에서 날치기 통과된 협정문을 폐기 하는 게 옳다고 믿지만. 그때 당시 꽤나 열심히, 아니 입에 거품 물며 반대 운동하던 사람들에게 물었던 질문을 떠올리면. 지금도 고개가 갸우뚱하고 다시 물어보고 싶지 뭡니까.
 
“한미 FTA가 문제냐? FTA가 문제냐?”
“한미 FTA는 반대하고 한칠레 또는 한싱가포르 FTA는 찬성하느냐?”
 
사용자 삽입 이미지3.
공정무역의 대상이 되는 것들, 가령 책에서도 자세히 소개되고 있는 커피, 초콜릿, 바나나, 청바지(청바지는 정확히 말하자면 원료가 되는 면을 말합니다)는 아프리카 또는 아시아의 가난한(GNP나 GDP와 같은 허황된 수치로 표현되는 의미로) 나라들에서 생산되지요. 그 가운데 초콜릿을 만드는 데 필요한 코코아는 가나를 중심으로 한 서아프리카에서 대부분이 재배됩니다. 하지만 이들 나라의 경제는 국가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코코아를 재배하는 농민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빈곤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요. 더구나 거대한 단일작물 생산으로 인한 환경파괴와 함께 경제적 불안정이 반복되거나 심화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불난 집에 기름 붓는 격으로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이 강제 개입해 실시한 구조조정 프로그램은 일을 해결하기는커녕 사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으니. 초콜릿이 그저 달콤하기만 한 건 아니지요. 그러니 밸런타인데이란 게 얼마나 웃기고 한심한 짓거리인가요.
 
4.
조금은, 아니 사실 전혀 이해가 되질 않았습니다. 말이 좋아 자유로운 무역이지 FTA 자체가 자본의 무한 증식을 보장하는 것 말고는 민중들에게 하등 이익이 되질 않는 것은 분명한 사실인데. 우리와 체급이 다르다는 이유로 미국과의 FTA는 반대하면서 낮은 체급의 나라들과는 FTA를 찬성한다니. 솔직히 대안이 없질 않느냐는 말은 FTA를 반대하는 사람들에게도 똑같이 가졌던 물음이었던 셈이지요. 남이 하면 불륜 내가하면 로맨스인가요. 하지만 그때도 분명 대안적인 무역은 있었습니다. 석유를 제공한 베네수엘라와 의사와 교사를 보낸 쿠바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공정무역. 서로 필요한 것들을 그저 맞바꾸는 그런 무역이 분명 있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여기 이 책 <공정한 무역, 가능한 일인가?>에서 찾고 있는 공정무역에 대한 가능성 역시 분명 고려할만한 대안 무역이었구요. 하지만 FTA(Free Trade Agreement)가 아니라 FTA(Fair Trade Agreement)를 외치지 못했던 건. 아니 생각지도 않았던 건 무엇 때문일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2/12 22:09 2012/02/12 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