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천연농약>
 
․ 합성농약: 무기합성농약 / 유기합성농약(유기합성, 식물기원, 대사산물기원)
․ 생물농약: 미생물농약(세균, 진균, 바이러스, 원생동물) / 생화학농약(항생물질, 식물성분, 페르몬) / 천적
 
․ 생물농약에 사용되는 주요 식물
 
1. 님(Neem): 인도에서 4,000여년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용
 
- 님의 활성화 물질과 효과
․ 님빈(nimbin): 염증, 해열, 앤히스타민, 항진균
․ 님비딘(nimbidin): 항세균, 궤양, 진통, 부정액, 항진균
․ 눔비올(numbiol): 결핵, 해열, 애벌레 살충
․ 게도닌(gedunin): 혈관 확장, 말라리아, 항진균
․ 눔비네토나트륨(numbinetoNA): 이뇨, 관절염, 피임제
․ 켈세친(quercetin): 항산화, 염증, 항세균, 원생물 살충
․ 살란닌(salannin): 해충 기피
․ 아자디렉션(azadirachtin): 해충 기피, 해충 식해 저해, 해충 호르몬 컨트롤
 
2. 고삼(苦蔘, Sophora flaverscens): 고삼의 성분에는 matrine이라는 알카로이드가 약 2% 함유돼 있어 대단히 쓰며, 아로마트리닌과 플라보노이드, 이소안하이드, 로이카린을 함유
 
- 고삼 활용: 응애(녹응애, 차응애, 점박이응애)
 
3. 데리스(Derris elliptica): 뿌리를 원료로 만든 살충제의 총칭으로 로테논제(rotenone)제라고 하며, 살충 범위가 크나 어패류에 대하 독성이 높음
 
- 데리스 활용: 채소류의 응애류, 배추흰나비, 총채벌레류, 잎벌레류, 바구미류, 과수의 진딧물, 방패벌레류, 응애류, 나무이와 담배거세미나방, 온실가루이
 
4. 라이아니아(Rynia speciosa): 뿌리, 줄기, 잎에서 출출한 가루 형태의 천연물질로 살충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은 라이아노딘(ryanodine)
 
5. 쿠아시아(Quassia amara): 뿌리에서 추출해 원료로 만든 살충제의 총칭으로 쿠아시아 제제(quassia 제제)라고도 하며 살충 성분은 쿠아신(quassin)
 
6. 제충국: 꽃으로부터 추출한 기름을 살충제로 사용하며 살충 성분은 피레트린(pyrethrin) Ⅰ, Ⅱ와 시네린(cinerin)Ⅰ, Ⅱ
 
- 제조: 주정 20리터에 꽃이 피기 전 봉오리 상태로 베어 그늘에 말린 꽃봉오리와 꽃대를 자작하게 담궈 하절기 1달, 동절기 2달 정도 숙성
- 사용: 생육 초기에는 1,000배를 기준으로 하며 후기에는 500배까지도 가능
- 적용: 진딧물류, 총채벌레류, 온실가루이, 버섯파리류, 멀구류, 잎말이나방류, 과실파리류, 나무이류, 개무, 밤나방, 도둑나방, 딱정벌레, 자나방, 벼룩 등
 
7. 멀구슬(Melia azedarach L.): 줄기껍질→뿌리껍질→생잎 등의 순으로 살충 효과가 있으며 전체 종자, 뿌리, 줄기, 잎을 밀봉 침지했을 때 살충 효과가 증가
 
8. 창포(Acorus calamus L.): 창포의 뿌리/지하경의 oil에서는 생물학적 활성을 지니는 Methyl eugenol(Dacus dorsalis의 암컷 유인제), β-asarone(진딧물과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벨레 훈증제와 살충제의 주성분), Acoragermacrone(암컷 멜론파리 유인제), Asaryl aldehyde(D. dorsalis와 C. capitata의 암수 유인제) 등 4가지 물질이 분리
 
9. 종목형: 잎 추출물 저장 해충 섭식 저해 효과
 
10. 협죽도: 제주도에 많이 분포, 줄기와 종자가 강력한 독성을 갖고 있어 천연살충제로 사용하나 맹독성이므로 상당한 주의가 필요
 
11. 미국자리공
 
12. 그 외 초목회제제, 돼지쓸개제제, 고추제제, 연초제제(순수니코틴의 경우 친환경자재로 활용하지 못하며 담배잎차로 사용), 피마자제제, 흑설탕제제, 나뭇잎제제, 은행열매, 은행푸른잎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9/19 17:43 2014/09/19 1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