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귀농(歸農)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일찌감치 일자리에서 밀려난 사람들이 새로운 돈 벌이를 위해 하는 것이든. 은퇴 후 전원생활을 위한 것이든 말입니다. 그래서인지 많은 지자체가 귀농 지원 사업들을 합니다. 빈집 찾아주기, 정착 지원금 지원, 농지 구입 지원 등등. 어떤 곳에서는 꽤 좋은 성과를 내기도 합니다. 상반기에만 150세대 300여 가구를 정착시킨 곳도 있으니까요. WTO와 FTA가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인 것을 염두에 둔다면 참으로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는 셈인데요. 왜 지금, 귀농일까요? 혹 텔레비전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억대 농부(農副)들 때문일까요?. 아님 농사야말로 자본주의를 넘어서는 어떤 가치가 있기 때문일까요?
 
농업전문가이면서 농사꾼인 글쓴이는 차분하지만 단호한 목소리로 소농(小農)이야말로 인류 생존의 기초인 땅을 지키는 사람들이라고 말합니다. 본래의 자연인 ‘무위자연’이 하는 일을 대신하는 이 소농들이야말로 ‘누가 지구를 지켜왔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이라는 것이지요.  끊임없이 땅을 갈고 유기물을 넣으며 표토를 지키는, 비록 그것들이 자신과 가족들을 먹여 살리기 위한 일이었다 할지라도 말입니다. 하지만 인간이 지구에 뿌리를 내린 이후 가장 많은 풍요를 가져다 줬다고 칭송받는 근대화는 어떻습니까요. 맞습니다. ‘대우주의 의지’를 묵묵히 대행해왔던, 지구를 지켜왔고 지켜나갈 소농들을 밀어내고 있습니다. 그것도 아주 가혹하게 말이지요. 규모 확대와 단위 면적당 수확량 증가라는 ‘자본주의적 발전’만이 유일한 길이라고 강요하면서 말입니다.
 
일본은 여전히 소농이 많다고 합니다. 우리와 그다지 다를 바 없는 환경일 터인데 말입니다. 규모 확대와 단위 면적당 수확량 증가라는 ‘자본주의적 발전’만이 유일한 길이라고 강요하는 상황들 말이지요. 그런 면에서 본다면 일본은 아직 희망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분명 부러운 일이지요. 물론 그것이 예전 소농과는 다른, 다양한 형태의 겸업이라고 할지라도 말입니다. 아니요. 귀농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방법 중 하나라는 점에서 더 관심 있게 봐야합니다. 지금 사는 사회가 자본주의인 만큼 먹고 사는 문제에 대해 더 이상 금욕적 삶을 강요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부부 중 한 사람은 고정적인 수입이 있거나 자급적 소농이더라도 일정한 수입이 있는 겸업농가라면 오래도록 땅을 지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책을 펴낸 녹색평론사 대표는 편집자 후기에 ‘문명사회의 지속적인 생존 여부를 결정하는 사활적인 문제’로 소농의 존재를 되살리느냐 마느냐를 얘기합니다. ‘문명사회’라는 말이 거슬리기는 하나 이 말을 지구와 인간으로 바꾼다면 글을 쓴 쓰노 유킨도가 가진 고민을 온전히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농을 ‘환경위기’나 ‘식량문제’로만 한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인류 생존의 기초인 땅을 지키기 위한 유일한 방법으로 보는 것 말입니다. 더불어 편집자는 저자가 소개했던 일화 속에서 소농과 민주주의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합니다. ‘소농은 참다운 의미에서 민주주의 초석이 된다는, 흔히 간과되고 있지만, 결정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사실을 우리는 기억할 필요가 있다.’고 말이지요. 사실 정확하게 그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는 다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인과관계가 명확치 않았거든요. 하지만 대략적인 뜻은 책을 다 읽은 사람들이라면 짐작할 수 있을 겁니다. 그러니 이 부분은 굳이 더 설명하지 않더라도 좋을 듯도 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07/30 20:49 2013/07/30 2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