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길이는 언년이와의 사랑을 위해 양반과 노비가 없는 세상을 꿈꿉니다. 하지만 대길이의 이 꿈은 과거에 급제해 높은 벼슬을 한 후에라야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 꿈도, 실은 도술을 부린 홍길동도 바꾸지 못했기에 실현가능성은 없어 보입니다. 
 
송태하는 임금을 바꾸는 것이 아닌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고자 역모를 도모합니다. 하지만 송장군이 꿈꾸는 세상은 양반과 노비가 없는 세상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리고 양반이라는 신분을 포기하지도 않을 것 같구요.
 
2.
업복이는 양반과 상놈이 뒤집어져 양반을 부리는 세상보다는 양반, 상놈 구분 없이 사는 게 더 좋은 세상이 아니냐고 나지막이 얘기합니다. 자신들을 이용하는 세력들이 만들려는 천지개벽이 결국 지금의 불합리한 세상과 별반 다를 게 없다면 그건 아니라는 말이지요. 하지만 업복이는 끝내 양반과 상놈, 구분 없는 세상도 좋지만 그 전에 복수는 하고 싶다는 초복이의 말마따나 총을 들고 맙니다.   

 
3.
대길: 네 놈이 무슨 연유로 제주를 갔다 왔는지 모르겠다만 결국 네 놈은 네 놈 자리로 돌아가고 싶은 거 그거 말고는 없어. 예전처럼 떵떵거리면서 살고 싶은 거겠지.
태하: 네가 그런 말 할 자격이 있는가? 조선의 질서를 바로잡는다며 추노를 한다지만 무고한 백성을 들볶고 왈패처럼 거들먹거렸겠지.
대길: 당연하지. 그래야 살 수 있으니까. 그래야 살 수 있는 세상을 너 같은 벼슬아치들이 만들었으니까.
태하: 그럼 너는? 단 한번이라도 그런 세상을 바꾸려고 한 적 있었나?
대길: 어이, 노비. 아니지. 노비양반. 홍길동이 알지? 그 놈은 도술까지 부렸는데 이 세상을 바꾸지 못했어. 근데 도술도 못 부리는 내가 이 지랄 같은 세상을 바꾼다?
태하: 세상은 도술로 바뀌는 게 아니다. 사람이 바꾸는 거지.
대길: 언놈이 지랄 연병을 해도 이 지랄 같은 세상은 말이야 절대로 바뀌지가 않아.
태하: 세상은 바뀌지 않는다는 말, 함부로 하지 마라. 그런 말을 가장 무서워하는 사람이 있으니.  
 
4.
‘유토피아’는 그리스어의 U(없다)와 topos(장소)의 복합어로서 ‘어디에도 없는 땅’이란 뜻 입니다. 곧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이상향이 유토피아인 셈이지요.
 
토머스 모어는 ‘유토피아’라는 저서를 통해 새로운 세상을 꿈꿉니다. 필요한 만큼 일하고, 쓸 수 있는. 다스리는 사람과 다스림을 받는 사람이 구분 없는. 나아가 소유가 필요치 않은 사회를 말이지요. 16세기 혼돈의 영국 사회에서 ‘현실에 존재하지 않은 이상향’을 놀라운 상상력으로 만들어낸 것입니다. 
 
하지만 ‘유토피아’는 단순한 픽션 혹은 문학으로만 분류되진 않습니다. 이러저러한 생각들을 자유롭게 펼쳐냈다는 면에서는 소설임에 틀림없지만. ‘현실’을 고발하고, 부정함으로써 그 세계에 속박됐던 이상을 자유롭게 했다는 면에서. 정치, 경제, 교육, 도덕, 사회체계를 새로운 시각으로 분석하고 설계함으로써 사회사상사에 심원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출간된 지 500여년이나 지났음에도 여전히 고전으로 대접받고 있는 이유일 것입니다.  
 
5. 
드라마라곤 보면서도, 또 봤으면서도 통 어디 가서 얘기 하진 않지만. 꼭 한번 되짚어 보고 싶었던 건. ‘추노’가 보여주는. 결코 양반이기를 포기하지 않는 이들만이 양반, 상놈 구분 없는 ‘유토피아’가 어찌 가능한지를 꽤나 잘 알고 있다는 다소 거북한 설정 때문이었을까요. 아님 그래도 총을 거두었던 업복이가 다시 화약에 불을 댕기지 않았으면 하는 기대 때문일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3/05 10:38 2010/03/05 1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