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째 날, 무더위에 지쳐 겨우 덕산까지 걷고 성심원으로 향하다(2012년 7월 28일)
 
아침에 일어나니 어제 밤 나물을 다듬던 옆 방 일행들은 편백나무 숲으로 산책을 나갔다고 한다. 누군 아무리 늦게 도착해 녹초가 됐다고는 해도, 참 부지런들 하다. 그나저나 빨래가 하나도 마르질 않았다. 새벽 서리를 맞은 건지, 피곤한 몸에 꼭 짜질 못해서인지 모르겠지만. 배낭에 주렁주렁 매달고 가야할 생각을 하니 식전부터 심란하다. 하지만 어째, 일단 밥부터 묵고, 냉장고에서 얼린 물과 빈 생수통을 바꾸고, 어제 일을 교훈 삼아 단단히 맘을 먹고 출발한다. 다만, 오늘 잘 곳이 마땅치 않으니 덕산까지만 걷기로 하고.
 
위태를 감싸 안은, 안개인지 구름인지가 걷히니 아침인데도 또 땡볕이다. 갈치재에서 만난 대나무 숲도, 유점마을 느티나무 그늘 아래 평상도, 더위를 피하기는 쉽지 않다. 점심때도 멀었건만 벌써 얼음물은 반 이상 녹았고. 길 옆 감나무가 늘어선 긴 내리막길을 지나 겨우 도착한 중태마을 안내소에 도착히니 얼음은커녕 물도 없다. 여기까지 오는 동안 한 사람도 만나지 못했다며 느닷없이 사진찍자 달려든 부부 때문에 잠깐 웃기는 했지만. 이래서야 어디 덕산까지 갈 수 있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꾸만 여서 자고 가라는 할마시들을 뒤로하고 땡볕에 다시 길을 나서니 다들 걱정스런 얼굴이다. 하긴 제 정신이 아니면 이 더위에 어찌 걸을 생각을 할까. 외지에서 온 사람들이나 되니 기어코 길을 나설 터이니. 할마시들로서는 이해가 되질 않을 터이다.

 
11시가 넘어 중태마을을 출발해 1시가 다 되 덕산에 도착했으니 시간상으론 겨우 3시간을 걸었을 뿐인데. 천평마을 못 미쳐 2층 평상에서 대자로 뻗어 쉬었고. 이글이글 타오르는 아스팔트길을 느릿느릿. 달팽이 기어가듯 걸었으니 걸은 길은 얼마 되지 않을 듯. 하지만 얼굴뿐만 아니라 종아리, 허벅지까지 뜨끈뜨끈. 배는 등에 붙고 기력은 완전 소진. 여서 더 갈 수 없다는 게 되레 다행이지, 싶다. 그런데도 맛난 걸 먹겠다고 이리저리 왔다 갔다. 몸만 더 고생이다.
 
셋째 날, 해질녘 강 따라 걷는 길, 성심원에서 산청읍까지(2012년 7월 29일)
 
하늘이 도왔나, 여름 성수기 때 방구하기가 쉽지 않을 터인데. 이 보다 더 좋은 민박을 구할 수 있을까 싶은 곳에 자리를 잡았다. 둘레길 안내소와 게스트하우스가 있는 경호강가 성심원.
 
어제 낮, 밥을 먹고 쉴만한 곳을 찾아 대원사까지 갔었지만 가는 곳마다 인산인해(人山人海). 여기저기 전화를 돌려보지만 역시나 방 없음 또는 턱도 없는 방 값. 이거 집에 가야 하나 전전긍긍하고 있던 차에 생각난 것이 당초 모래 자기로 했던 성심원이었는데.
 
방도 2개에 샤워실과 화장실이 따로 있고, 밥은 식당에서 먹긴 했지만 취사시설까지 있으니. 둘이 머물기엔 호사가 아닌가도 싶다. 게다가 덕산에서부터 성심원까지 건너뛰긴 했어도. 실은 백운계곡이니 웅석봉이니 하는 산들을 넘는 게 여간 부담이 되지 않아 다행이지 싶지만. 여기서 다시 둘레길을 이어가면 될 듯싶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조용하고 고즈넉한 분위기에 늘어지게 책도 보고 산책도 할 수 있겠다 싶어, 하루 더 빌리기로 한 것이다. 해서 어제, 오늘 이방에서 저방으로 뒹굴뒹굴, 책보다 밥 먹고 낮잠 자고. 해질녘이 돼서야 산책도 할 겸 산청까지 쉬엄쉬엄 걸었다.

 

길을 잘 못 들어 과수원을 가로질러 가기도 걷기도 하고. 산한만 개에 놀라 뛰다시피 걷기도 하고. 여름철 물놀이며 래프팅을 즐기는 사람들이 내뿜는 매연을 피해 걷기도 하고. 노을 지는 강이 이뻐 한동안 멍하니 바라보기도 하고, 그러면서 말이다.

 

* 지리산 둘레길 걷기 첫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보통 둘레길은 시계방향으로 걷지만, 반대 방향으로 걸었다. 하동호-삼화실, 위태(상촌),-하동호, 덕산(사리)-위태 구간을 삼화실 바로 아래 이정마을에서부터 덕산으로 걸은 것. 여기에 덧붙여 수철-어천 구간 중 풍현(성심원)에서 바람재를 넘어 산청읍까지 산책하듯 걸었다. 첫째 날은 이정마을에서부터 위태까지 약 21km, 둘째 날은 위태에서 덕산까지 10km 남짓, 셋째 날은 6km 정도.
 
* 가고, 오고
태백에서 지리산까지는 가는 길이 만만치 않다. 버스로든 기차로든 여러 번 갈아 타야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 뭐든 대략 6시간 내지 7시간 정도 걸리는데, 대구 쪽으로 가야 자주 있다.
 
* 잠잘 곳
이정마을과 바로 옆 삼화실에는 민박과 게스트하우스가 있으니 출발지로는 안성맞춤이다. 하동호 주변, 궁항리, 위태, 중태에는 숙박할만한 곳이 여럿 있으니 적당한 곳에서 쉬어 가면된다. 성심원에는 게스트 하우스가 있는데 식당 이용은 사전에 알아봐야 한다. 때맞춰 자원활동을 하러 온 이들이 있다면 저렴한 가격에 밥을 먹을 수도 있으니. 지리산 둘레길 공식 홈페이지에는 교통편, 숙박, 음식 등에 대한 더 자세한 후기들이 많으니 꼭 봐야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10/18 08:49 2012/10/18 0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