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지금까지 역사는 인간이라는 종(種)이 걸어온 자취를 기록한 것이었습니다. 그것도 진보(進步)라는 이름으로 말이지요. 가령 석기시대니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를 거쳐 호모오일리쿠스로 진화하거나 수렵채취와 정착농경을 거쳐 산업혁명, 정보사회로 변화했다는 그 어떤 설명이라도 말입니다. 
 
하지만 호모 에렉투스니 호모 사피엔스사피엔스니 하는 현생인류의 조상으로부터 시작된 이 역사를 대략 46억년 정도라고 알려진 지구의 나이와 비교해본다면. 그렇습니다. 인간의 역사는 티끌만치도 안 되는 시간을 기록한 것이며, 인간 이외의 것들에 대해서는 그다지 알려주는 게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인간이 출현한 직후뿐만 아니라 그 이전 지구의 모습이 어떠했는지, 인간 이외 다른 동물과 식물들이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를 알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저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추정하고 추측할 수 있을 뿐이지요. 그리고 이 지구상엔 문자를 쓰는 종(種)이 인간뿐인지라, 어찌 보면 그런 서술방식밖에 나올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클라이브 폰팅은 이런 역사 서술과는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합니다. 그가 쓴 <The Green History of the World: 녹색세계사>에는 우리가 알고 있고, 우리가 배워왔던 역사에선 외면했던 이야기들, 아니 감추고 싶었던 이야기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앞선 문명을 건설했다고 알려진 이스터 섬 사회가 어떤 이유로 사라졌는지를 시작으로 진보의 역사 뒤에 숨겨진 파괴의 역사를, 인간이 출현하면서부터 시작된 지구 환경 파괴의 역사를 써낸 것이지요.
 
더불어 폰팅은 역사란 인간이 걸어온 자취만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복잡하게 상호 관련된 지구 환경을 함께 기술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럴 때에야 만이 인류라는 종 앞에 놓인, 아니 지구 앞에 높인 환경 위기에 대해 ‘녹색’ 문명사적 반성이 가능하다는 것이지요.   

 

현재의 환경 상태와 앞으로의 전망에 대한 책은 많아도 먼 과거까지 거슬러 올라가거나 환경이 어떻게 인간의 역사를 결정지었는지에 대해 서술한 책은 거의 없었으며, 기초까지 파고들어 가서 내가 보기에는 중요한 질문들을 던진 책은 아예 없었다. 그래서 나는 세계 역사를 ‘녹색’ 시각에서 보는 책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p.12

 

글을 쓴 이는 제1세계인입니다. 저자의 말대로 “‘녹색’ 주제가 단순한 자연 세계의 상태에 대한 문제가 자원과 에너지의 사용, 빈부의 격차, 사람들이 어떻게 사람들을 대하는 가의 문제, 그리고 그들이 살고 있는 세계에 대한 사람들의 사고방식의 문제”임이 틀림없다면. 좀 더 솔직한 반성, 좀 더 솔직한 고백이 있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물론 폰팅이 우려하는 것처럼 제3세계 나라들의 급속한 경제성장은 주목해야 할 부분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사다리 걷어차기’가 되지 않으려면 제1세계 나라들의 뼈아픈 반성과 고백이 먼저 있어야 하겠지요. 그리고 굶주리고 있는 제3세계 나라 사람들에게 그들이 가진 식량과 부를 넘겨줘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먼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간 이들이 다른 사람들은 올라오지 못하도록 걷어차는 일밖에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런 약점에도 불구하고 <녹색세계사>는 지구 환경 위기에 대한 녹색문명사적 해석과 반성을 함에 있어 매우 중요하고 소중한 책임에는 틀림없습니다. 거의 유일한 지구 환경 파괴의 역사이기 때문이지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09/15 16:43 2013/09/15 1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