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노현 교육감이 풀려났습니다. 뭐 애당초 어떤 이유에서였건 잡아넣기만 하면 된다는 쪽에선 땅을 치고 분할 일이겠지만. 또 그래서 ‘화성인 판결’이니 뭐니 해대며 분개할 만도 하겠지만. 처음 일이 터졌을 때부터 다짜고짜 어울려 비난을 퍼붓던 진중권 교수가 다시 등장한 건 대체 뭐랍니까. 듣기에도 진부하고 고리타분한 진보진영의 ‘정의’와 ‘도덕’을 다시 강의하려는 건가요. 솔직히 아무리 좋게 보려 해도 진교수 입장은 그저 곽노현 교육감이 처음부터 끝까지 몹시 인정머리 없고 매정스런 태도로 일관했어야 옳았다고 얘기하고 싶은 건가, 싶은 정도인데 말입니다. 뭐, 남이 뭐라 생각하던 자기 방식의 ‘정의’와 ‘도덕’을 끝 간 데까지 밀고 가기로 작정한 거라면 달리 할 말도 없지만. 이젠 속상한 걸 넘어 대체 그가 생각하는 고매한 ‘도덕’과 ‘정의’가 뭔지 알고 싶을 정돕니다. 그러니 이제 진중권 교수가 진중하게 말해줬으면 합니다. ‘정의란 무엇인가’요? 
 
냉갈령: 몰인정하고 쌀쌀한 태도. 몹시 인정머리 없고 매정스러운 태도. _____부리다.
 
처음부터 당사자들 얘긴 들어볼 필요 없다고 한 사람들이 있었지요. 잡아넣으려는 쪽은 당연지사. 한편이라고 여겼던 사람들마저 그랬습니다. 그 가운데엔 ‘도덕’과 ‘정의’를 훈계하던 사람도 있었지요. 한마디로 곽교육감이 박명기 교수를 냉갈령하게 내쳤어야 했단 얘깁니다. 하지만 말입니다. ‘오얏나무 아래 갓끈 고쳐 매지 말라’식 ‘정의’와 ‘도덕’이 무슨 ‘도덕’과 ‘정의’랍니까. 누군 ‘화성인 판결’이라고도 하더군요. 188쪽에 달한다는 법원 판결문. 그 안에 모든 진실이 담겨 있다고는 생각지도 않습니다. 또 무슨 일이 있었는지, 당사자들이 어떤 생각이었는지도 다 있지는 않을 겁니다. 하지만 그 안에는 곽노현 교육감이 생각하는 ‘정의’와 ‘도덕’이, 강경선 교수가 말하는 ‘도덕’과 정의‘가 무엇인지도 조금은 있겠지요. 그래서 말입니다. 조금 많긴 하지만. 싸 잡이 옳으니, 그르니 하기 전에. 그 판결문을 한번이라도 봤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진중권 교수도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2/07 12:39 2012/02/07 1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