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타이밍도 끝내주지요. 작년 이맘 때 추석 선물로 곽노현 교육감을 구속 하더니.  물론 이런 상황을 염두에 두고 기일을 잡았을 리 만무하겠지만 말입니다.
 
묻는 말마다 “역사의 평가에 맡기자”며 발뺌하다 결국은 문재인 약진에 안철수 등장으로 코너에 몰린 박근혜를 살리려는 건지. 
 
‘해고무효소송’은 8년씩이나 미루고 미뤘던 대법원이 느닷없이 곽 교육감에 대한 상고심 선고 공판을 오는 27일에 왜 연다고 했을까요.
 
그것도 ‘사후매수죄’라는, 전세계적으로도 전무후무한 법 조항이 헌법재판소에서 위헌여부를 가리지도 않았는데 말입니다. 
 
이미 1심과 2심 재판부도 사전에, 공모도 없었다는 걸 밝혔음에도 벌금형에 이어 징역형까지 선고한 걸 보면. 또 정황재판, 여론재판 판박이가 되는 건 아닌지 걱정입니다. 
 
진보교육감들이 하는 일마다 트집 잡기도 모자라. 이젠 대놓고 털어 안 나오면 말고식 검찰수사에 못된 놈 손 봐준다식 교과부 감찰까지 나서는 걸 보면 말입니다.
 
아니 이번 기회가 마지막이라고 생각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게다가 여론 조사란 게 당최 믿을 수 없기로 유명하니 얘기하긴 뭐하지만.
 
최근에 중도적 성향을 띠고 있던 이들이 대거 안철수 쪽으로 이동을 했다고 하고. 주구장창 묻지 마 한나라당 찍기로 유명한 곳들도 요동을 치고 있다고 하는데.
 
솔직히 이런 소리가 갑자기 들리는 것도 마냥 좋지만은 않습니다. 
 
안철수를 믿는 것도 아닌데다, 역시나 묻지 마 야권연대로 정권교체 운운하는 것도 같잖아서이기도 하지만.
 
추풍낙엽처럼 떨어지는 중도층을 잡아두고, 여전한 지지기반인 보수층은 더욱 결속시키려 무슨 일을 벌어질 지 알 수가 없기 때문이지요.
 
그러니 민심 잡기에 혈안이 된 보수세력이 또 추석 선물로 곽노현을 잡으려는 건 아닌지 걱정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게다가 사건이 터진 때부터 덮어놓고 발 빼려 했던 이들은 제쳐놓더라도. 그나마 지지하고 힘을 실어줬던 이들까지 다들 어디에 정신을 팔고 있는 건지.
 
저쪽은 애당초 잡아야겠단 마음으로 덤볐으니 칼을 빼들었고. 이런 이유, 저런 핑계로 한 명, 한 명 포위망을 좁혀오는데 말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9/25 08:31 2012/09/25 08:31
곽노현 교육감이 풀려났습니다. 뭐 애당초 어떤 이유에서였건 잡아넣기만 하면 된다는 쪽에선 땅을 치고 분할 일이겠지만. 또 그래서 ‘화성인 판결’이니 뭐니 해대며 분개할 만도 하겠지만. 처음 일이 터졌을 때부터 다짜고짜 어울려 비난을 퍼붓던 진중권 교수가 다시 등장한 건 대체 뭐랍니까. 듣기에도 진부하고 고리타분한 진보진영의 ‘정의’와 ‘도덕’을 다시 강의하려는 건가요. 솔직히 아무리 좋게 보려 해도 진교수 입장은 그저 곽노현 교육감이 처음부터 끝까지 몹시 인정머리 없고 매정스런 태도로 일관했어야 옳았다고 얘기하고 싶은 건가, 싶은 정도인데 말입니다. 뭐, 남이 뭐라 생각하던 자기 방식의 ‘정의’와 ‘도덕’을 끝 간 데까지 밀고 가기로 작정한 거라면 달리 할 말도 없지만. 이젠 속상한 걸 넘어 대체 그가 생각하는 고매한 ‘도덕’과 ‘정의’가 뭔지 알고 싶을 정돕니다. 그러니 이제 진중권 교수가 진중하게 말해줬으면 합니다. ‘정의란 무엇인가’요? 
 
냉갈령: 몰인정하고 쌀쌀한 태도. 몹시 인정머리 없고 매정스러운 태도. _____부리다.
 
처음부터 당사자들 얘긴 들어볼 필요 없다고 한 사람들이 있었지요. 잡아넣으려는 쪽은 당연지사. 한편이라고 여겼던 사람들마저 그랬습니다. 그 가운데엔 ‘도덕’과 ‘정의’를 훈계하던 사람도 있었지요. 한마디로 곽교육감이 박명기 교수를 냉갈령하게 내쳤어야 했단 얘깁니다. 하지만 말입니다. ‘오얏나무 아래 갓끈 고쳐 매지 말라’식 ‘정의’와 ‘도덕’이 무슨 ‘도덕’과 ‘정의’랍니까. 누군 ‘화성인 판결’이라고도 하더군요. 188쪽에 달한다는 법원 판결문. 그 안에 모든 진실이 담겨 있다고는 생각지도 않습니다. 또 무슨 일이 있었는지, 당사자들이 어떤 생각이었는지도 다 있지는 않을 겁니다. 하지만 그 안에는 곽노현 교육감이 생각하는 ‘정의’와 ‘도덕’이, 강경선 교수가 말하는 ‘도덕’과 정의‘가 무엇인지도 조금은 있겠지요. 그래서 말입니다. 조금 많긴 하지만. 싸 잡이 옳으니, 그르니 하기 전에. 그 판결문을 한번이라도 봤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진중권 교수도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2/07 12:39 2012/02/07 1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