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을 넘다(2006년 4월 16일)

 

어제는 밤이 꽤 깊어서야 천은사 입구에 도착할 수 있었다. 토요일, 일요일 일정은 몸도 마음도 무척 피곤해 웬만하면 피하려했는데 오후 늦게 서야 “또 가자!”며 나선 바람에 그리된 것이다.

 

햇살이 창문에 들어오는 것을 느끼자마자 일어났는데도 7시 밖에 되지 않았으니 해가 길어지긴 길어졌나보다. 번갈아 가며 세수를 하고 아침 뉴스를 보니 낮은 기온에 바람까지 강하게 분다고 한다. 최대한 짐을 가볍게 한다고 겉옷을 준비해오지 않았는데, 걱정이다. 신발 끈을 조여 매고 민박집을 나서니 정말 바람이 장난 아니다. 이러다 지리산을 코앞에 두고 돌아가야 하는 건 아닌가 걱정이다. 그래도 여기까지 왔으니 천은사 구경이라도 하고 갈 생각으로 산길로 접어드니 한결 바람이 가셔진다. 다행이다.

 

09:08 천은사

천은사를 둘러보고 나니 출출하다. 절 입구 슈퍼, 인심 좋은 아주머니 덕에 맛난 갓김치와 라면으로 아침을 해결한다. 비록 차를 위해 닦여진 길이지만 지리산으로 한 발 한 발 들어간다. 햇빛이 정면에서 얼굴을 내리쬐고 있어 무척이나 따갑다.

 

<지리산 하면 으례 화엄사나 실상사를 떠올리지만 천은사는 이에 견줄만 한 숨겨진 보물이다>

 

10:07 해발 600m

산 아래는 벚꽃이 이미 졌고 나무마다 파란 잎새들이 달려있지만 이곳은 이제야 새순이 머리를 내밀고 있다. 구불구불 고갯길을 한참 올랐지만 아직은 거뜬하다.

 

10:35 해발 700m

바람이 거세진다. 아무래도 옷을 너무 얇게 입은 것 같다. 산행을 위해 두터운 옷을 준비했어야 했는데. 가파른 오르막에 이젠 숨도 조금씩 차 오른다. 잠시 쉬면서 숨을 고른다.

 

10:45 해발 800m

10분만에 100m를 더 올랐다. 그만큼 길이 가파르다는 이야기다. 그래도 ‘300m만 오르면 된다’며 힘을 낸다. 평지 길에서는 콧노래도 부르고 이런저런 이야기도 많이 하는데 지금은 둘 다 땅만 보고 걷는다.

 

10:58

아찔한 벼랑끝 굽이 길을 돌아서니 해발 900m다. 이런 길이 아니더라도 운전대를 잡는 게 무서운 우리들로서는 어찌 이런 길에 차를 끌고 갈 수 있는지 그저 궁금할 따름이다. 곳곳에 ‘이곳은 올 해 추락사고로 0명 사망, 00명 부상’ 플랑카드가 걸려있고, 어떤 것은 사고 당시 사진까지 걸어놨는데도 말이다.

 

11:13 시암재 휴게소

두 고개만 돌아서면 시암재인데 바람이 점점 거세 진다. 햇빛을 가리기 위해 쓴 모자가 오히려 바람 때문에 거추장스럽기만 하다. 시암재 휴게소에 도착하니 저만치 발아래 구례 땅이며 하동 땅이 보이는데, 어디선가 난데없이 바람에 날려온 똥 묻은 알록달록한 휴지들 덕에 경치구경은 뒷전이고 모처럼 목젖이 보일 만큼 크게 웃는다.

 

11:29 해발 1,000m

천은사를 출발한지 2시간 20여분만에 해발 1,000m에 도달하다. 하지만 기쁘기보다는 ‘무엇 때문에 이 높은 곳에까지 길을 내었을까?’라는 생각뿐이다. 남원~정령치~심원의 지리산 진입로와 달궁~성삼재~천은사의 일주도로 덕분에 노고단이 쉬이 열리기는 했지만 지리산의 생태계뿐만 아니라 조용했던 인근의 마을들까지도 덩달아 세상을 향해 열린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위는 시암재에서 성삼재를 향해 바라본 모습이고 아래는 반대로 성삼재에서 시암재를 본 모습이다>

 

11:44 해발 1,100m

천 미터를 지나고 나니 천백 미터는 그저 안내판에 적힌 숫자, 그 이상의 의미가 없다.

 

11:55 성삼재 휴게소

드디어 차로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곳에 도착했다. 멀리 굽이굽이 지나온 길이 아득하기만 하다. 헌데 이곳은 봄철 입산금지에서 벗어난 유일한 곳이라 그런지 노고단으로 오르려는, 화엄사계곡으로 내려가려는 등산객들로 매우 혼잡해 오래 머물 곳이 못된다. 요기만 하고 서둘러 달궁으로 향한 내리막길로 접어든다.

 

13:25

일곱 번째 여행만에 드디어 전라북도로 들어선다. 작년 6월 첫 여행을 시작했으니 근 1년여만에 남도를 벗어난 셈이다. 그동안 사고 없이 이곳까지 온 것에 대해 감사해주고 서로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또 앞으로의 여행에서도 지금까지와 같이 아무 탈 없었으라는 기원도 해본다.

 

15:20 뱀사골입구 반선마을

구례에서부터 시작된 861번 지방도로를 따라 지리산을 넘어온 길을 되짚어보니 20km가 넘는다. 평지 길이면 5시간으로 충분히 걸을 수 있는 거리지만 꾸불꾸불한 산길을 오르고 내려오면서도 6시간밖에 걸리지 않았으니 참 장하다. 계곡물에 발까지 담그고 시원하게 주무르며 전주로 나가는 시외 버스를 기다린다.

 

* 일곱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구례에서 시작되는 861번 지방도로는 성삼재를 지나 전라북도로 넘어가면서 굽이굽이 돌아 실상사 입구까지 이어진다. 우리는 이 길을 따라 천은사에서 뱀사골입구 반선마을까지 약 20km를 걸었다. 걸은 시간은 약 7시간.

 

* 가고, 오고

구례까지는 서울남부터미널에서 시외버스가 다니며, 뱀사골에서는 전주나 남원을 경유해야 서울로 올 수 있다. 뱀사골 차편은 뜨문뜨문 있는 것도 문제인데, 시간마저 제 멋 대로니 사전에 꼼꼼히 확인해야 함은 물론이고 웬만하면 버스정류장 한쪽 의자에 앉아 버스가 출발하기를 기다려야 할 것이다.

 

* 잠잘 곳

천은사 인근과 성삼재 너머 ‘하늘아래 첫 동네’ 심원마을에는 민박이 몇 있으나 시암재와 성삼재 휴게소를 제외하고는 민박, 음식점이 전혀 없다. 다만 성삼재 넘어 심원마을, 달궁, 반선까지는 군데군데 휴게소를 겸한 매점이 눈에 들어온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05/31 17:33 2009/05/31 1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