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미국의 업무관련 부상 및 질병 기록체계 - OSHA log

이곳에서 참여하게 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뉴욕주와 매스주 등 100여개 병원의 OSHA log를 코딩하는 일에 동참하고 있다. 다들 돈받고 해야 되는 일이라 하나, 한푼도 안 내고 강의듣고, 세미나 참석하고, 컴퓨터/책상 등 사용하는 것으로 됬다 싶고, 도대체 미국 산재보고체계는 어떤지 배울 심산으로 열심히 하고 있다. 함께 작업을 하는 박사과정 간호사인 카렌이 마침 내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Journal of AAOHN에 게재된 OSHA관련 논문을 하나 주었다.

읽어보니,



10인이하 사업장이나 덜 위험한 사업장은 예외이기는 하나, 대부분의 사업장은 노동자의 부상과 질병에 대해 OSHA 300 log으로 불리우는 양식을 기록하고 보관하여야 한다. 주로 산업간호사나 안전담당자, 혹은 인사과 직원이 관리를 맡게 된다.

보고서 작성의 목적은 업무관련 부상과 질병을 분류하고 개별 사례의 중증도를 기록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노동부 입장에서는 발생한 부상과 질병의 구체적 내용과 경위를 파악하는데 사용한다.

300 log와 별개로 요약보고서가 있는데, 고용주는 일년간 각 범주별 질병과 부상의 총 건수를 기록하여 전년도 자료와 함께 매년 2월1일에서 4월30일 사이에 노동자들이 잘 볼 수 있는 위치에 게시하여야 한다. 사업장이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경우에는 물론 각 곳에 다 게시하도록 하고 있다.

300log에 기록된 부상이나 질병은 산재보상과는 별개이다. 산재보상 신청여부와 상관없이 OSHA 300 log에 기록하도록 정한 기준(recordability)에 해당되는 모든 질병과 부상에 대해서는 기록을 남겨야 한다는 것이다. 노동부에서 산재보상처리 된 사례가 OSHA 300 log에 기록되어 있었는지를 사후에 확인할 수 있다.

OSHA 300 log에 기록하도록 정한 기준(Recordability)은 업무관련성이어야 하고, 사망/의식상실/작업시간손실/작업활동제한/업무전환/응급처치 이상의 의학적 처치를 초래한 부상이나 질병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병원노동자의 needle stick이나 날카로운 물체에 베인 상처(혈액이나 병원체 감염이 우려되는)는 모두 기록해야한다. 또한, Lead standard와 같은 특정 standard하에 규정된 medical removal criteria를 충족시키는 모든 사례도 기록해야 한다. 활동성 결핵환자에게 노출된 결핵감염과 청력손실 관련기준에 해당되는 사례도 기록해야 한다. 응급처치만 받은 경우는 기록할 필요가 없는데, 응급처치의 범위에는 일반의약품 복용, 파상풍예방접종, 상처처치(소독, 밴드, 거즈패드 등), 냉온요법, 탄력붕대감기, 임시 부목고정, 안대, 손가락 보호대 사용, 눈의 파편(조각)을 제거를 위한 핀셋사용, 눈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면봉사용이나 세척이 포함된다.

기록할 사항은 발생일시, 직종, 부서, 부상/질병의 양상(outcome of injury/illness), 부상/질병 이유(기전), 해당 신체부위, 작업제한일수, 작업휴무일수, fatality이다.

노동부 통계국에서 발표하는 부상/질병 발생률과 개별 회사의 발생률을 비교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단, 기록이 정확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그런데,,,, 막상 각 병원에서 보내온 OSHA log를 들여다 보니 참 한심하기 이를데 없다.

우선, 각 병원마다 직종이나 부서를 구분하는 것이 제 각각 다르다.  양식에는 그저 빈 칸이 주어져 있을 뿐이기 때문에 사업장별로 알아서 직종과 부서를 구분해서 쓰는 수 밖에 없다. 워낙 약자를 많이 사용하는 나라여서 더더욱 구별하기가 어렵다. 손으로 흘려 쓴 경우는 최악의 상황. 질병양상도 나름대로 정해놓은 기준이 얼마나 지켜지는지 의심스러울 따름이다. 업무제한이나 작업휴무일수가 0 인경우가 태반이고 주로 근골격계증상이 많은테, 냉온요법 이상 무엇을 했을까가 의문스럽고...(엄격하게 기록할 것과 아닌 것의 구분이 잘 안되는 듯함) 이유(기전)을 기록하지 않은 경우도 너무 많다. 달랑 증상과 부위(예:strain/sprain, leg)만 적어 놓은 것.  

 그러나, 간호사에서부터 경비원에 이르기까지 낙상, 자상, 환자에게 당한 폭력, 주사침 찔림 등 각종 다양한 상황들은 대략 그려질 수 있다.  약 100여개 병원에서 5년동안 기록한 OSHA log를 분석하는 것이니, 그래도 무언가 설명할 수 있으려나 모르겠다.  

 

 우리나라 사업장에서도 산재보고서만이 아니라, 건강관리실 업무일지 등에 증상만 쓰지 말고, 이유(기전), 치료를 위한 결근일수나 작업제한 시간 등을 기록하는 형태로 변경해볼 수 있을까?  특히, 근골격계증상이나 병원에서의 needle stick injury등에 대한 감시방법으로서 적절한 기록양식의 개발과 의무화를 고려해보아야 할 것같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병들어 가는 미국 간호사들....

 1995년에 미네소타주 간호협회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1990년부터 1994년동안에 일하다 다치거나 병든 간호사의 수가 65.2% 증가했다고 한다. 같은 기간동안, 해당 병원 간호사의 수는 9.2% 줄어들었고.  이는 병원 구조조정으로 초래된 결과로 해석되고 있다. 간호인력의 감축은 환자간호의 질을 떨어뜨릴뿐 아니라, 간호사 자신의 건강을 위협한다는 연구가 여러편 발견된다..

간호협회가 적극적으로 문제를 제기함에도 불구하고 이런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브라질에서 이민온 페인트작업자의 납중독사례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Grand Round;

 

발표자는 산업의학레지던트이거나 인근 병원 산업의학과 전문의이고, 사례발표에 대한 토론은 하바드 겸직교수(?)인 인근병원 산업의학과 전문의가 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오늘의 사례는 97년 브라질에서 이민온 30대의 페인트작업자가 severe stomach pain을 호소하며 응급실을 찾았던 경우였다. 보스톤 지역은 낡은 집들이 많아서 페인트작업자들이 주로 오래된 페인트를 벗겨내고, 새로 칠을 하게 되는데 문제는 낡은 페인트를 벗겨내며 납에 노출된다는 것이다. 평소 보호구를 전혀 착용하지 않고, 작업장소에는 손을 씻을 수 있는 시설도 없고, 일하며 먹고 담배 피우는 일이 다반사. 작업하면서 입었던 옷 그대로 집에 가곤 했단다. 하루 8-12시간씩, 일주일에 5-7일 장시간 노동을 하였고.

매사츄세스주정부 통계자료에 의하면, 혈중납농도가 25를 넘는 노동자의 수는 밧데리 공장 노동자들이 가장 많은데, 40이 넘는 노동자의 수는 페인트작업자가 더 많다고 한다. 이는 OHSA Standard가 40이기 때문에 대규모 사업장들은 그저 40미만으로만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에 비해 소규모사업장들은 그나마 관리를 못하기 때문으로 설명하였다. Standard를 마치 절대 안전선으로 이해하는 고용주의 방어적 태도가 미국에서도 문제가 되는 듯하고, 소규모사업장에 대한 무대책  또한  비슷한 듯.

매사추세츠 지역은 다양한 인종들이 이주해온 곳으로 인종에 따른 직업별 분포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 같다. 발표자의 병원에 납중독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74%가 브라질출신 페인트작업자였다고 하고, 지난번 웤샵에 들은 바로는 메니큐어리스트의 90%이상이 베트남출신 이주자들이라고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ipetts 작업관련 두개의 논문

Lee YH, Jiang MS. An ergonomic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pipettes. Applied Ergonomics 30(1999) 487-493

 

David G, Buckle P.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ergonomic problems associated with pipettes and their usage with speicific refrence to work-related upper limit disorders. Applied Ergonomics 28(4) (1997) 257-262

다른 문헌을 찾다가 우연히 발견하다. 새로 개발된 피펫모델이 있어서 유용할 것 같으니 다음 주에 Leslie에게 갔다 주어야겠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작업환경평가 : Carpal Tunnel Syndrome 사례

Brigham Women's Hospital(BWH)의 산업보건과에서 전문간호사인 Leslie를 다시 만났다.

오늘 방문의 목적은 CTS로 물리치료를 받고 있는 노동자의 작업환경평가를 하러 가는데 같이 참여하기로 한 것. Partner그룹(본사)소속 인간공학자가 함께 작업현장으로 찾아갔다.

 

해당 직원은 Tanslant Research Center에서 일하는 스물살정도 여자로 실험실에서 작은 시험관튜브판에 피펫을 이용해서 시약을 넣기도 하고 씻어내기도 하는 작업을 주로 하고, 때떄로 컴퓨터에 데이터를 입력하기도 한다고 하였다. 이들이 주로 문제로 생각한 점은 피펫. 수없이 눌러대야 하는 피펫의 무게와 누르는 힘의 정도가 그녀의 엄지에서부터 손목을 있는 부의의 근육에 무리를 주고, 피펫작업을 하면 팔꿈치가 공중에 들리기 때문에 결국 팔꿈치에도 부담이 갈 것이라고 판단하는 듯 했다. 두 사람(간호사와 인간공학자)은 아무런 도구도 없이 그저 눈으로 보고, 당사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동료직원이 일하는 것을 관찰하고. 해당 상급자가 함께 참여하여 설명을 보탰는데 태도는 매우 협조적이며 지지적. 전혀 고압적이거나 부정적이지 않았다.

 

소요시간은 한 시간정도. 피펫의 교체와 팔을 얹어놓고 일할 수 있는 보조장치의 가능성을 더 검토하기로 하고, 컴퓨터 작업시 바른 자세에 대해 설명과 교육을 짧게 한 후 돌아왔다.

작업환경평가를 하는데 사용하는 채크리스트가 있어서 돌아온 후 기록으로 남기는 절차를 거친다고 하는데, 얼핏보니 매우 간단한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인상적인 것은 인간공학자와 간호사간의 매우 협력적인 관계, 간호사는 그에게 자신의 의견, 작업환경평가능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고 배우고자 했으며 인간공학자는 피펫작업자의 인간공학 관련 논문을 찾아서 보내주겠다는 등 아주 우호적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직업관련성 부상이나 질병은 메사츄세츠 주정부가 마련한 Treatment Guideline과 Review Criteria를 적용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노동자가 진료를 받는 과정과 예방적 조치 및 교육, 작업복귀에 관한 상담 등을 하는 것이 Case Manager의 역할인 듯하다. 오늘의 방문은 Case Management Process의 한 단면을 본 것이겠거니 싶고. 잠시 앉아서 기다리는 동안 두 사람의 대화에서 요통으로 병가를 받고는 올란도로 휴가간 한 직원이 작업복귀를 힘들어하고 있어서 골치라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다음 주에는 좀더 복잡한 사례를 접해보도록 약속함.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빨간양말과 자깨오

  • 분류
    riverway
  • 등록일
    2004/11/02 03:37
  • 수정일
    2004/11/02 03:37
  • 글쓴이
    크자
  • 응답 RSS
   보스톤 사람들은 레드삭스의 승리를 보스톤 시내의 카퍼레이드로 축하하였다. 86만의 기적적인 승리를 환호하며 비가 오는데도 불구하고 수많은 사람들이 선수들을 에워쌌다. 보스톤 시내를 들어서는 선수들과 관련 스텦들의 차량을 보기 위해 건물 옥상과 큰 차 위에 올라선 사람들도 있었고, 행렬의 뒤를 쫒아 달리는 젊은이들도 보였다.

   2000년전 구원의 기쁜 소식을 전하는 예수님의 행렬이 지나친다는 소식을 들은 자깨오는 나무위에 올라가는 적극성을 발휘하였다. 키가 작고, 평소 떳떳하지 못한 삶을 산다고 느꼈을(?) 그는, 예수님을 볼 수 있는 순간에는 주저하지 않았다. 달려나가, 애를 써서 나무위에까지 올라가는 튀는 행동을 한 덕분에 예수님께서 그의 집에 머무르시게 되는 행운을 얻었다. 그는 그 은혜와 축복에 감동하여 자기 재산의 절반을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주겠다는 결단을 하기까지 하였다. 그 사건으로 그의 인생은 전혀 새로운 차원으로 변화되었음을 복음서는 전하고 있다.

   나는 TV로나 빨간양말팀과 환호하는 군중들을 관망했듯이, 언제, 어느 곳에서 구원의 사건이 일어날 것인가를 두리번거리며 “지금 이 순간, 바로 이 곳에서” 베푸시는 축복을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Tele-conference

미국의 NIOSH는 전국의 14개(?) 대학에 교육 및 연구지원센터( Education and Research Center)를 지원해주고 있다. Havard ERC도 그중 하나인데, 주로 북동부 지역의 산업보건관련 연구와 교육을 맡아 주관한다. 그중에서 내가 참여하고 있는 산어보건정책 및 연구프로그램은 NIOSH가 산업보건 관련 정책의 취약함을 고려하여 미국 전역의 3개대학에 특별히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산업보건정책이라고는 하지만, 주로 산재보상관련 측면을 다루는 듯하다.

서부의 워싱턴주의  University of Washington, 중부는 미네소타주의 University of MInnesota 와 함께 공동으로 기획한 것이 월1회씩 개최되는 Tele-conference이다. 주로 논문을 하나 정해서 읽고 주관한 대학의 교수가 배경과 의미를 설명한 후에 몇가지 토론거리를 정해서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데, 전화를 이용하기 때문에 그냥 순서를 정해 돌아가면서 한마디씩 하는 방법을 취할 수 밖에 없었다.

 

1시간정도 진행하는데, 충분한 이야기를 나누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참석한 학생들은 산업의학 수련의이거나 산업간호 박사과정 학생들이었다. 모두 여성. Havard program의 공동 director인 Allard Dembe교수만이 청일점 남성. 미국에서도 산업보건은 역시 인기가 없는 분야이며, minority그룹임이 분명한 듯하다.

 

Allard Dembe교수는 U of Mass 소속으로 산재보험회사에서 다년간 실무를 하다가 대학으로 자리를 옮긴 유대인이라고 들었다. 산업보건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접근성을 강조하는 듯한 인상이었고, 산업보건에서의 불평등에 관해 나름대로 관심을 갖고 논문을 몇편 쓴 것이 있다고 하니, 한번 찾아보아야겠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사회역학에 대한 공부

 이론적으로나 방법론 측면에서 이곳에서 공부를 해야 할 영역을 사회역학으로 선택하였다. 이찌로 가와찌 교수의 강의를 듣고, 책을 읽으면서 비로서 ‘population-based or population-focused" 관점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었다. 이는 그동안, 지역사회간호학의 정체성을 고민해오면서 갖고 있었던 의문이자 숙제꺼리였는데...

특히 Social network, social capital 개념은 지역사회간호학의 intervention 영역을 개발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수 도 있을 것 같다. 내친 김에 간호학 저널에서 얼마나 사회역학적 개념이 다루어졌는지 찾아보기 시작하였는데, 최근 1-2년에 social capital을 새로운 개념으로 소개한 논문이 한두편 있었고, 검색을 더 해보아야 겠다. poverty and nursing으로..

And,

 지난 학기 Society and Health에 이어 이번 학기는 Introductiory Physiolosy and Social Determinants fo Health  듣기 시작하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산재보상에 있어서 인종에 따른 차별 여부에 관한 논문

Tait RC, Chibnall JT(2001). Work injury management of refractory low back pain:relations with ethnicity, legal representation and diagnosis, Pain 91, 47-56

 

 1992년에서 1997년까지 6년동안 4개 산업의학크리닉에서 요통으로 진단받고 산재보상받은 환자에 대한 진료기록과 법정소송자료를 분석함. 결론은 법적 대리인이 없는 경우에 아프리칸 아메리칸 노동자의 경우 코캐시언 노동자에 비해 낮은 장애판정을 받게 되는 경향이 있고, 법적 대리인이 없는 노동자들의 경우 진단에 상관없이 유사한 진단검사를 받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이는 인종에 대한 차별, 법적대리인의 감시가 없는 경우 의사들이 관행적으로 진료행위를 하게 된다는 social judgement model에 근거한 설명과 의사들이 자신이 법정에 나가지 않아도 될 정도의 장애판정을 내리게 된다는 defensive medicine의 경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있음.

그러나, 분석대상이 184명에 불과하기 때문에 인종차별을 확인하기에는 biased sample의 문제가 결정적인 한계를 지닌다는 점이 지적되었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다시 미국생활을...

  • 분류
    riverway
  • 등록일
    2004/10/29 23:08
  • 수정일
    2004/10/29 23:08
  • 글쓴이
    크자
  • 응답 RSS
 

언니들이 함께 지낸 지난 열흘은 나 역시 잠시 여행을 온 듯한 기분으로 지냈다. 돌아가고 나니, 다시 미국생활을 시작하는 듯한 실감이 난다. 하루 비행기를 타면 돌아갈 수 있는 한국. 그곳을 떠나 나는 지금 이곳 미국 땅에 있다.

여전히 마음이 조급하기도 하고, 한편 지금 아니면 언제 이런 여유를 누려볼까 싶어 마냥 게을러지고 싶기고 하고.

이럴 땐 아침미사가 특효약이다. 나를 위해 그분이 계획하신 것이 있을 터인데, 무엇일까 여쭈어보고 그분의 계획 중에 지금 내가 이곳에 있는 것임을 확신할 수 있게 되는 시간... 다시 그분께 온전히 의지하기로 하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