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미군기지 자주평화원정단’, 동두천 의정부 미군기지 찾아

▲전국 미군기지 자주평화 원정단이 10일 의정부시 캠프 스탠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미군기지 온전한 반환을 촉구했다. 
▲전국 미군기지 자주평화 원정단이 10일 의정부시 캠프 스탠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미군기지 온전한 반환을 촉구했다. 

‘전국 미군기지 자주평화원정단’은 7일차 마지막 날 일정으로 동두천과 의정부 미군기지를 찾았다. 이곳에 이미 반환된 줄 알았던 미군기지가 그대로 남아 있어서 원정단의 분노를 자아냈다.

2004년 한미연합토지관리계획(LPP)에 따라 2016년까지 모두 반환하기로 한 이곳 주한미군 기지는 아직 반환되지 않았다.

이 사이 평택 미군기지 ‘험프리스’가 미군 단일 기지로는 세계 최대 규모, 여의도의 5.5배 면적에 약 18조 원을 투입해 조성되었다.

주한미군 병력은 대부분 평택기지로 이동했지만, 동두천시 전체 면적의 42%인 40.63㎢의 기지와 의정부시 캠프 스탠리 2,457㎢는 반환하지 않고 있다.

주둔하지도 않는 미군기지를 반환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동두천 기지의 경우 미2사단 예하 부대인 210화력여단의 역할 때문이다.

210화력여단이 한강 이남 평택으로 옮길 경우 북과의 전면전 시 대응 속도가 늦어질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미군은 2014년 동두천 부지반환을 일방적으로 취소했다.

현재 미군은 캠프모빌 등 동두천 일대 기지에 무인정찰기 격납고와 활주를 설치해 정찰 비행 훈련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미군이 의정부 캠프 스탠리를 반환하지 않는 이유는 헬리콥터 급유를 위한 중간기지가 필요한데, 아직 대체 헬기장을 마련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평택 미군기지에서 휴전선까지의 거리는 100㎞, 동해안의 끝인 고성까지도 200㎞에 불과하기 때문에 순항거리가 800㎞인 헬리콥터가 중간에 연료가 떨어지는 일은 없다.

미군이 캠프 스탠리를 반환하지 않는 진짜 이유는 8년 만에 이곳에 다시 주둔하게 된 제23화학대대 때문으로 보인다.

제23화학대대는 로드리게스 실탄사격장에서 탄저균 등을 대상으로 화학 및 생체시료 분석훈련을 실시했다. 주한미군은 지난 2019년 12월 캠프 스탠리에서 제23화학대대가 훈련을 한 사진들을 공개한 바 있다.


주한미군에 우리 세금으로 지어준 평택기지까지 분양받고도 동두천과 의정부 일대 기지를 반환하지 않는 것과 관련해 의혹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경기북부평화시민행동 김대용 대표는 미군이 대중국 포위망 구축을 위해 한국을 전초기지화하면서 기지 반환을 거부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동두천 210화력여단은 장사거리유도형 다연장로켓(G-MLRS), 대포병 탐지레이더 (AN/TPQ-36·37), B2브래들리 장갑차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 대중국 포위망 형성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 때문에 새로운 인도태평양전략을 수립한 미군이 동두천 기지 반환 약속을 저버린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부산항을 비롯해 최근 세균전부대 육성에 열을 올리는 미군이 제23화학대대가 주둔한 캠프 스탠리를 쉽게 포기할 수 없었던 것 아니냐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다음은 캠프 스탠리 앞에서 진행된 자주평화 원정단의 기자회견이다.


 

출처 : 현장언론 민플러스(http://www.minplusnews.com)

  강호석 기자 sonkang114@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