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5공화국>, 5·18 발포 명령자 어떻게 암시했나

 

 

<5공화국>, 5·18 발포 명령자 어떻게 암시했나
96년 검찰 수사서도 못 밝혀... 드라마, 지휘권 이원화에 무게
텍스트만보기   강성관(anti-20) 기자   
18일 <제5공화국> 방영분은 80년 5월 20일과 21일 광주 상황을 그렸다. 이날은 광주에 투입된 공수부대의 발포로 각각 2명과 54명의 시민이 사망한 날이다.

발포 명령자 확인은 5·18민주화운동의 미해결 과제 중 하나로 남겨져있다. 이날 <제5공화국>은 계엄사의 지휘 체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 전두환·허화평·허삼수·이학봉 등 신군부와 이희성 계엄사령관 등의 상황인식과 입장의 차이 등을 통해 책임자가 누구인지 암시적으로 드러냈다.

계엄사 지휘권 이원화 가능성에 무게

▲ 80년 5월 21일 전남도청 시위 촬영 장면.
ⓒ2005 <광주드림> 안현주
당시 상황과 국회 5공청문회,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발언 등을 삽입해 '암시의 효과'를 높이기도 했다.

방영에 앞서 지난 17일 광주MBC 금요기획 '제5공화국' 인터뷰에서 임태우 PD는 "중요한 것은 전체 상황에 대한 책임자가 누구인지의 문제다"고 말했다.

18일 방송분은 80년 5월 20일과 21일 상황을 담아냈다. 5월 20일 저녁 11시경 계엄군의 발포로 2명이 사망한 사건은 총소리와 윤상원의 "어 총소리 아냐"라는 말로 간접적으로 그려냈다. 이후 21일 새벽 허화평 당시 보안사령관 비서실장이 전두환 사령관에게 "새벽 신역(광주역)에서 총이 발사됐습니다, 사상자가 발생한 것 같습니다"라고 보고하는 장면도 방영됐다.

광주상황은 이때부터 긴박하게 돌아가기 시작했다. 이희성 계엄사령관(육군참모총장)은 윤흥정 전남계엄사령관의 요청을 받아들여 철수 명령을 내리는 것으로 비춰진다. 그러나 전두환 보안사령관·허화평 비서실장·황영시 육군참모차장 등은 다른 입장을 보인다. 계엄사 명령 체계의 이원화 가능성에 무게를 둔 편집이었다.

지휘권 이원화 문제는 발포 명령자가 누구인지를 가리는 중요한 근거다. 지난 96년 검찰은 계엄사령관-2군사령관-전교사사령관(31사단장)으로 이어지는 정식 명령계통에 전두환·정호용 등이 끼어들어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사실이나 지휘권 이원화는 없었다고 결론 지었다.

5공청문회 등 자료화면으로 암시 극대화

또 드라마는 21일 오후 1시경 도청 앞에서 시민과 대치 중이던 공수부대 지휘관이 발포 명령을 받고 무차별 총격이 가하는 장면과 전두환 보안사령관의 굳은 표정을 오버랩 시키기도 했다.

이와 함께 화면은 88년 국회 청문회로 돌아간다. 청문회에서 고인이 된 김인곤 당시 신민당 의원이 "명령이 없는 상태에서 그 부대원들이 사격할 수 있느냐, 군인들이 생명의 위협을 느끼지 않고 시민들이 무기가 없는 상황에서는 자위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것이 상식"이라고 증인을 몰아세우는 장면을 삽입했다. 96년 검찰 수사 당시 신군부측은 "자위권 발동을 발포명령으로 오해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해찬 당시 평화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이어 김대중 전 대통령이 "대량학살이 전두환의 관여없이 행해졌다고 생각한 사람들은 거의 없다, 당시 실권자가 모른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발언하는 장면은 발포명령자에 대한 보다 더 강한 암시다.

21일 공수부대의 발포 이후 전두환 등 신군부는 광주 상황을 언론에 '고정간첩이 선동한 폭동'으로 발표할 것과 자위권 발동 등 대응책을 논의한다. 19일 방송분에서는 전두환 등 신군부의 언론통제, 광주 고립,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조작 등 자신들의 권력 찬탈을 위해 광주 학살을 어떻게 이용해 가는지 그 과정이 그려질 예정이다.

한편 96년 2월 검찰 수사는 명시적으로 발포명령을 내린 사람은 없다고 결론냈다. 다만 검찰은 계엄군의 자위권 보유천명 등을 현지에서는 사실상 발포명령으로 받아들였다고 포괄적 책임을 전두환 보안사령관에게 물어 내란수괴 및 내란목적 살인혐의로 기소한 바 있다.
2005-06-19 12:18
ⓒ 2005 OhmyNew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