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딱딱한 번역

나는 번역을 직업으로 하는 번역가도 아니고 전문적인 번역 비평의 자질을 가지고 있지도 못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해 말 대략 한글 1200쪽 정도 분량의 책을 번역해서 출판사에 보내둔 예비 번역자이긴 하다. 예상하지 못한 일로 인해 출판이 안된다면 몰라도...

 

그렇지만 번역 비평의 자질이나 자격이 처음부터 주어지는 것은 아닐 것이다. 중국어 번역 비평이 그다지 발달하지 않은 한국사회에서 이렇게 개인적인 공간에서나마 조금씩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번역 비평을 위한 기초를 놓는 개인적 출발점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나는 중국어와 관련해서도 번역 비평의 문화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그동안 한국에서 중국어와 관련한 번역 논쟁은 거의 부재했던 것 같은데, 올해로 한중 수교 20주년이 되면서 중국에 대한 소개와 이해에서 번역이 차지하는 의미와 관련한 쟁점을 논의할 필요도 있을 것 같다. 이제 중국의 언어와 문화 그리고 역사 등에 대한 직접적 이해에 근거한 제대로 된 비평의 문화를 만들어갈 기초가 우리에게 어느정도 형성되어 있지 않은가 싶다.

 

특히 당대의 중국 사회, 문화, 정치, 역사 등에 대한 이해는 단순히 중국이라는 대상에 대한 이해를 넘어 우리 자신의 주체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과정이 된다. 이는 중국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우리의 기존 인식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이다. 경계할 것은 번역이 새로운 앎의 생성과정이 되지 않고, 기존의 앎에 대상을 꿰맞추는 반복에 머무르면서 대상을 타자화하는 번역 행위이다. 우리는 때로는 중국어와 한국어가 다르기 때문에 한국의 독자를 위한다는 명목 하에 이러한 행위를 해왔다. 아울러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알기 쉽게 번역했다는 이야기도 많다. 게다가 중국어의 각종 고유명사를 발음대로 옮겨 적음으로써 궁극적으로 한자와 분리시키는 것이 한글 세대의 독자들에게 적합하고 이해하기 쉬운 번역 행위라는 주장이 제도화되기도 했다. 우리의 주체성에 대한 천박한 이해는 이와 같이 우리의 언어생활에 대한 몰이해를 낳는다. 그러한 상황에서 중국어 번역이 새로운 앎을 형성하기는 어렵다. 번역은 대상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주체성을 재인식하는, 아니 나아가 대상을 더이상 대상이 아닌 주체 내부로 끌어들이는 작업이다.

 

20세기 유명한 번역가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노신은 <硬譯과 문학의 계급성>에서 자신의 난해하고 '딱딱한 번역'에 대한 양실추梁實秋의 비판에 대해 반박하면서, 번역 윤리의 핵심 가운데 하나를 제시한다. 번역은 독자의 '기분이 상쾌'해지도록, 다시 말해 쉽게 읽힐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번역은 오히려 독자가 한줄 한줄 읽어나가면서 의미를 조합하는 노력을 들여 더욱 확장된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해 주는 것이다. 다시 말해, 번역은 마치 알튀세르가 재정의했던 '철학'과 같은 비판적 행위이고, 궁극적으로 대중과의 지식 공유를 위해 개입하면서 궁극적으로 그 완성과 함께 소멸할 운명을 가지는 것이다. 자유주의 지식인의 포퓰리즘적 번역은 오히려 지식인과 대중의 위계를 재생산할 뿐이다. 노신의 <硬譯과 문학의 계급성>은 자유주의 지식인의 계급성 몰인식과 그들의 지식 위계의 재생산이 어떻게 관련되는지 잘 드러내주고 있다.

 

나 자신도 노신의 번역 윤리를 지켜나갈 수 있을지 두렵다. 그렇지만 노신의 존재는 긴장을 늦추지 않을 버팀목이 되어주는 듯 하다.

 

2012년 4월, <硬譯과 문학의 계급성>을 다시 읽으며 '번역 윤리'를 다시 생각해 보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