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丸山真男《日本政治思想史研究》

요며칠 丸山真男(마루야마 마사오)의 <일본정치사상사연구>를 읽고 있다. 중반을 넘어가면서 그 한계들이 명확해지는데, 나는 竹內好 선생을 맥락화하기 위한 참조점으로 읽고 있기 때문에 그 논의에 깊이 들어가기는 어렵지만 일정하게 대비되는 측면들이 보인다. 역시나 죽내 선생이 갖는 독특성을 부각시키기에 좋은 내부적 참조점이라 하겠다. 둘은 실제로도 학문적 우정을 돈독히 유지했다고 전해진다.

 

내가 보기에 가장 큰 대비는 역시 내 맥락 안에서 해석되는 측면들인데, 일본의 '전근대'에서 '근대'로의 전환을 내재적으로 계통화하여 추적하는 환산 선생의 작업에서 일정하게 일본의 전근대를 '본질화'하는 부분이 두드러지고, 이를 통해 일본의 '근대'를 도출해낸다는 인상을 강하게 받는다는 점이다. 이른바 '무'에서 '유'를 도출한다는 '근대'적 문제설정이다.[중국 및 일본의 유가와 주자학에 대한 그의 이해에 대해서는 비평의 내공이 부족한데, 언젠가 조선 유학과 함께 대비하여 검토하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다] 이러한 내부적 '단절'과 전근대에 대한 본질화는 그 내용으로서 '중국성'을 본질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상적 전환이 현실의 외부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일정하게 중국(나아가 조선)의 정체성(停滯性)을 근거로 한 '식민근대화'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일본의 제국화와 관련되지 않나 하는 생각도 갖게 된다. 아울러 다소간 당시의 '정통'적 마르크스주의의 논리에 기대어 봉건 사회경제의 모순 심화가 그 배경으로 제시되면서 정치성을 발견하게 되고 그것이 정치체제의 혁신이라는 위로부터의 개혁을 추동했다는 해석 또한 그럴 듯하다. 그렇게 해서 어찌보면 환산 선생의 작업은 일본의 근대사의 논리를 그럴듯하게 설명해주는 것 같다.

 

그러나 이는 어찌보면 매우 익숙한 논리 구조이기도 하다. 여기에는 '근대성'이라는 고정적 설정의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그것은 다름아닌 서구적인 근대성이다. 그가 '정치적인 것'이라 표현하는 그것은 내가 보기에는 '역사성'이 부재한 범주인 것이다. 죽내 선생이 '중국'과의 대비 속에서 비판하고 성찰했던 것이 바로 이 부분이었다. 중국의 '근대성'과 일본의 '전근대성'이라는 뒤집힌 설정으로 죽내 선생이 제시하고자 했던 과제는 단순히 일본의 '전근대성'에 대한 비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어쩌면 환산 선생과 같은 뛰어난 정치사상가들이 서구적 근대성의 잣대 하에서 궁극적으로 역사를 '근대성'이라는 관념에 가두는 한계에 대한 비판이었을 지도 모른다.

 

죽내 선생의 선집 한국어 판의 서문을 보면 죽내 선생이 죽어서도 여전히 매우 외롭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의 선집의 서문을 쓴 제자들 또한 내가 보기에 그 뜻을 거의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기 때문이다.

*  오늘중으로 마저 읽고 내일부터는 전에 한번 읽었지만 맥락화하지 못했던 <현대정치의 사상과 행동>을 다시 읽으면서 환산 선생과의 만남을 마무리 짓게 될 것 같다. <일본정치사상사연구>에 대한 나의 의문에 대한 답변이 발견될 지 궁금하다. 아울러 죽내호 선생 전문가를 자처하는 孫歌 선생 또한 죽내호 선생의 계승자인지는 의문스러운데, 그녀의 논의는 죽내 선생의 이야기를 복잡화하는 정도까지만 성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녀에게 이 작업이 '중국'적 맥락에서 어떻게 표현되는 지는 좀 더 두고 볼 일이다. 아직은 주목할 만한 것이 보이지 않는다. 한편, 그녀가 환산 선생을 참조점으로 활용하고 부분은 다시 검토가 필요한데, 이 작업은 이번 주말에 진행될 예정이다.

아울러 죽내호 선생 전문가를 자처하는 孫歌 선생 또한 예외가 아닌데 그녀 또한 환삼 선생을 참조점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 같다. 물론 이 부분도 다음 주에 진행될 예정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