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2016/03/30

마르크스가 이른바 <자본론>의 구상을 미완으로 남긴 것은 아마 역사적 시대적 한계로서의 시좌의 제한 때문이었던 측면에 큰 원인이 있을 것이다. 당연히도 마르크스의 사상 또한 그 시대를 넘어설 수도 없었고, 그 지리적 한계를 넘어설 수도 없었다. 그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일정하게 이론적으로 비판적 계승이 가능하다면 당연히 후대에 가능할 것이고, 또한 유럽이 아닌 '제3세계'에서 가능할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추론이다. 더 나아가아서 마르크스 사상 자체가 상대화되면서 자기 자리를 찾는데도 이러한 작업이 불가결하다.

 

물론 지금 상황이 이미 진행되고 있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 인식의 부재일 수도 있기 때문에, 실제로 그것이 좌절되었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 (반)식민지의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결합은 앞선 역사적 지리적 한계를 넘어서는 시도였기 때문이다. 그것의 내용은 무엇이었을까? 아마 가장 중요한 자원은 중국에게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의 이론적 추상화는 꼭 중국에서만 이루어지지도 않고, 오히려 중국이 아닌 곳에서 이루어질 가능성도 높다. 나아가 중국을 넘어선 그것의 내재적 발전의 장소는 중국이 아닐 수도 있다. 특히 내가 보기엔 조선의 의미와 역할이 중요할 수 있다.

 

그 자원은 어떤 것일까? 아마도 어쩌면 '사회주의 자본론', 또는 '사회주의 경영학(관리학)' 등과 같은 것이 아닐까? 사실 '자본' 또는 '경영학'에 대한 좌파 이론진영의 알레르기 반응은 매우 '유럽'적이다. 다시 말해 '즉자'적이고, '자폐'적이다. 한마디로 무책임하다. 박현채의 민족경제론이 스스로 단일한 논리체계를 의도하지 않으면서 현상적인 관계 이상까지 나아가지 않았던 개방성이 훗날 민족경제론의 발전으로 되었다면, 아마도 위와 같은 방향에서 이론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을까 싶다. 이미 민족경제론에는 여러 단초들이 주어져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자본주의 경영학과 달리 (반)식민지 경험을 가진 나라의 사회주의 경영학은 기본적으로 사회조직원리의 창신을 시도해왔고, 그 역사적 바탕에 다원적 전통을 기반으로 한 반제국주의적 민족주의운동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