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라는 현상액

"과거는 문학 텍스트 속에 빛에 의해 감광건판 위에 새겨지는 상에 비유될 수 있는 이미지들을 남긴다. 미래만이 그러한 음화(cliché)를 완벽하게 드러내는 효력을 가진 현상액을 갖고 있다." (앙드레 몽글롱)

- 발터 벤야민, <파사젠베르크> 묶음 N("인식론에 관해, 진보이론") 15a, 1

 

"폭격기를 보면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비행하는 사람에게 기대했던 것이 떠오른다. 그가 하늘로 올라간 이유는 ‘산꼭대기에 쌓인 눈을 구해 도시에 돌아와서는 한여름 무더위에 시달리는 거리에 눈을 뿌리기 위해서’였다." (피에르-막심 슐)

- 발터 벤야민, <파사젠베르크> 묶음 N18a, 2

 

과거가 기입해 넣은 것을 부활시키는 미래라는 현상액이라.

어떻게 이런 비유를 만들어들 내는 것일까.

 

폭격기가 세상을 파괴할 때

비행기를 만든 사람들의 꿈을 저주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벤야민은 그 순간에 오히려,

세계의 파괴로 이어진 한 계열의 시간을 반성하면서

그 계열로 환원되지 않는, 그 동안은 압도되어 숨죽이고 있던,

그러나 우리를 새로운 계열의 시간, 말 그대로 '미래'로 안내할 수 있는

위대한 꿈을 발견했다.

때로, 과거로 돌아가는 것이 그 말의 뜻에 값하는 '미래'를 여는 것이라는

역설을 눈부신 진리로 만들면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10/11/06 15:55 2010/11/06 15:55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163

Trackback URL : http://blog.jinbo.net/aporia/trackback/163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 176 : Next »

블로그 이미지

당연하잖아 비가 오면 바다 정도는 생긴다구

- 아포리아

Tag Cloud

Notices

Archives

Calendar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75279
Today:
26
Yesterday: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