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06/10/19

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6/10/19
    도쿄에서 만난 일본 새내기 활동가
    자작나무숲
  2. 2006/10/19
    한일시민사회포럼 도쿄에서 열려
    자작나무숲

도쿄에서 만난 일본 새내기 활동가

[한일시민사회포럼] 새내기 활동가 키노시타 미애
2006/10/18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한국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에게 가장 눈에 띄는 일본 시민사회단체의 모습 가운데 하나는 ‘노령화’다. 대부분이 40~50대 활동가들이고 60대 활동가도 심심찮게 만날 수 있다. 20~30대 활동가가 적은 일본 시민운동가들은 반대로 젊은이가 많은 한국 시민단체를 부러운 눈길로 쳐다본다.

새내기 활동가 키노시타 미에
강국진기자
새내기 활동가 키노시타 미애.

도쿄에서 11일부터 14일까지 열린 제4차 한일시민사회포럼에서 만난 젊은 통역자는 그래서 더욱 눈에 띄는 존재다. 일본 생협운동에 종사하는 25세 새내기 일본 활동가는 일본시민운동은 노령화됐다는 ‘선입견’을 깨는 경우였다. 능숙한 한국어 실력을 자랑하는 키노시타 미애(생활클럽·생활협동조합 사무국)는 더구나 한국 대학원에서 한국내 이주노동자 가정의 현황과 문제점으로 석사학위까지 받아 한국과 일본의 시민사회 흐름을 모두 경험했다.

키노시타씨가 생협운동을 결심한 것도 한국에서 한일시민사회 비교연구 수업을 들으면서 일본 생활협동조합 운동을 접한 게 계기가 됐다. 일본에 돌아온 그는 올해 4월부터 생협운동에 종사하고 있다. “여러 사람들과 만날 수 있다는 게 좋아요. 지역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을 보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구요. 자전거를 타고 한국 참가자 환영행사장에 갔는데 집에 돌아가려고 보니 어느 생협운동가가 자전거 바구니에 격려편지와 함께 유기농산물을 넣어주셨더라구요. 그런 배려가 제게 큰 힘이 됩니다.”

키노시타씨는 주위에 또래 활동가가 별로 없다고 말한다. 그가 일하는 단체도 새내기 활동가를 몇 년만에 채용했다. 그와 함께 2명을 뽑았는데 그래도 내년에는 신입직원들 들어온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생협 조합원 중에도 20-30대가 별로 없고 40-50대가 가장 많습니다. 단체 입장에서도 젊은 회원을 늘리는 것이 중요한 과제구요.”

그가 일하는 생활클럽에서는 보통 새내기는 배달부터 시작한다. 배달을 하면서 조합원들과 자주 만나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서다. “원래는 저도 배달을 해야 하는데 운전면허증이 없어요. 다행히 제가 하는 업무가 다른 분야이긴 하지만 조합원들과 접할 기회가 별로 많지 않은게 항상 아쉬워요. 빨리 면허증을 따서 땀 흘리며 조합원들에게 배달을 하고 싶습니다.”

그의 눈에 비친 한국 시민사회운동은 어떤 모습일까. 그는 말을 아끼면서도 “한국에는 시민단체가 참 많다”며 “열심히 하는 단체도 있지만 이름만 내걸고 있는 단체도 있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그는 “한국에서 배울 때 참여연대나 경실련같은 단체의 규모 얘기를 듣고 많이 놀랐다”며 “일본은 조그만 단체가 많은데 한국은 한 시민단체 속에 여러 시민단체가 들어있는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얘기는 자연스레 북한 얘기로 넘어갔다. “일본에선 납치 문제가 대단히 큰 주제”라고 운을 뗀 키노시타씨는 “우리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방향으로 일본이 나아가는 빌미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평화헌법 개정을 비롯해 우경화와 민주주의 후퇴를 불러올 것”이라며 “북한이 강하게 나갈수록 일본 우경화는 더 심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키노시타씨가 바라는 한·일 시민사회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 그는 “서로 부딪치며 많은 대화를 나눠야 인식을 넘어 실천까지 공유할 수 있다”며 “활발하게 교류해서 어려움을 함께 이겨나가자”고 당부했다.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2006년 10월 17일 오후 20시 12분에 작성한 기사입니다.
시민의신문 제 672호 7면에 게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일시민사회포럼 도쿄에서 열려

‘인식의 공유로부터 실천의 공유로’를 주제로
2006/10/18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심재봉 화백

올해로 네 번째를 맞는 한일시민사회포럼이 지난 11일부터 14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열렸다. ‘인식의 공유로부터 실천의 공유로’를 주제로 한 이번 한일시민사회포럼은 북한 핵실험 파문 직후 열린 때문인지 동북아 평화·비핵지대화 논의가 활발했다.

양국 시민운동가들은 공동결의문에서 “지난 10월9일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강력한 유감과 우려를 밝힌다”며 ‘동북아시아의 긴장과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동북아시아를 비핵지대로 한다’는 한일시민사회포럼 기본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들은 “동북아시아 비핵지대, 동북아 차원의 군축 등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를 호소한다”며 “동북아시아에 온존하고 있는 냉전구도는 시민의 평화적 역량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역사적 사실을 직시하는 것과 동시에 국제성과 윤리성을 가지는 문화 교류를 진행해야 한다는 점을 공통으로 인식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동결의문은 “이 자리에서 논의한 내용을 생활 현장에서 어떻게 살릴 수 있을지, 지역 공통 과제와 어떻게 한데 어우러져 나아가게 할 수 있을지 상호교류와 논의를 더 깊게 해 나가고 싶다”고 강조했다.

한일시민사회포럼은 북한 핵실험에 우려를 표명하면서도 미세한 온도차를 드러냈다. 일본 시민운동가 중에는 납북자문제와 북한인권문제를 거론하며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이에 대해 한 한국참가자는 “일본이 군비증강하고 핵무장 주장이 나오는 것도 북한 핵실험 못지않게 우려한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강문규 한일시민사회포럼 조직위원회 고문은 “그동안 한일시민사회포럼은 북한 문제를 암묵적으로 피해왔다”며 “핵실험으로 북한문제가 전면에 등장한 이상 북한문제를 한일시민사회포럼의 장기과제로 채택하자”고 제안해 동의를 받기도 했다. 그는 “일본에선 납북자 문제가 대단히 큰 쟁점이지만 북한 입장에서 보면 사할린 등에서 보듯 강제징용과 강제징병문제가 있다”며 “일본인 납치문제 뿐 아니라 동북아 차원으로 확장해야 봐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강국진 기자 globalngo@ngotimes.net

2006년 10월 17일 오후 20시 7분에 작성한 기사입니다.
시민의신문 제 672호 1면에 게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