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의 부활

수부기님의 [예수는 빨갱이였습니다요, 목사님들.] 에 관련된 글.

빌라도가 예수를 유대인의 손에 부쳤을 때, 선택지를 제시했다. 당시 테러와 약탈을 일삼다가 잡힌 죄수 바랍바와 예수 중 누구를 처형할 것인지를 선택하라는 것이었다. 유대인은 예수를 십자가에 못박으라고 외쳤고, 예수는 골고다에서 십자가에 매달린다.

 

빌라도의 입장에서 예수는 그저 지가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떠벌이고 다니는 과대망상증이 문제일 뿐 예수에 대해 그다지 특별한 죄를 찾지 못했다. 오히려 빌라도는 예수를 일종의 철학자 정도로 판단했던 것 같기도 하다. 빌라도는 또한 실정법과 유대인의 요청 사이에서 갈등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로마의 실정법 상으로는 자신을 신의 아들이라고 칭하건 달나라 공주님이라고 칭하건 그런 정도만으로 십자가에 못박을 수 없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예루살렘에 대한 빌라도의 장악력은 그다지 강력한 것이 아니었고, 따라서 유대인의 말을 들어주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폭동에 대해서 빌라도는 고민했던 측면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빌라도 총독이 적극적인 판단을 보류한 채 예수는 유대인의 손에 넘어갔다. 바랍바라는 도적은 성경상으로 볼 때, 특히 로마에 대한 저항을 한 사람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듯 싶다. 다시 말해 바랍바에게는 돈을 뺏을 수 있는 상대방은 로마인이건 유대인이건 그 종족상의 구별이 필요 없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유대인들이 바랍바 대신에 예수를 매달아버렸던 것은 왜일까?



그건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일 수밖에 없다. 예수는 그냥 놓아둘 경우 기득권 세력에게 위협이 될 수 있는 사람이었다. 반면에 바랍바는 살인과 약탈을 할지언정 그 자체로 기득권 세력에게 위협이 되지는 않는 사람이었다. 더구나 바랍바는 언제든 다시 잡아 실정법으로 처벌하면 될 수 있는 사람이었다. 하지만 예수는 이 기회를 놓칠 경우 다시 잡아 법정에 세울 수 있을지 여부가 불투명한 사람이었다. 실상 죄라고 할 것이 없는 자였기 때문이다.

 

예수가 결정적으로 위험한 이유는 예수의 가르침이라는 것이 처음부터 끝까지 무소유를 주장하는 것이었고, 재물을 쌓아놓고 있는 자들을 구원받을 수 없는 사람들이라고 가르쳤기 때문이다. 예수는 부자가 천당가는 게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는 것보다 어렵다고 말하며, 가난한 자의 한닢 동전이 하느님에게는 부자의 재산보다 더 크다는 이야기를 뻔질나게 해왔다. 천당 가고 싶으면 소유하지 말라는 이야기다. 사실 예수는 천당을 빌어 현실세계의 모순을 해소하고 싶었던 거다. 가난한 사람, 소외받는 사람, 차별받는 사람이 없는 세상, 이것을 위해 자신이 가진 것을 나누고 베풀며 함께 어우러지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 예수의 소망이었던 거다. 지상 천국이라는 것이 뭐 별 거 있나? 그렇게 어깨동무하며 서로 사랑하고 살면 되는 거지.

 

그런데 유대인 중 특히 재산을 소유한 자나 제사장들에게 이러한 예수의 가르침은 위험한 발상이었다. 사실 유목중심의 사회였던 유대인사회는 원래 땅을 사적소유물이라고 생각하는 개념이 없었다. 로마의 지배가 계속되는 과정에서 로마의 제도와 법률 중 상당한 부분이 유대사회에 침투하게 되었고, 토지를 사적 소유물로 전유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지주들은 자기 토지에 대한 강력한 권한을 행사할 수 있었다.

 

유목인들에게 이것은 생업을 포기해야만하는 치명적인 결과로 나타난다. 유목을 하기 위해선 계절에 따라 또는 물을 따라 자리를 이동해 가며 목축을 해야한다. 그런데 땅 주인이 나타나 내 땅에 발을 들이지 말라, 내 땅의 물을 마시지 말라, 또는 내 땅의 풀을 양에게 먹이고 물을 먹이려면 돈을 내라 등등의 요구를 하게 되면 유목민으로서는 생업을 포기하던지 아니면 지주의 말을 듣던지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회당은 이러한 이데올로기를 주입하고 재생산하는 기지였다. 제사장들은 기득권 세력과의 야합을 통해 사유재산제도를 옹호하였고, 거기서 떨어지는 떡고물로 성전을 확장한다. 확장된 성전을 운영하기 위해선 더 많은 재물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더 강력한 지주와의 결합이 필요하였다. 회당은 교육의 장소다. 신을 영접하기 위해 찾아온 신도들(사실은 유대인 전체)에게 현 체제를 옹호하고 지키는 것이 신의 뜻이라 가르쳤다.

 

예수는 이러한 구조를 전면적으로 부인한다. 신의 뜻이 아니라는 청천벽력같은 소리를 한다. 오히려 성전을 부수러 왔다고 하면서 신을 빙자하여 재물을 뜯는 상인들을 성전에서 쫓아내고 사제들을 망신준다. 더러운 자들이라고 경멸받던 창녀들에게 구원을 약속하였고, 학력도 없고 출신도 미천한 자들을 제자로 양성한다. 게다가 예수의 이러한 행적이 가난하고 버림받은 사람들에게 호응을 얻기 시작하면서 급속히 세력을 확장한다. 기득권을 가진 유대인의 입장에서는 무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리하여 유대인은 성경에 나와있듯이 예수를 달아 맨다. 인간 예수의 사회변혁활동은 여기서 끝을 맺는다.

 

사학법 개정을 반대하는 목회자들이 신도들을 끌고 나와 난리 법석을 펴고 있다. 그들이 하는 행동은 예수를 달아 매라고 소리쳤던 유대인 기득권 세력과 사제들의 모습 바로 그것이다. 그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몸부림, 그 몸부림을 부리면서 그들은 예수를 이용한다. 영예롭게 십자가에 매달렸던 예수는 오늘 한국땅 한 귀퉁이에서 치욕으로 부활한다. 종말의 그날, 예수는 이들에게 뭐라고 말할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1/22 02:00 2006/01/22 02:00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hi/trackback/440
  1. 대학에 처음 갔을 때 교양필수로 어거지로 들어야 했던 성서 과목에서(저는 신학과는 아니지만..) 예수 그리스도는 민중을 위해 싸웠던 위대한 혁명가(쿨럭;;) 라는 이야기를 들으며 처음 민중신학을 접했을 때가 생각나서 적내요 ^^ 역시 세상은 배울게 많다는걸 느낍니다 >_<

  2. "진짜"예수를 기억하려는 사람들이 남아있는 한, 예수는 죽지 않을 것입니다.

  3. 그렇습니다. 예수가 죽지 않았다는 것은 그를 "제대로 기억하는 일"이 계속 된다는 거겠죠. 그게 부활이라 봅니다. 육체의 부활은 귀신 씨나라가는 헛소리입니다. 만약 우리가 기억하는 예수가 그 말을 오늘 들으면 이 되먹지 못한 년놈들이라고 고함을 칠 겁니다.

  4. 에밀리오/ 민중신학이란 이야기 들어본지도 진짜 오래되었군요... 성경에 나와 있는 이야기(가 전부는 아니겠지만요)만 보더라도 예수는 체제를 전복하고자 했던 사람임을 금방 알 수 있죠.

    Spookey/ 예수라는 이름이 가지고 있는 가치는 바로 그가 추구했던 이상세계(소위 천국)에 있다고 봅니다. 유물론자인 행인이 예수를 존경하는 이유는 그의 이상세계가 결코 저 하늘 어딘가 존재하는 것이 아닌 현실세계에서 가능한 세계였기 때문이죠. 기억해야겠습니다.

    기억의 부활/ 제대로 기억. 예배당 다니는 분들이 육체의 부활을 믿건 안 믿건 그거야 그 분들 마음이지만 육체의 부활을 빙자하여 교세확장에 열을 올리고 기득권 수호에 신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되먹지 못한 짓을 하는 사람들이 맞다고 봅니다.

  5. 바라바를 너무 무시하는 거 같은디요. 예수의 제자들이 썼다고 알려진 신약만 근거로 해서리..
    근데 예수보다는 난 오히려 '사도 바울'이 더 관심이 가더라구. 그가 바로 탁월한 선전과 조직술로 '예수'를 따르는 종교를 만든 사람이니까.. 신약의 대부분이 그 사람 작품이기도 했고..

  6. Neo/ ㅋㅋㅋ... 그런 비판이 예상은 되었으나 거기까지 이야기했다가는 한도 없을 거 같구 해서 생략했습져. 바랍바에 대한 평가는 워낙 극단에서 극단으로 치닫는 경향이 있어서 섣불리 이야기하기는 어렵고... 어차피 신약에서 강조되는 예수의 말씀이라는 것 자체가 예수 혼자의 발상이라고 보기에는 선지식들이 많이 존재하고. 예수의 제자들이 예수를 신으로 만들어버린 것은 그렇게 해야 지들 밥벌이가 되기 때문이 아니었는가 하는 생각도 있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