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책소개: [지역사회의학의 현실과 지향]

여러 선생님들이 함께 수고하신 덕에 좋은 책이 출판되어 알려드립니다. 

저자들은 주로 예방의학/보건학/사회복지 분야에 종사하는 젊은(???) 연구자들이고, 각자의 분야에서 학문적으로나 실천적으로 내공을 적잖이 쌓으신 분들입니다. (흠... 저만 예외로군요 ㅡ.ㅡ 저도 한 챕터  썼거든요.)

 

주로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현재 우리 사회에서 현안이 되고 있는, 혹은 그 중요성에 비해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다양한 보건/의료 문제들에 대해 포괄적이고 실천적인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건/복지 분야 언저리에 계신 분들에게 모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역사회의학의 현실과 지향 (보문각, 2006). 박 웅섭외


 

제 1 부 : 지역사회 건강의 현실

 

제1장 정신질환의 보건의료

제2장 노동자의 건강과 보건의료

제3장 고혈압과 일차의료

제4장 내부기관장애인들의 의료이용실태

제5장 구강보건

 

제 2 부 : 지역사회의학의 지양과 지향

 

제6장 미국의 보건의료

제7장 의료전문주의와 한국의 의사

제8장 건강 불평등

 

제 3 부 : 지역사회건강증진 

 

제9장 평생건강관리와 지역보건의료

제10장 건강도시

제11장 지역사회 조직화를 통한 건강증진

 

 




제 1 부 : 지역사회 건강의 현실

 

제1장 정신질환의 보건의료

1. 정신질환자와 정신보건                                            

2. 정신질환자의 현황                                                

3. 정신보건의 중요성                                               

4. 정신질환자와 건강권                                             

5. 바람직한 정신보건환경을 위한 과제와 전망   

                    

제2장 노동자의 건강과 보건의료

1. 산업재해 현황                                                   

2. 산업보건서비스제공체계의 현황과 과제                            

3. 산재보험의 현황과 과제                                          

 

제3장 고혈압과 일차의료

1. 서론                                                            

2. 고혈압 관리의 현황과 문제점                                     

3. 고혈압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노력과 과제                         

4. 맺음말                                                         

 

제4장 내부기관장애인들의 의료이용실태

1. 내부장애인의 현황                                              

2. 내부기관장애인들의 의료이용실태                                

3. 내부기관장애인들의 빈곤과 의료비 지출                          

4. 내부기관장애인 의료보장정책                                    

 

제5장 구강보건

1. 구강보건현황과 문제점                                          

2. 구강건강증진 전략과 접근방안                                    

 

제 2 부 : 지역사회의학의 지양과 지향

 

제6장 미국의 보건의료

1. 서론                                                           

2. 미국의 보건의료, 그리고 의료보장                                 

3. 미국, 어디로 가고 있나?                                         

4. 맺음말                                                         

 

제7장 의료전문주의와 한국의 의사

1. 서론                                                           

2. 의료전문주의(medical professionalism)에 대한 이론적 해석           

3. 의료전문주의 전개와 위기                                        

4. 전문가집단으로서 한국의사가 처한 조건                          

5. 결론                                                            

 

제8장 건강 불평등

1. 서론 - 건강불평등의 개념                                       

2. 사회 불평등과 건강불평등                                       

3. 빈곤과 질병의 악순환 그리고, 대물림                             

4. 노동조건에 따른 건강불평등                                     

5. 의료서비스 이용의 불평등                                       

6. 정치권력의 형태와 건강불평등                                   

7. 지역간 건강불평등                                              

8. 세계화와 건강불평등                                            

9. 건강 불평등의 원인                                             

 

제 3 부 : 지역사회건강증진 

 

제9장 평생건강관리와 지역보건의료

1. 건강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2. 우리나라 평생건강관리 현황                                      

3. 평생건강관리를 위한 지역보건사업 활성화      

                  

제10장 건강도시

1. 건강도시는 어떻게 시작되었나?                                   

2. 건강도시란 무엇인가?                                           

3. 건강도시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                            

4. 건강도시로 가는 길은 무엇인가?                                 

5. 건강도시의 한계와 과제는 어떤 것인가?                           

 

제11장 지역사회 조직화를 통한 건강증진

들어가는 글                                                       

1. 왜 지역사회 조직화인가?                                        

2. 지역사회조직화란 무엇인가?                                     

3. 건강을 위한 지역사회조직화, 어떻게 할 것인가?                   

나가는 글                                                          

 

사례

 

  사례 1-1.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던 위인들                           

  사례 1-2. 외로운 죽음을 선택한 권OO씨                            

  사례 1-3. 왜 약을 먹어야 하는지를 알려 주세요 - 이OO씨의 깨달음  

  사례 1-4. ‘가짜 동의서로 10년간 정신병원 강제입원 시켜’-신문기사   

  사례 1-5. 정신과병동 환자는 명예직원?                            

  사례 1-6. 병원으로 되돌아간 ‘생고기청년’ 서OO씨                  

  사례 1-7. 계속입원심사제도는 무용지물                            

  사례 1-8. 외국의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미시간주 ACT프로그램    

  사례 1-9. 정신질환을 가진 환자의 시                              

  사례 2-1. 수은 중독으로 사망한 15세 소년 문송면                   

  사례 2-2. 이주노동자 노말헥산 중독사건                            

  사례 2-3. 아파도 쉴 시간이 없다!                                   

  사례 2-4. 특수고용직 노동자의 산재 배제                           

  사례 2-5. 치료 지연                                              

  사례 2-6. 요양급여조차 취약한 보장성                             

  사례 3-1. 고혈압 유병율 및 유병자 규모 :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사례 3-2. 인구 고령화와 고혈압                                    

  사례 3-3. 고혈압 환자의 관리실태 : 대전광역시와 미국의 사례       

  사례 3-3. 고혈압 환자의 관리지침                                 

  사례 3-4. 고혈압 환자 및 의료인의 행태                            

  사례 3-5.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의 효과          

  사례 3-7. 대구광역시의 만성질환관리사업                           

  사례 3-9. 고혈압 환자 김씨 사례                                  

  사례 3-10. 핀란드의 노스 카렐리아 프로젝트(North Karelia Project)    

  사례 4-1. 한 신장장애인의 질병으로 인한 가계파탄 사례           

  사례 4-2. 내부기관장애인들의 고액의료비 지출                    

  사례 4-3. 내부기관장애인의 빈곤으로 인한 건강악화 사례           

  사례 5-1. 맨발의 기봉이와 틀니                                   

  사례 5-2. 의사가 활용할 수 있는 영유아 구강보건지침             

  사례 6-1. 미국의료는 21세기가 지향해야 할 이상적인 형태          

  사례 6-2. 미국은 결코 모델이 아니다.                              

  사례 6-3. Wishard Memorial Hospital 주요 관계자들과의 인터뷰       

  사례 6-4. 상류층의 삶은 더 나을 뿐 아니라 길기도 하다.            

  사례 6-5. 젊은 중산층 부부의 파산                               

  사례 6-6. 청구서들의 미로에서 길을 잃다                          

  사례 6-7. 외롭고 험난한 환자의 길                               

  사례 6-8. 닥터 솔로몬의 딜레마                                   

  사례 7-1. 의사 70% 사회적 지위 낮아질 것                        

  사례 7-2. 의료계파업에 대한 우리의 견해                          

  사례 7-3. 미국 민간의료보험회사들의 의사 관리수법               

  사례 7-4. 암환자들 절망·분노·치료 정상화 호소                     

  사례 7-5. 동료의 허물에 대해 엄격한 독일의사                     

  사례 8-1. 사회 양극화와 건강-빈부 격차와 생계형 자살 늘어...      

  사례 8-2. 3대에 걸친 빈곤과 질병의 대물림                       

  사례 8-3. 비정규직과 건강                                       

  사례 8-4. 동네마다 수명이 다르다                                 

  사례 8-5. 아프리카의 빈곤과 건강                                

  사례 9-1. 우리나라의 건강수준은 축구나 야구처럼 세계 4강에 들까? 

  사례 9-2. 마을의 건강과 개인의 건강                              

  사례 9-3. 전문가 건강관리                                       

  사례 9-4. 직장 정기신체검사의 문제점                             

  사례 9-5. 노화와 질병의 구분은 어려워                            

 사례  9-6. 고통보다 병원비가 더 겁나 바느질실로 상처 직접 꿰매    

 사례 10-1. 도시의 건강문제는 개발도상국이나 선진국이 비슷하다.    

 사례 10-2. OO시, 건강도시 발전 5개년 계획 수립                   

 사례 10-3. OO시 시장님 2006년 신년사 중 일부                    

 사례 10-4. OO시 “건강도시위원회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심의회 개최 결과                                       

 사례 10-5. 덴마크의 건강도시                                      

 사례 10-6. OO시 “건강하고 안전한 도시 만들어요”                   

 사례 10-7. OO시, 제1회 건강도시를 위한 시민건강포럼 개최          

 사례 10-8. 당신의 도시를 노래하십시오.                             

 사례 10-9. 내가 자라면…                                           

 사례 11-1. 쾌적한 삶의 공간, 주민의 손으로 : 녹색주차마을만들기    

 사례 11-2. 건강만들기, 주민의 힘으로 : 의료생활협동조합           

 

토론해봅시다.

 

  1-1.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 방안                                  

  1-2. 정신질환자의 진료비 지불방식                                

  1-3. 정신질환자의 퇴원결정의 갈등                                 

  2-1. 특수건강검진기관의 선정을 개별 사업장에 맡길 것인가?  독립적인 기관에 위임할 것인가?                               

  2-2. 노동부 중심의 수직적 보건사업인가?
포괄적인 지역사회 접근전략인가?                             

  2-3. 질병의 원인을 특정화하는 것이 가능한가?                     

  2-4. 심사기구 일원화가 산재보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2-5. 작업관련성의 판단을 의사가 할 수 있는가?                     

  3-1. 지역사회 고혈압환자 관리실태와 문제점.                        

  3-2. 일차의료와 지역사회 고혈압관리.                              

  4-1. 내부기관장애인들이 의료보장과 다른 장애인들의 의료보장      

  4-2. 내부기관장애인의 의료보장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             

  5-1. 노인 틀니에 대한 사회적 보장                                

  5-2. 저소득층 어린이의 구강건강에 대한 책임                      

  6-1. 미국의 높은 보건의료비 지출                                 

  6-2. 우리나라와 미국 의료보장 제도의 공통점과 차이점            

  6-3. 미국의 막대한 보건의료지출과 낮은 보건수준의 역설          

  6-4. 미국의 의료보장체계/보건의료체계의 문제점들                  

  6-5. 미국의 보건의료와 우리나라 의료영리법인과 민간의료보험      

  7-1. 한국 의사들의 현재와 미래                                   

  7-2. 의사들의 파업투쟁은 정당한가?                               

  7-3. 의료전문주의에 대한 정의 내리기                             

  7-4. 의료전문주의 위기와 영향요인                                

  7-5. 독립된 간호사법, 의사의 전문주의 확립에 도움이 되는가?      

  7-6. 올바른 의료전문주의 확립대책                                

  8-1. 왜 실업자는 건강이 나쁠까?                                 

  8-2. 빈곤과 사회보장정책                                        

  8-3.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건강                                    

  8-4. 의료이용의 불평등과 의료인의 역할                           

  8-5. 왜 지역간 건강수준의 차이가 나타날까?.                      

  8-6. 전세계적 건강불평등의 해결 방향                             

  9-1. 자가 건강관리의 중요성                                     

  9-2. 보건소의 기능과 위상                                        

 10-1. 병원에서의 건강도시적 접근                                  

 10-2. 기존 보건소 중심 건강증진사업과 건강도시 프로젝트           

 11-1. 보건의료전문가는 지역사회조직화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