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집] 웹기술 공유 강좌 두번째!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09/11/06 12:56
  • 수정일
    2009/11/06 12:56
  • 글쓴이
    진보넷
  • 응답 RSS

마감되었습니다. (11/16 오후)

 

 

웹 기술 공유강좌


강좌소개

 

웹기술 공유 강좌가 다시 시작됩니다. 이번 강좌도 웹표준에 맞는 문서를 만드는 기술을 공유하는 강좌입니다. 구체적으로는 html과 css라는 언어를 배우게 될 것입니다. 이런 말들이 생소한 분들도 들을 수 있고, html 문서는 초큼 알지만 웹표준이나 css는 잘 모르시는 분들도 들을 수 있습니다.

 

강좌정보

  • 강사: 홍지, 승욱
  • 장소: 진보넷 회의실(충정로역 9번 출구)
  • 일정: 11월 18일부터 5주동안 (매주 월, 수 오후 4시~6시)
  • 수강료: 5만원
  • 준비물: 노트북 (성능이 관계없지만 무선랜이 되는!)
  • 계좌: 기업은행 057-036794-01-037 (예금주: 진보네트워크)
  • 신청방법: 이 곳에 (비밀)댓글을 달거나, saakan99 at jinbo.net 으로 신청해주시면 됩니다. 온라인 신청만 해서는 안되고 강좌료를 입금해주셔야 신청이 완료됩니다. 신청자와 입금자명이 다르다면 신청시 알려주세요. 정원은 10명이며 선착순 마감입니다. 신청시, 간단한 자기소개와 함께, 연락처, 수강동기, 자신의 html/css 능력 정도를 함께 알려주시면 좋습니다. 수강신청이 마감되는 것은 진보넷 블로그 게시물을 통해 공지할 예정입니다.
  • 문의: 댓글, 위의 메일, 진보넷 전화(02-774-4551)을 이용해주세요.
  • 교재: 없음. 진보넷 작성 교재(?) 현장배포
  • 기타: 2009년 마지막 강좌입니다.

주의사항

  • 강좌는 매 시간 실습과 과제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또, 시험과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따라서, 강좌시간만 사수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는 아무 것도 배울 수 없는 강좌입니다. 강좌보다는 세미나라고 생각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 일부만 수강할 수 없습니다.
  • 지각/결석을 금합니다. ^^
  • 4시에 시작하지만 6시에 끝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강좌에서 배울 수 없는 것

  • 홈페이지를 만드는 법을 배우는 것은 아닙니다.
  • 이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만들어져 있는 홈페이지를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 것도 아닙니다. 특히 그 홈페이지가 웹표준에 맞지 않게 만들어져 있다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 웹프로그래밍(php, mysql 등)을 배우는 것도 아닙니다.
  • 포토샵, 김프 등 이미지 처리/제작 능력 및 도구를 배우는 것도 아닙니다.

 이 강좌에서 배울 수 있는 것

  • 웹표준에 맞는 문서를 작성하는 법
  • html과 css의 기초적인 문법(의 원리)
  • 인터넷 언어들과 친숙해지기, 전혀 모르거나 새로나오는 인터넷 언어들도 혼자서 공부할 수 있게 되는 자신감과 여지
  • 이 강좌를 듣고 나면, 다음과 같은 웹 문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진보넷 웹진(클릭)

커리큘럼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 11/18(수) 웹마을을 여행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것들
  • 11/23(월) html 시작하기
  • 11/25(수) 태그와 속성
  • 11/30(월) 능력있는 HTML 태그들
  • 12/02(수) HTML의 역사와 CSS의 등장
  • 12/07(월) CSS 선택자
  • 12/09(수) CSS 속성, 값, 단위
  • 12/14(월) 박스모델
  • 12/16(수) 레이아웃
  • 12/21(월) 지금까지 배운 것들을 응용해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EU, 패킷감청 관련 영국정부에 개인정보보호지침 위반 통고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09/11/02 01:51
  • 수정일
    2009/11/02 01:51
  • 글쓴이
    진보넷
  • 응답 RSS

 

진보네트워크센터는 지난 8월 25일 “KT는 한국 인터넷의 빅브라더가 되려 하는가”라는 제목의 논평을 내고 △KT의 ‘쿡스마트웹’에 사용되는 폼(phorm)사의 패킷감청기술은 ‘심층 패킷 감시’(Deep packet inspection) 기법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웹서핑 등 통신내용을 분석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기술로서 △이용자의 통신내용을 엿보는 패킷감청기술이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패킷검사와 다르며, 이용자의 통신내용을 실시간으로 엿보는 행위는 명백히 현행 통신비밀보호법 위반이고, △KT가 이 기술의 도입을 고객들에게 알리지 않은 채 이미 십만가구 이상, 십만에서 십오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험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대로라면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간 언론등을 통해 확인된 KT와 폼사의 해명은 ▲자신들의 맞춤광고(관심광고) 기술이 고객정보를 연관시키지 않고 (이용자의 PC에 저장되는) 쿠키를 이용할 뿐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실험은 ‘자발적으로 동의한’ 서울 송파지역 1000명 정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프라이버시 침해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해명에도 불구하고 불법 감청에 대한 의구심을 여전히 버릴 수 없습니다. 특히 명백히 통신의 제3자인 KT가 통신의 양당사자인 송신자와 수신자 모두의 동의를 구하지 않은 채 이용자의 통신내용을 감청하는 것은, 엄연히 현행 통신비밀보호법 위반이라고 생각합니다. 매우 유명한 판결이니 아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대법원에서는 제3자가 전화통화자 중 일방만의 동의를 얻어 통화내용을 녹음한 경우, 사생활 및 통신의 불가침을 국민의 기본권의 하나로 선언하고 있는 헌법규정과 통신비밀의 보호와 통신의 자유신장을 목적으로 제정된 통신비밀보호법의 취지에 비추어 통신비밀보호법 위반이 된다고 판시한 바 있습니다.(대법원 2002. 10. 8. 선고 2002도123 판결) 

이와 관련하여 지난번 논평에서 거론하였다시피 EU에서 영국 정부를 대상으로 한 조사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EU는 영국 정부가 EU의 개인정보보호지침을 위반했다고 판단하고 관련 법률을 개정할 것을 통고했습니다. 한국과 법률 근거가 좀 다르긴 하지만 관련 내용을 검토해보시면 좋지 않을까 하여 소식 전합니다.

  • The Guardian, "EU goes to next stage in privacy action against Britain"
    http://www.guardian.co.uk/media/pda/2009/oct/30/digital-media-phorm
  • The Register, "UK gets final warning over Phorm trials : Change the law, or we'll see you in court"
    http://www.theregister.co.uk/2009/10/29/eu_phorm/

지난 국정감사에서 국가정보원의 패킷 감청과 관련한 논의가 많은 관심을 받은 데 이어, 우리 방송통신위원회에서 맞춤 광고를 위해 패킷 감청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데 대한 입장을 검토 중이라고 하니 그 귀추가 주목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국 언론의 자유 등급 하락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09/10/20 22:54
  • 수정일
    2009/10/20 22:54
  • 글쓴이
    진보넷
  • 응답 RSS

 국경없는 기자회가 국제 언론의 자유 등급을 발표하였습니다.

한국은 언론인과 블로거에 대한 체포와 비판적 매체에 대한 탄압으로 지난번보다 22계단 하락한 69위를 마크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국경없는 기자회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경없는기자회 보도자료>
 
Reporters Without Borders/Reporters sans fronti�es
 
20 October 2009
 
WORLD PRESS FREEDOM RANKING

ASIA-PACIFIC
Authoritarianism prevents press freedom progress in much of Asia
 
Fiji falls furthest, but big advance by Maldives
 
 
Political power grabs dealt press freedom a great disservice again this year. A military coup caused Fiji (152nd) to fall 73 places. Soldiers moved into Fijian news rooms for several weeks and censored articles before they were published, while foreign journalists were deported. In Thailand, the endless clashes between 뱘ellow shirts� and 뱑ed shirts� had a very negative impact on the press뭩 ability to work. As a result, the kingdom is now 130th.
 
The authoritarianism of existing governments, for example in Sri Lanka (162nd) and Malaysia (131st), prevented journalists from properly covering sensitive subjects such as corruption or human rights abuses. The Sri Lankan government had a journalist sentenced to 20 years in prison and forced dozens of others to flee the country. In Malaysia, the interior ministry imposed censorship or self-censorship by threatening media with the withdrawal of their licence or threatening journalists with a spell in prison.
 
War and terrorism wrought havoc and exposed journalists to great danger. Afghanistan (149th) is sapped not only by Taliban violence and death threats, but also by unjustified arrests by the security forces. Despite having dynamic news media, Pakistan (159th) is crippled by murders of journalists and the aggressiveness of both the Taliban and sectors of the military. It shared (with Somalia) the world record for journalists killed during the period under review.
 
The Asian countries that least respected press freedom were, predictably, North Korea, one of the 밿nfernal trio� at the bottom of the rankings, Burma, which still suffers from prior censorship and imprisonment, and Laos, an unchanging dictatorship where no privately-owned media are permitted.
 
The media in China (168th) are evolving rapidly along with the rest of the country but it continues to have a very poor ranking because of the frequency of imprisonment, especially in Tibet, Internet censorship and the nepotism of the central and provincial authorities. Similarly in Vietnam (166th), the ruling Communist Party targets journalists, bloggers and press freedom activists over what they write about its concessions to China.
 
In the good news section, Maldives (51st) climbed 53 places thanks to a successful democratic transition while Bhutan (70th) rose another four places thanks to further efforts in favour of media diversity.
 
Asia뭩 few democracies are well placed in the rankings. New Zealand (13th), Australia (16th) and Japan (17th) are all in the top 20. Respect for press freedom and the lack of targeted violence against journalists enable these three countries to be regional leaders.
 
South Korea (69th) and Taiwan (59th) fell far this year. South Korea plummeted 22 places because of the arrests of several journalists and bloggers and the conservative government뭩 attempts to control critical media. The new ruling party in Taiwan tried to interfere in state and privately-owned media while violence by certain activists further undermined press freedom.
 
Two Asian countries were included in the index for the first time: Papua New Guinea (56th), which obtained a very respectable ranking for a developing country, and the Sultanate of Brunei (155th), which came in the bottom third because of the absence of an independent press.
 
-----
 
CLASSEMENT MONDIAL DE LA LIBERTE DE LA PRESSE

ASIE-PACIFIQUE
L'autoritarisme emp�he l'am�ioration de la libert� de la presse en Asie
 
En nette progression : les Maldives ; la plus grande d�ringolade : les Fidji
 
 
Les coups de force politiques ont, cette ann� encore, port� un tort tr� f�heux � la libert� de la presse. Un coup d'Etat militaire a ainsi fait chuter les Fidji (152e) de 73 places. Les militaires se sont install� pendant plusieurs semaines dans les r�actions pour censurer les articles avant publication et des journalistes �rangers ont �� expuls�. En Tha�ande, l'affrontement sans fin entre "chemises jaunes" et "chemises rouges" a eu un effet tr� n�atif sur le travail de la presse. Le royaume se positionne aujourd'hui � la 130e place.
 
L'autoritarisme des gouvernements en place, par exemple au Sri Lanka (162e) ou en Malaisie (131e), emp�he les journalistes d'informer correctement sur des sujets sensibles comme la corruption ou les abus aux droits de l'homme. Le pouvoir de Colombo a fait condamner un journaliste � vingt ans de prison et contraint � l'exil des dizaines d'autres. En Malaisie, le minist�e de l'Int�ieur impose censure et autocensure en mena�nt les m�ias de retraits de licence et les journalistes de s�ours en prison.
 
La guerre et le terrorisme font des ravages et placent les journalistes dans une situation de pr�arit� extr�e. L'Afghanistan (149e) est min� par les nombreuses violences et menaces de mort des taliban, mais �alement par les arrestations non justifi�s commises par les forces de s�urit�. Tandis que le Pakistan (159e), malgr� un paysage m�iatique dynamique, est plomb� par les assassinats de journalistes et l'agressivit� des taliban et de certains secteurs de l'arm�. Le pays partage avec la Somalie le record du monde de journalistes tu� au cours de la p�iode �udi�.
 
Les pays les moins respectueux sont, �idemment, la Cor� du Nord, membre du "trio infernal" de fin de classement ; la Birmanie, toujours malade de la censure pr�lable et des emprisonnements ; et le Laos, dictature immobile o� aucun m�ia priv� n'est autoris�.
 
En pleine �olution, notamment dans le domaine des m�ias, la Chine (168e) reste tr� mal class� en raison des emprisonnements � r��ition, notamment au Tibet, de la censure d'Internet et du n�otisme des autorit� centrales et provinciales. De m�e, au Vi�-nam (166e), le parti unique a vis� des journalistes, des blogueurs et des militants de la libert� de la presse pour leurs �rits sur les faveurs qu'il accorde � la Chine.
 
Au chapitre des bonnes nouvelles, les Maldives (51e), au b��ice d'une transition d�ocratique r�ssie, ont gagn� 53 places. De m�e, le Bhoutan (70e) a encore gagn� quatre places gr�e � de nouveaux efforts en faveur du pluralisme.
 
Les rares d�ocraties du continent occupent de tr� bonnes places. Ainsi, la Nouvelle-Z�ande (13e), l'Australie (16e) et le Japon (17e) sont class� dans les vingt premiers. Le respect de la libert� d'informer et l'absence de violences cibl�s contre les journalistes permettent � ces pays d'�re leaders en Asie.
 
En revanche, la Cor� du Sud (69e) et Ta�an (59e) ont chut� cette ann�. La Cor� du Sud perd 22 places en raison de l'arrestation de plusieurs journalistes et blogueurs et les tentatives de contr�e des m�ias critiques par le gouvernement conservateur. A Ta�an, le nouveau parti au pouvoir a �alement cherch� � influencer les m�ias publics et priv�, et les violences commises par certains activistes nuisent � la libert� de la presse.
 
Deux nouveaux venus dans le classement 2009 sont issus du continent Asie-Oc�nie. La Papouasie-Nouvelle-Guin� (56e) � un rang tout � fait honorable pour un pays en d�eloppement ; et le sultanat de Brun� (155e) est dans le mauvais tiers du classement en raison de l'absence de presse ind�endante.

 
Vincent Brossel
Asia-Pacific Desk
Reporters Without Borders
33 1 44 83 84 70
 

Reporters Without Border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민간단체가 유엔 특별보고관 초청한 이유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09/10/16 11:56
  • 수정일
    2009/10/16 11:56
  • 글쓴이
    진보넷
  • 응답 RSS

민간단체가 유엔 특별보고관 초청한 이유 
[미디어 바로미터]장여경 진보네트워크센터 활동가
 
2009년 10월 14일 (수) 16:40:17 장여경 진보네트워크센터 활동가 ( media@mediatoday.co.kr)
 
유엔 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이 방한했다. 국내외 민간단체들의 오랜 노력으로 성사된 행사이다. 아시아 지역과 한국의 인터넷 표현의 자유를 짚어보는 국제심포지엄이 열리고, 한국 표현의 자유 현황에 대한 워크숍도 개최된다. 불온서적, 미네르바, 조중동 광고주 목록, 언론의 자유, 촛불, 광화문광장, 테이저건, 시국선언 등 최근 한국 사회를 뒤흔들었던 사건들에 대하여, 당사자들이 프랑크 라 루 레이 특별보고관 앞에서 직접 증언한다.

왜 유엔 특별보고관을 정부가 아닌 민간단체들이 초청하였을까. 대한민국은 유엔 사무총장을 배출한 국가이고 정부 관계자들은 입만 열면 글로벌 스탠더드를 거론하는데, 유독 인권에 대해서는 글로벌 스탠더드를 모르쇠하고 있다. 인권단체들은 이명박 정부 들어 표현의 자유 후퇴가 참으로 심각하다고 보는데, 정부는 강경대응 기조에서 변화할 조짐을 보이지 않는다. 그러니 민간단체들이 직접 시간과 돈과 노력을 들여 표현의 자유의 글로벌 스탠더드를 따지게 됐다.

표현의 자유의 핵심은 ‘없는 자의 자유’이며 ‘비판의 자유’이다. 재력이나 권력을 가지고 있는 자들은 자신들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언론이나 출판 수단을 다양하게 동원할 수 있다. 정부의 정책이나 엘리트 관료들의 주장은 언제든지 언론에 보도되고 널리 알려지지 않던가. 

표현의 자유를 헌법적 권리로 특별히 보호하는 이유는, 이러한 권력, 특히 국가권력에 대하여 저항하고 비판할 수 있는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표현의 자유가 일반 시민과 노동자에게 제대로 보장됐을 때만이, 주권이 이들로부터 나온다는 민주주의가 참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언론과 출판 수단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일반 시민과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입장을 발표할 수 있는 권리, 그리고 집회와 시위를 할 수 있는 권리가 ‘표현의 자유’의 실질적 내용이라 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 현실은 어떠한가. 과거 군사독재정권은 대놓고 헌법을 유린했지만, 지금 정부는 표현의 자유가 충분히 보장되고 있다는 요설을 멈추지 않는다. 그것이 요사스런 수작에 불과하다는 사실은, 실태를 잠깐 돌아보기만 해도 알 수 있다. 
멋있게 꾸며놓은 광장에 모일 수 없고, 집회나 시위자에게는 진압봉이 기다린다. 정부를 비판하면 보복이 돌아온다. 집회 시민들을 향해 장봉을 휘두른 경찰을 비판한 인터넷 게시물들이 초상권 침해라며 일제히 삭제되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이러한 주장의 알리바이를 제공한다.  

유엔에서 폐지를 권고한 국가보안법이 여전히 존재하기는 하지만, 사실 그간 한국의 표현의 자유 양상은 나쁘지 않은 편이었다. 인권단체들도 몇 년간 표현의 자유와 같은 자유권 문제에서 경제사회적 권리에 대한 문제로 관심을 옮겨왔다. 

특히 독립적인 국가인권위원회의 활약은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왔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집회 시위 등 표현의 자유 문제에 있어서 한국 정부에 국제인권기준을 준수하도록 권고하고 견제해 왔다. 

그런데 대통령이 새로 임명한 국가인권위원장은 인권위의 독립성을 스스로 폄하하는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신임 현병철 위원장이 지난 9월 국회 청문회에 참석해서 정부의 인권위 축소가 정당하다고 말하는가 하면, 인권위가 행정부 아래 있는 것이 맞다고 말한 것이다. 이로 인해 국제인권단체가 인권위에 우려 서한을 전달하는 사태도 벌어졌다. 인권위의 오늘은 표현의 자유를 비롯한 우리 인권이 처해있는 위기를 드러낸다.

특별보고관의 방한에 기대를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현실이 비참하고 속상하기 이를 데 없다. 지금이라도 정부가 정신 차리기를 간절히 바란다. 정권의 안위 때문에 표현의 자유를 헌신짝 버리듯 해서야 글로벌한 국가 위상을 갖출 수 있겠는가.
최초입력 : 2009-10-14 16:40:17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안내] 진보넷 웹기술 공유 강좌!!!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09/10/09 15:56
  • 수정일
    2009/10/09 15:56
  • 글쓴이
    진보넷
  • 응답 RSS

수강신청 급마갑되었습니다. (현재시각 10/12 18:29입니다.)

아쉽게도 신청을 못하신 분, 일정이 안 맞아서 신청을 못 하신 분!

숨지마시고 진보넷으로 독촉해주세요.

그래야 다음 강좌가 개설된답니다~

 

참, 수강신청이 되신 분들은 호야,미류,행인,이자희,김남진, 김일숙, 김디온, 홍이, 하나, 나랑, 돌민 님입니다. 10/20(화) 4시까지 진보넷으로 오시면 되구요. 진보넷은 충정로역 9번 출구에 있습니다. 약도는 클릭!

 

 

 

웹 기술 공유강좌


강좌소개

지난 번에 설문을 한 적 있는 웹기술 공유 강좌를 시작하고자 합니다. 이번 강좌는 웹표준에 맞는 문서를 만드는 기술을 공유하는 강좌입니다. 구체적으로는 html과 css라는 언어를 배우게 될 것입니다. 이런 말들이 생소한 분들도 들을 수 있고, html 문서는 초큼 알지만 웹표준이나 css는 잘 모르시는 분들도 들을 수 있습니다.

강좌정보

  • 강사: 홍지, 승욱
  • 장소: 진보넷 회의실(충정로역 9번 출구)
  • 일정: 10월 20일부터 4주동안 (매주 화,목 오후 4시~6시)
  • 수강료: 4만원
  • 계좌: 기업은행 057-036794-01-037 (예금주: 진보네트워크)
  • 신청방법: 이 곳에 (비밀)댓글을 달거나, saakan99 at jinbo.net 으로 신청해주시면 됩니다. 온라인 신청만 해서는 안되고 강좌료를 입금해주셔야 신청이 완료됩니다. 신청자와 입금자명이 다르다면 신청시 알려주세요. 정원은 10명이며 선착순 마감입니다. 신청시, 간단한 자기소개와 함께, 연락처, 수강동기, 자신의 html/css 능력 정도, 노트북 가져올 수 있는지(개인소유 or 빌려서)를 함께 알려주시면 좋습니다. 수강신청이 마감되는 것은 진보넷 블로그 게시물을 통해 공지할 예정입니다.
  • 문의: 댓글, 위의 메일, 진보넷 전화(02-774-4551)을 이용해주세요.
  • 교재: 없음. 진보넷 작성 교재(?) 현장배포

주의사항

  • 강좌는 매 시간 실습과 과제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또, 시험과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따라서, 강좌시간만 사수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는 아무 것도 배울 수 없는 강좌입니다. 강좌보다는 세미나라고 생각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 일부만 수강할 수 없습니다.
  • 지각/결석을 금합니다. ^^
  • 4시에 시작하지만 6시에 끝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강좌에서 배울 수 없는 것

  • 홈페이지 제작술을 배우는 것은 아닙니다.
  • 이 강좌를 들었다고 해서, 만들어져 있는 홈페이지를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 것도 아닙니다. 특히 그 홈페이지가 웹표준에 맞지 않게 만들어져 있다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 웹프로그래밍(php, mysql 등)을 배우는 것도 아닙니다.
  • 포토샵, 김프 등 이미지 처리/제작 능력 및 도구를 배우는 것도 아닙니다.

 이 강좌에서 배울 수 있는 것

  • 웹표준에 맞는 문서를 작성하는 법
  • html과 css의 기초적인 문법(의 원리)
  • 인터넷 언어들과 친숙해지기, 전혀 모르거나 새로나오는 인터넷 언어들도 혼자서 공부할 수 있게 되는 자신감과 여지
  • 이 강좌를 듣고 나면, 다음과 같은 웹 문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진보넷 웹진(클릭)

커리큘럼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 10/20(화) 웹마을을 여행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것들(서버, shell, ftp , vi 편집기 등)
  • 10/22(목) html 시작하기
  • 10/27(화) 태그와 속성
  • 10/29(목) 테이블과 리스트
  • 11/03(화) css 시작하기: 선택자 만들기
  • 11/05(목) 박스모델 이해하기 (margin, padding, border 등)
  • 11/10(화) css 속성들
  • 11/12(목) 대화하는 웹(form)
  • 진도에 따라서 강좌를 1~2회 늘리거나, 일부분은 공부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태양은 누구의 것입니까?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09/10/06 13:00
  • 수정일
    2009/10/06 13:00
  • 글쓴이
    진보넷
  • 응답 RSS

타미플루를 통해 본 수요-공급 살인사건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09/10/05 16:23
  • 수정일
    2009/10/05 16:23
  • 글쓴이
    진보넷
  • 응답 RSS

 

[연속기고] 신종플루, 대유행이 공포가 되는 이유 (2)

홍지 (이윤을 넘어선 의약품 공동행동)  / 참세상 2009년10월04일 23시21분

신종인플루엔자(신종 플루) 확산을 우려해, 추석 기간 귀성 인구까지 줄었다고 한다. 보건복지가족부와 질병관리본부는 연휴 기간 신종 플루 확산 방지를 위한 다양한 대국민 홍보 작업을 벌이고 있다. 특히 방역 마스크와 손 세정제, 손수건의 구비 여부는 이제 ‘에티켓’의 문제라고까지 말한다. 최근에는 신종 플루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공기청정기 광고가 언론에 대서특필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질병에 걸렸을 때 가장 신속하고 중요한 해결책은 ‘치료제’이다. 하지만, 치료제를 확보하는 것은 개인의 노력이 제아무리 가상해도, 정부뿐만 아니라 시장조차 해결해 줄 수 없는 문제이다. 무슨 이유에서일까? 

 

20:80의 법칙에 따라 배분되는 의약품

 

▲  의약품 시장과 인구 비교 (MSF, 2001)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Vilfredo Pareto)는 19세기 영국의 부(富)와 소득 유형을 연구한 결과 전체 인구의 20%가 전체 부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부의 불균형 현상을 발견한다. 파레토의 ‘20대 80의 법칙’은 의약품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의약품의 82.4%는 전 세계 인구의 19.3%가 소비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북미와 유럽 그리고 일본에서 살고 있다. 다시 말해, 인구의 80%가 살고 있는 아프리카와 남미 대륙, 그리고 아시아의 대다수 국가는 제약회사가 매력을 느끼는 ‘시장’이 아니다. 

 

스위스계 다국적 제약회사인 로슈(Roche)가 전 세계적으로 독점 생산하는 신종 플루 치료제 ‘타미플루(Tamiflu)’ 역시 이 냉혹한 질서에 따라 나눠지고 있다. 조류독감 발병 이후 2005년부터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한 ‘인구의 20%가 복용할 수 있는 분량’을 채우려면, 단순한 셈법을 따라도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 분의 타미플루가 필요하다. 그러나 당시 로슈(Roche)의 연간 타미플루 생산량은 3천만 명 분뿐이었으며, 세계적으로 타미플루를 비축한 국가는 40여개 국에 불과했다. 조류독감(AI)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2005년부터 이 질병의 ‘대유행(pandemic)’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어 수요가 폭등하였고, 타미플루 가격은 60달러까지 치솟게 되었다. 게다가 로슈가 공장을 완전 가동해도 10년이 걸려야 WHO의 권장량에 맞출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왔다. 이에 WHO를 비롯하여 다수의 국가에서 타미플루의 ‘강제실시(Compulsory License)’ 발동을 검토한다.

 

공급량 통제 그리고 버림받는 시장

 

강제실시란 특허권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특허 받은 발명을 타인이 실시할 수 있게 한 제도이다. 물론, 특허권자에 대한 보상이 있고, 특허권자의 권리가 소멸되거나 정지되지 않는다. ‘실시’란 특허발명의 이용, 즉 생산, 판매 등을 총칭하는 말이다. 특허법의 목적이 특허권자에 대한 보호와 함께 사회 공공의 이익을 천명하고 있기에, 강제실시는 특허제도의 필수적인 장치이다. 세계무역기구(WTO)의 무역관련지적재산권협정(TRIPs) 제31조, 그리고 우리나라 특허법 제106조와 107조에서도 강제실시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로슈는 2005년 10월 13일 타미플루의 특허가 만료하는 2016년까지 타미플루에 대한 특허를 제3자가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발표하였다. 대신, 타미플루의 공동생산자를 모집하여 비난 여론을 무마하고자 하였다. 신성불가침의 권한인 ‘공급량 통제’를 결코 포기할 수 없었던 로슈의 공동생산 제안에 세계적으로 150여개 제약회사들의 신청이 빗발쳤다. 우리나라에서도 10여 개 제약회사들이 신청하여 현재 유한양행이 타미플루 생산 공정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 

 

4년이 지난 지금 타미플루의 수요와 공급의 간극은 더욱 커진 상황이다. 특히 지난 6월 11일 WHO가 신종 플루의 ‘세계적 대유행’을 선포한 이후, 타미플루를 비롯한 항바이러스제 확보 문제는 각국에서 초미의 관심사가 되었다. 현재 로슈의 타미플루 연간 생산능력은 최대 4억명 분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선진국들이 타미플루를 경쟁적으로 확보하면서 개발도상국과 제3세계 국가들의 수요까지 감당할 분량은 사실 상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물론, 폭등한 수요에 맞춰 로슈가 생산량을 늘릴 의사가 없음은 분명해 보인다. 개발도상국과 제3세계 국가의 환자들은 로슈에게 버려도 그만인 혹은 존재감이 없는 ‘시장’이기 때문이다. 

 

▲  국가별 항바이러스제 비축량 비교 (EU, 2007)

버림받은 한국 정부의 강제실시 검토 발언

 

한국 역시 지난 8월 21일 전까지는 신종 플루 치료제를 생산하는 다국적 제약회사들에게 버림받은 시장이었다. 8월 15일 신종 플루 감염으로 인한 최초의 사망자가 나오자, 국내에서도 타미플루 수요가 폭등하게 되었다. 신종 플루가 확산일로에 놓이고, 치료제에 대한 처방전 발행이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정부는 8월 21일 항바이러스제 사용 지침을 바꾸어 오히려 예방적 목적의 사용을 대폭 제한했다. 이는 영국 정부가 항바이러스제를 예방적 목적뿐만 아니라 지역적 확산의 차단목적으로 사용 범위를 넓혔던 것과 대조적이다. 영국과 한국 정부의 이러한 정책 차이는 무엇보다 치료제 비축량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국내에 항바이러스제가 부족하다는 지적은 이미 2005년부터 제기되었다. 그러나 8월 24일까지도 국내에 비축된 항바이러스제 분량은 인구의 4% 복용량에 불과한 190만 명 분 뿐이었다. 때문에 국내의 시민단체와 환자단체들은 치료제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수차례에 걸쳐 강제실시 발동을 요구했다. 이에 전재희 장관은 지난 8월 21일 WHO의 주최로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신종 플루 관련 국제 심포지엄에서 “치료제가 부족해지면 강제실시권을 발동해 국내에서 복제약을 대량 생산토록 허용하겠다.”라고 밝힌다. 이에 국내 제약회사 5~6곳에서 앞 다투어 타미플루의 생산 가능성을 밝혔으며, 복제약의 샘플까지 공개한 제약회사도 있었다.

 

그러나 전재희 장관의 발언은 불과 닷새 만에 번복된다. 8월 25일 한 간담회에 참석한 전재희 장관은 “타미플루 특허정지 조치는 국제적인 신뢰가 걸려있는 문제”라며 “현 단계에서는 아직 논의하고 있지 않다.”라고 말한다. 일주일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일어난 입장 변화의 배경에는 치료제를 공급하는 다국적 제약회사의 입장 변화가 있었다. 

 

21일 전재희 장관의 강제실시 검토 발언은 전 세계적으로 보도되었다. 이전까지 한국에는 연내에 치료제 공급이 불가함을 밝혔던 제약회사는 전 장관의 발언이 나온 직후, 내년 2월 쯤에나 공급할 계획이었던 500만 명 분의 치료제를 연내에 공급할 의사를 밝혔다. 이에 정부는 강제실시 발동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뜻이 담긴 구매 의향서를 로슈와 글라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에 보내게 된다. 그리하여 정부는 강제실시 검토 발언 닷새 만에 180도 뒤바뀐 발표를 하게 된 것이다. 이는 모두 9월 8일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한 질병관리본부의 관계자가 밝힌 내용이다. 

 

수요-공급 곡선 위의 ‘제노사이드(genocide)’

 

‘강제실시 발동 검토’라는 복지부 장관의 말 한 마디로 한국 정부는 다국적 제약회사에 대한 협상력을 높혀, 항바이러스제의 연내 추가 확보가 가능하게 되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 역시 “당초 로슈는 공급시기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주지 않았으나 전재희 복지부장관이 강제실시를 언급한 이후 곧바로 신속한 공급 의지를 피력했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전재희 장관의 발언 번복 이후, 복지부와 몇몇 국회의원들이 강제실시와 관련되어 쏟아내는 이야기들은 이러한 사실 관계를 왜곡시키고 은폐하고 있다. 복지부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강제실시는 “공산주의 국가에서나 하는 일”이라고 표현했으며, 한 국회의원은 “저개발국가나 쓸 수 있는 충격적이고도 원시적인 방법”이라고 일컬었다. 

 

다국적 제약회사들로부터 상처받은 자존심을 다시 추스른 기쁨을 이해하더라도 몰상식하기 그지없는 발언이다. 실제로 남반구의 최빈국, 그리고 저개발국가에서 의약품의 공급을 위해, 약값을 낮추기 위해 강제실시 발동이 검토된 적은 많으나, 다국적 제약회사들 그리고 북미와 유럽 국가들의 압력에 의해 번번이 좌절되었다. 하지만, 공정거래 활성화를 위해서, 또는 의약품 가격 인하를 위해서 등 다양한 목적으로 전 세계에서 강제실시를 가장 발동하는 나라가 미국과 캐나다라는 사실은 아이러니 그 자체이다. 

 

강제실시를 발동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돈이 있어 약을 구입할 수도, 생산할 수도 없는 저개발국가에서는 지금 신종 플루가 아니더라도 에이즈, 결핵, 말라리아에 의해 매년 수백만 명이 사망하고 있다. 이 모든 질병을 치료할 약이 없는 것이 아님에도, 세계 인구의 80%를 점하는 그들은 약이 없어 죽는다. 그들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어떤 치료제는 세계 의약품 시장의 80%를 점하고 있는 20%의 인구를 위해 제모 크림으로 변신한 경우도 있다. 충격적이고 원시적인 것은 도대체 무엇이며, 또 누구인지 반문하지 않을 수가 없다.

 

신종 플루 대유행 이후 대두된 공포증의 배경에는 한 사회의 공적 기능이 자본보다 무력한 현실이 자리하고 있다. 또한, 그 한가운데 제약회사의 한정 없는 이윤 추구가 벌이는 참극이 존재한다. 치료제 부족 사태, 그리고 불균형을 넘어 파국에 가까운 국가 간 치료제 비축 경쟁이 벌어졌다. 이는 제약회사의 생산 능력의 문제라기보다는 수요-공급 곡선 위에서 벌어지는 ‘대학살(genocide)’이라 봐도 무방하다. 

 

20대 80의 법칙을 설명한 파레토는 또 하나의 유명한 경제학 용어를 만들었다. 자원의 가장 바람직한 배분 상태를 일컫는 ‘파레토 최적(Pareto Optimum)’의 개념으로, 다른 어느 누구의 상태도 불리하게 하는 일 없이 한 개인의 상태를 유리하게 하는 일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것이라는 가치 판단에 기초한 개념이다. 80의 생명을 담보로 한 의약품의 배분 법칙은 자본주의 시장이 추구하는 ‘최적’의 개념에서도 한참 동떨어져 보인다. 그럼에도 우리가 이 질서를 용인해야 할 이유는 무엇인지 의아할 따름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브라우저에서 진보넷 검색하기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09/10/05 12:48
  • 수정일
    2009/10/05 12:48
  • 글쓴이
    진보넷
  • 응답 RSS

진보넷 사이트가 채널과 함께 새로 개편되었는데요~ 채널 말고도 저항적인(?) 콘텐츠들만 골라서 검색해주는 진보넷 검색기능도 제공되고 있잖아요. 그런데 이렇게 좋은 기능을 파이어폭스나 익스플로어 검색창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 즉, 브라우저마다 주소창 오른쪽에 있는 검색창을 통해 진보넷 검색을 바로 할 수 있답니다.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스텝 1) 우선 진보넷 사이트(www.jinbo.net) 에 접속합니다.


스텝 2) 브라우저 (IE/FF) 오른쪽 상단(주소창 오른쪽)에 있는 검색창에서 브라우저 엔진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클릭합니다. 이게 뭐냐구요? 바로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이 그림은 파폭의 모습이지만, IE에서도 대충 비슷해요)

검색엔진설정-파폭


스텝 3) 위의 그림에 나오는 대로 "진보넷 검색" 추가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모습이 될 거예요.


검색창


스텝 4) 이제 위의 창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아래 화면과 같이 진보넷 페이지로 넘어가면서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를 보여줍니다. 참 쉽죠잉?

 

결과화면


이렇게 한 번 해놓고 나면 다음부터는 진보넷에 접속하지 않아도 언제 어디에서나 브라우저를 통해 진보넷 검색을 할 수 있답니다. 기본검색엔진으로 설정해놓으면 더 좋겠죠? 그럼 진보넷 검색 많이많이 이용해주세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베토벤 바이러스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09/10/01 17:58
  • 수정일
    2009/10/01 17:58
  • 글쓴이
    진보넷
  • 응답 RSS

타미플루 그리고 '20:80'의 사회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09/09/28 15:59
  • 수정일
    2009/09/28 15:59
  • 글쓴이
    진보넷
  • 응답 RSS
2009 정보인권 시민학생 강좌
 
 
 
2009 진보네트워크센터
정보인권 시민학생 강좌
 
일시 : 2009년 9월 29일, 화요일 저녁7시(마지막 강좌)
장소 : 진보교육연구소 강의실 (서울 지하철 2,5호선 충정로역, 약도보기Click!!! )
  
정보화 시대, 정보화 시대…. 여기저기서 참 말들은 많습니다. 지난해부터 세간의 화제가 되는 '운하' 이야기를 한 번 해볼까요? 전국의 모든 강뿐만 아니라 요즘은 우리 집 앞 또랑물에도 ‘운하’라고 부르면서, ‘유비쿼터스’란 말을 덧붙여놓더군요. '유비쿼터스 운하'라나? 그 운하는 물 분자마다 RFID라도 뭍여놓았나 봅니다.
 
진보네트워크센터가 주최하는 <정보인권 시민학생 강좌>에서, ‘정보화’라는 말조차 촌스럽게 느껴지는 시대에 살고 있는 여러분들에게 자못 진지한, 그러나 밥 먹고 숨 쉬는 것만큼이나 일상적인 질문을 던지는 자리를 마련해 보았습니다.
 
내일 저녁 드디어 마지막 강좌가 열립니다. 
마지막 강좌의 주제는 '생명권과 의약품 특허'입니다.
 
요즘 신종 플루가 극성이라는데, 타미플루는 어디서 구하나요? 병원의 의사들도, 약국의 약사들도 구경하기 힘들다고 하는데 말입니다. 그런데 정부는 걱정 말라고만 하니 이거 누구 말을 믿어야 할 지 도통 모르겠습니다.
이런 일이 왜 생기는 것인지, 함께 이야기 해보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와 관심 바랍니다^^
 
 
9월 29일(화) 네번째 강좌 소개 : 생명권과 의약품 특허
 
제4강 의약품 특허 '생명권과 의약품 특허'
• 일시 : 2009년 9월 29일 화요일 저녁 7시
• 강사 : 홍지 진보네트워크센터 활동가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는 19세기 영국의 부와 소득 유형을 연구한 결과 전체 인구의 20%가 전체 부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부의 불균형 현상을 발견한다. 파레토의 ‘20대 80의 법칙’은 의약품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의약품의 82.4%는 전 세계 인구의 19.3%가 소비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북미와 유럽 그리고 일본에서 살고 있다. 다시 말해, 인구의 80%가 살고 있는 아프리카와 남미, 그리고 아시아의 대다수 국가는 제약회사가 매력을 느끼는 시장이 아니다. 그 결과 질병이 부유한 사람들을 피해가고 가난한 사람들만 공격하는 ‘질병의 부익빈(富益貧)빈익부(貧益富)’ 현상이 발생한다. 
 
[토론 주제 1]
공정거래법은 특허와 저작권 등의 지적재산권을 독점 규제의 예외 대상으로 두고 있다. 특허와 저작권에 의한 시장 독점을 우리 사회가 인정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토론 주제 2]
발명을 특허로 보호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 생기는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킨 사례를 각각 찾아보자. 두 경우를 비교해 봤을 때, 사회 전체적으로 더 많은 이익을 발생시키는 것은 무엇인지 토론하라.
 
[토론 주제 3]
최근 WHO는 신종 플루를 ‘세계적 대유행’ 질병으로 선포하였다. 이에 따라 각국에서는 신종 플루 치료제인 ‘타미플루’를 경쟁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2010년 2월까지 WHO의 국가 비축 권장량을 확보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특허법 제106조 및 107조를 검토하여, 현재 강제실시 발동이 필요한지 혹은 필요하지 않은지를 판단해 보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