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장릉(長陵)

1.

방학 첫날인 지난 토요일(2008년 11월 29일) 파주에 있는 장릉(長陵)에 다녀왔다.

장릉(長陵)은 조선 16대 임금인 인조와 그의 첫째 왕비인 인열왕후 한씨의 무덤이다.

 

 

장릉(長陵)/ 파주 탄현면 헤이리에서 금촌 가는 길목에 있다.

 

 

장릉은 현재 일반인에게 공개를 하지 않는 비공개릉이다.

고양시민회에서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문화재와 생태답사를 아울러 하고 있고, 이번 장릉 답사도 그러한 일환으로 다녀온 것이다.

 

나는 답사팀을 만들어 봐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기에 경험이 제법 많은 시민회에서 어떻게 답사팀을 운영하는지 배우고 싶었다. 더욱이 비공개릉이라는 점이 매력적이지 않은가.

 

 

영조 때 다시 만들어진 능이다. 백성들의 수고를 던다고 석물을 작게 만들었다고 한다. 그래도 조각은 참 아름다웠다.

 

 

시민회 답사는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하다보니 관광버스도 빌려서 편하게 할 수 있었다.

이번 답사에는 총 38명이 참가했고, 20여 명의 아이들이 함께 했다.

 

 

일반 무덤의 상돌처럼 생긴 것은 왕릉에서는 혼유석(魂遊石)이라고 한다. 제수를 차려놓는 공간이 아니라 왕 또는 왕비의 혼이 나와서 노는 공간이라는 뜻이다.

밑에 북처럼 생긴 받침돌은 '북석' 또는 북'고'자를 써서 '鼓石'이라고 한다.  고석에 새겨진 귀면상이 생동감이 있다.

 

 

답사에서 강사분은 모두 세분이었는데, 첫째 강사는 능과 관련된 문화재에 촛점을 맞췄고,둘째 강사는 인조와 관련된 역사에 셋째 강사는 생태에 촛점을 맞춰 강의를 했다.

물론 아이들을 데리고 하는 답사라 어려움이 많았다. 갑자기 추워진 쌀쌀한 날씨도 답사를 어렵게 했다.

 

 

설명을 듣는 답사 일행/ 아이들이 많았다.

 

2.

인조는 병자호란 때 삼전도에서 청나라에 항복하여 신하들과 군대가 보는 앞에서 오랑캐라고 멸시하던 청 태종에게 항복의 예인 삼배구고두례(세번 절하고, 한번 절할 때마다 머리를 세번 땅에 대는 항복의식)를 행하였던 임금이다.

 

인조는 살아생전 2번의 큰 전쟁을 겪었고, 자신을 임금으로 만든 반정공신이 일으킨 반란인 '이괄의 난'으로 공주까지 피난 가는 등 임금노릇을 평탄하게 하지 못한 임금이니 동정을 받을 만도 하다.

 

 

망주석/ 혼이 망주석에 붙어 있는 세호를 따라 밖으로 나왔다가 들어간다고 한다.

 

그런데 인조를 비호감으로 여기는 건 나뿐만이 아닌 것 같다.

얼마 전에 끝난 sbs의 드라마 '일지매'에서도 인조(김창완 분)를 비겁한 악인으로 그리고 있다.

(그러고 보니 최강칠우에서도 인조는 비호감이었다.)

인조에 대한 나의 비호감은 상당 부분 서인세력에 대한 비호감에 힘입은 바 크지만, 인조 자신의 캐릭터 또한 나에겐 비호감이다.

 

문인석

 

무인석

 

광해군을 몰아내는 인조반정에 참여한 것은, 광해군이 자기 동생(능창군)을 역모로 몰아 죽음을 내렸으니, 그에 대한 반감 때문이었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그의 첫째 아들 소현세자 살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고, 소현세자빈인 강빈을 직접 죽였으며, 소현세자의 어린 세 아들(당시 12세, 8세, 4세)을 제주도에 유배보낸다.

 

세 손자는 제주도에 유배가서 다음 해 봄에 큰 손자 석철이 죽고, 그해 12월 둘째 석린도 죽는다. 그러고 보면 인조는 비호감을 넘어 참 대단한 인간이다. 큰 손자 석철의 죽음에 대하여 심지어 사관까지도 이렇게 썼다고 한다.

 

'사신은 논한다. 석철이 역강(逆姜, 강빈)의 아들이기는 하지만 성상의 손자가 아니었단 말인가. 할아버지와 손자 사이의 지친으로서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 아이를 장독(瘴毒)이 있는 제주도로 귀양보내어 결국은 죽게 하였으니, 그 유골을 아버지의 묘 곁에다 장사지낸들 또한 무슨 도움이 있겠는가. 슬플 뿐이다.'

 

돌에 새겨진 조각은 섬세하고 아름다웠다.

 

 

3.

인조를 얘기하면서 서인세력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겠다.

 

서인세력은 주로 기호(경기도와 충청도)지방에 살면서 대대로 부귀를 누려온 집안들 중심이니 한 때(선조, 광해군) 권력에서 멀어졌다고 해도, 왕조가 망하지 않는 한 언젠가 권력의 중심으로 들어설 수밖에 없는 그런 특권층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뒤에서 본 장릉

 

권력에서 밀려난 이 특권 세력은 광해군의 인목대비에 대한 폐비사건을 패륜으로 몰고, 명나라와 청나라 사이의 등거리 실리외교를 은인의 나라 명나라에 대한 배은망덕으로 몰아 결국 그것을 명분으로 하여 쿠데타를 일으켜 일거에 권력을 장악한다.

 

자신들의 명분을 강조하기 위해 강대한 청나라를 무시하는 정책으로 일관하여, 결국 정묘, 병자 양대 호란을 겪게 된다.

 

 

참도/ 제사를 받들러 오는 신하들이 조심스럽게 걸을 수밖에 없도록 박석을 울퉁불퉁하게 깔아놨다.

 

아까 말한 인조가 항복의식인 삼배구고두례를 행할 때 머리를 땅에 박을 때마다 멀고 높은 자리에 위치한 청태종이 그 소리가 자신에게 들리지 않으면, 소리가 들릴 때까지 다시 하라고 명령하여 결국 인조 머리가 깨져 피가 철철 흘렀다는 이야기가 널리 퍼졌고, 요즈음 나오는 어린이용 문고에도 그렇게 나오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내용은 역사서 어디에도 나오지 않는다고 한다. 한치의 오차도 없이 있는 사실을 그대로 기록한 사초에도 그러한 기록은 나오지 않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그러한 야사를 퍼트린 것은 집권세력의 의도에 의한 것이라고밖에 생각되지 않는다. 병자호란이 자신들의 무능에 의한 것이란 사실을 은폐하고, 백성들에게 청나라에 대한 적개심을 심어주기 위한, 일종의 자신들의 명분을 살리기 위한 역사왜곡이라고 생각된다.

 

이들은 또한 명나라가 멸망한 이후에도 청나라 연호 대신에 명나라 연호를 공공연하게 썼다. 예를 들면 명나라 마지막 연호인 숭정 기원후 104년 따위이다.

 

 

비석 뒷면/ 숭정기원후 104년이라는 비가 세워진 연대가 적혀있다.

 

 

사실 명나라는 조선에 대하여 더 치욕스럽게 대한 나라이다.

조선의 사신은 중국에 가면 황제를 제대로 접견을 하기 위해 길거리에서 명나라 관리에게 엎드려 매달리며 구걸을 하다시피 하였다고 한다. 그럼에도 서인세력은 임진왜란 당시 원군을 보냈다 하여 끝까지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보인다고 하였다.

 

 

미공개릉이라 사람들이 없어 고즈넉하기는 하다.

 

혹시 옛날 무덤을 갈 기회가 있으면 비석을 자세히 보시라. 유명조선국(有明朝鮮國) 000라고 시작하는 비석을 본 기억이 있으리라. 여기서 유명은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는 有名이 아니라 명나라에 속한 조선국이란 뜻이다.

 

참 대단한 사람들이다. 어륀쥔지 뭔지 하는 짓은 예나 지금이나 비슷한가 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