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박정희의 날(2)
- 은수
- 2009
-
- 디스트릭트 9(2)
- 은수
- 2009
-
- 2009/10/23(4)
- 은수
- 2009
-
- 꾸물꾸물 말하고 싶을 때(4)
- 은수
- 2009
-
- 참, 닮은 꼴(6)
- 은수
- 2009
어제, <그르바비차>를 보았다.
아는 이가 소개해주었는데, 덕분에 오랜만에 시네큐브도 갔다왔네.
그르바비차는, 참 우울한 영화다.
우울했다.
보스니아의 '씨'를 말리겠다고 시작된 집단강간과
그로 인해 태어난 딸 사라.
영화는 출생의 비밀,을 숨긴채
살아가는 엄마 에스마와 딸 사라의 이야기.
하지만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우울한 영화, 였어야만 했을까.
의문이 든다.
처음, 그 문제로 영화를 만들었다고 했을때, 궁금했다.
보스니아 출신의 여성감독은 어떻게 이 이야기를 풀 것인가.
내가 <그르바비차>를 보며 우울했던건
에스마가 겪었던 '피해와 고통의 기억' 때문이 아니라,
그 피해와 고통의 기억을 갖고 있는 자,에 대한 재현방식 때문이었다.
그래, 사실 그렇다. 피해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아버지의 전사증명서를 제출한 자녀는 수학여행비를 면제해주지만
그 전쟁으로 인해 가장 끔찍한 피해를 입었던 여자들의 아이들은
그 사실을 말할 수 없다. 꼭꼭 숨겨져 있으니까.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언제나 민족의 기표가 되는 여성들은
결코 민족을 위해 목숨바친 전쟁영웅이 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피해자 여성은 꼭 이런 방식으로 재현되어야만 하는가.
영화 초반부터 시작된 복선,은 나에게 하나의 공식처럼 다가오기 시작했다.
자신의 팔을 누르며 장난치던 딸에게 화를 내고
버스 옆자리에 서있는 남자의 가슴에 놀라 버스를 내리고
가슴의 단추를 하나라도 더 잠그는 그, "순수한" 여자.
그녀와 약간의 로맨스를 보이는 남자는 영화 내내 말한다. 당신은, 역시 순수하군요.
생각해보았다.
만약, 피해자가 피해자답게 재현되지 않았다면 베를린영화제 황금곰상을 받을 수 있었을까.
그 우울함에 <여자, 정혜>가 겹쳤다.
어린 시절 강간으로 인한 트라우마로 신혼여행에서 돌아와버린 정혜는
내내 우울했지만 끝내 손에 쥔 칼로 그 놈을 죽이지 못했다.
마찬가지로 꽉 막힌, 갑갑한 느낌이다.
딸아이의 수학여행비를 벌기 위해 일하는 술집에서 에스마는
가슴을 부비며 군인과 춤을 추는 동료를 보고 또다시 훌쩍인다.
엉덩이를 내어놓고 남자들 앞에서 춤을 추는 댄서들과
엄청난 트라우마를 안고도 어쩔 수 없이 일을 해야 하는 에스마는
전혀 다른 종류의 인간처럼 느껴진다. 왜.
비교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위안부' 문제가 우리에게 재현되고 기억되는 방식.
같이 보았던 이는 <귀향>을 떠올렸다고 했다.
그래, 똑같지는 않지만,
귀향의 여자들이 주었던 삶의 에너지들을, 삶을 살아가는 힘들을
<그르바비차>에서는 느낄 수가 없었다.
딸 사라가 자신의 비밀을 알게 되고 둘 사이는 서먹서먹한 채 수학여행을 떠난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 그 마지막 손인사가, 어떤 메세지를 담고 있었다면.
차라리 이 영화는 딸이 그 비밀을 알게 된 순간부터 시작되는 것이 어땠을까.
생각해보았다.
댓글 목록
슈아
관리 메뉴
본문
전 그 재현방식 때문이었는지 좀 다른 맥락의 영화였긴 했지만 '글루미선데이'의 결말이 좋았어요. 마지막까지 살아남아 잔잔하지만 단단하게 슬프지 않게 그리고 통쾌하게 복수하는 거요. 당당한 그녀가요.부가 정보
여름:녀름
관리 메뉴
본문
저도 이 영화 봤어요. "모성애"라는 것에 대해서 한참 생각할 때라서 전 거기에도 좀 집중해서 봤어요.부가 정보
은수
관리 메뉴
본문
슈아// 앗, 저도 글루미 선데이 좋아해요. *_*여름:녀름// 모성애..음. 어떻게 느끼셨는지 궁금하네요~
부가 정보
일해백리
관리 메뉴
본문
답답하고 힘빠짐......... 특히 '막 사는' 딸이 마지막에 뭔가 실마리를 풀어나가게 하지 않을까 기대했지만 끝내.... 확인사살-_-부가 정보
은수
관리 메뉴
본문
막 사는 딸이 뭐야 ㅋㅋ;;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