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2차례 방북 취재 “있는 그대로 취재해왔다”

재미언론인 진천규 기자의 방북취재기 대전특강
대전=임재근 객원기자  |  tongil@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8.01.31  09:36:53
페이스북 트위터
   
▲ ‘2017년 10월 이후 두 차례 방북 취재기, 그리고 차마 방송에서 하지 못한 이야기’ 제목으로 1월 30일 저녁 7시에 진행된 재미언론인 진천규 기자 초청 강연회.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교육‧문화 활동을 통해 시민들 속에서 평화와 통일에 대한 관심을 고취하고 민족공동체 정신을 함양시키는 활동을 펼쳐온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이사장 김병국)는 지난 해 10월과 11월 두 차례 방북 취재를 진행했던 재미언론인 진천규 기자를 초청해 신년특강을 진행했다.

‘2017년 10월 이후 두 차례 방북 취재기, 그리고 차마 방송에서 하지 못한 이야기’ 제목으로 1월 30일 저녁 7시에 빈들공동체 교육장(대전 중구 대흥동)에서 진행된 이날 강연에서 진천규 기자는 두 차례 방북취재에서 찍어 온 사진 보따리를 풀어냈다.

한겨레신문과 미주 한국일보 기자를 지낸 진천규 기자는 지난 해 10월 6일부터 8박 9일, 11월 10일부터 12박 13일 총 22일 간 신의주, 평양, 원산 등을 취재해 사진과 동영상을 통해 북한 모습을 여과 없이 국내 언론에 알리면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두 정상이 손 맞잡고 올린 역사적 장면을 기록한 기자’

 

   
▲ 진천규 기자가 자신이 찍은 ‘2000년 6월 14일 목란관에서 남북 정상들이 함께 손을 맞잡고 치켜드는 장면’을 보여주며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진천규 기자는 자신을 소개하는 일화부터 사람들의 관심을 흡입됐다. 그는 한겨레신문사 사진기자로 재직하면서 1992년 남북고위급회담 중 평양에서 열린 6차 회담 당시 2박 3일 동안 방북 취재에 이어 2000년 남북정상회담 당시에도 방북 취재에 동행했다며 두 차례 방북 취재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그중 2000년 6월 14일 목란관에서 있었던 만찬에서 남북 정상들이 공동선언에 구두로 합의를 하며 박수 소리가 나자 이 역사적인 장면을 사진으로 남기자고 자신이 제안해 남북 정상들이 함께 손을 맞잡고 치켜드는 장면이 나올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당시 김정일 위원장이 큰 소리로 ‘우리 배우한번 합시다’고 말하며 흔쾌하게 호응했다”는 이야기도 소개했는데, 북한에서도 이 일화를 지난 2005년 6월 조선중앙방송을 통해 ‘역사적인 평양상봉의 나날에’라는 제목으로 소개한 바 있다.

진천규 기자는 “2000년 남북정상회담의 역사적인 현장을 함께 할 수 있었다”며, 북측에서도 이 내용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지난해 북측이 자신의 방북 취재를 받아들인 이유 중에 하나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영주권자이기 때문에 ‘대한민국 국적’이지만 방북 취재 가능

진천규 기자는 2001년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지만, 국적은 ‘대한민국’이다. 하지만 미국 영주권을 취득했기 때문에 방북취재가 가능했다고 밝혔다. 영주권자들의 방북은 ‘허가’사항이 아니라 ‘신고’사항이라는 것.

또한 지난 해 여름,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시민권자들에게 북한여행 금지 조치를 취했기 때문에, 오히려 시민권자들은 북한여행이 불가했지만, 그는 영주권자이기 때문에 방북 취재가 가능했다고 밝혔다.

그는 “다행히 북한 당국에서도 취재를 허용해서 엄혹하던 시절에 운 좋게 북한에 들어갈 수 있었다”며, “2016년 2월 개성공단 폐쇄 이후 대한민국 여권을 가지고 방북한 최초의 민간인이 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자신의 비자를 보여주며 방북 취재 경위를 설명하는 진천규 기자.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 진천규 기자가 방북 취재시 발급 받은 비자에 국적이 ‘남조선’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있는 그대로, 가서 본 것 그대로 취재해왔다”

그는 “두 차례 방북에서 유심히 살펴본 부분은 ‘가장 많이 바뀐 것이 무엇’이며, ‘유엔제재를 비롯해 심지어 중국에서도 제재를 가한 엄혹한 제재 속에서 북한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느냐’였다”며 “이 부분을 유심히 살피면서 취재를 했다”고 말했다.

그는 광복백화점에서 장을 보는 장면이나 장보면서도 휴대폰으로 통화하는 모습들을 사진으로 보여주며, “말이나 글로 백번 하는 것보다 있는 그대로, 직접 보여 주니 진보, 보수를 떠나서 의외로 놀랐다는 사람들이 많았다”며, “있는 그대로, 가서 본 것 그대로 취재해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에 보급된 휴대폰이 400만대에 달한다”며, “북한 사람들이 핸드폰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하나 바뀐 부분은 ‘택시’였다”며, “마트나 역 앞에 심지어 옥류관 앞에도 택시들이 즐비했다”고 밝혔다. 그는 “평양 시내에 ‘려명’, 'KKG' 등 4개의 택시회사가 있고, 6천대 정도의 택시가 운행하고 있다고 들었다”며, “평양뿐만 아니라 신의주와 원산에서도 택시를 많이 목격할 수 있었다”고도 말했다.

진천규 기자는 “비행기를 타고가면 1시간이면 평양에 도착할 수 있지만, 황금벌판의 모습도 보고, 기차 안에서 사람들의 모습도 지켜보고 싶어 두 차례 모두 단둥에서 기차를 타고 신의주를 거쳐 평양에 들어갔다가 나왔다”며, 자신의 비자를 보여주기도 했다. 그가 보여준 비자는 여권에 도장을 찍은 것이 아닌 별지 비자로 국적에 ‘남조선’이라고 적혀 있었다.

그는 또한 북한의 전기사정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풀어냈다. 그가 두 차례 방북한 22일 동안에 “정전이 된 경우는 1~2초간 딱 한번 있었다”며, “그 외에는 정전은 없었고, 밤에도 개선청년공원, 려명거리, 창전거리, 미래과학자거리, 개선문, 평양역 등 야경을 볼 수 있었다”며 관련 사진들을 보여줬다.

 

   
▲ 진천규 기자 초청강연에 70여명의 시민들이 참여했다.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북측, “검열 없었다” “있는 그대로 제대로 좀 보여 달라”

진천규 기자는 취재한 사진과 동영상에 대한 북측의 검열에 대해서도 이야기했다. 그는 “사진과 영상에 대한 북측의 검열은 없었다”며, "북측은 '자신들의 ‘최고 존엄’ 영상이 훼손되지 않게 할 것 등 몇가지만 주의해 달라' 말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북측에서는 남쪽 언론이 북쪽을 너무 왜곡하기 때문에 억울해한다”며, “‘진 선생은 이점들만 지키면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있는 그대로 제대로 좀 보여 달라’고 강조했다”고 말했다.

진 기자는 “북한 사회의 특징을 생각하면 북측의 그런 요구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특히 북한 사회는 광고가 없고, 대신에 야외 선전물의 대부분이 북한 지도자들의 동상이나 그림이 포함된 선전물이기 때문에 차를 타고 이동하거나 지나가면서 사진이나 영상을 찍지 못하게 하는 것도 북한이 거리 선전물에 있는 그들의 ‘최고 존엄’이 훼손되는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시간에 걸친 이번 강연에서 진천규 기자는 지난 두 차례의 방북취재 동안 찍은 사진 중 300여장으로 추려 소개하면서 이야기를 이어갔다. 단둥에서 신의주를 거쳐 평양에 오는 동안 기차 안팎의 모습과 려명거리, 창전거리, 미래과학자거리를 비롯한 평양 거리뿐 아니라, 려명거리 살림집 내부모습도 소개했다.

또한 중앙동물원, 인민빙상장, 초등학원, 애육원, 양로원을 비롯해 북한 사람들의 일상의 모습과 옥류관 냉면 등 그가 먹은 음식, 그리고 마식령 스키장과 원산 송도원국제소년단야영소의 모습까지 그가 담은 사진을 보여주며 이야기를 풀어냈다.

진천규 기자는 “아직도 유력지라고 하는 언론에서 북한에 대해 흑색선전 내지는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를 보도하곤 한다”며, “거짓말하지 말고, 확인된 이야기만 해야 한다”며 언론의 문제를 꼬집기도 했다. 그러면서 “내 생각보다는 보고 들은 것만 전달하는 기자 본연의 역할만 하면 된다”며 자신의 취재정신을 명확히 했다.

 

   
▲ 진천규 기자의 방북취재기 강연에 흥미와 관심을 보이는 참가자들.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통일TV 창간으로 통일의 작은 밑거름이 되고파

방북취재 이야기를 끝마친 진천규 기자는 한동안 기회가 닿는 한 자신의 취재기를 알리는 강연에 매진할 예정이고, 평창올림픽이 끝난 이후는 방북 취재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케이블 방송 ‘통일TV’를 준비 중에 있다”며, “북한의 주의, 주장은 뺀 역사드라마나 자연다큐멘터리, 스포츠, 어린이 만화영화 등 영상물을 제공하는 케이블 방송을 통해 지난 70여 년 동안 단절된 남과 북의 문화교류를 열어 통일의 작은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수정-오전 11시 10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