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이낙연 대선 경선 불복에 “내홍” “후폭풍” “후유증”

[아침신문 솎아보기] 이낙연 경선 이의제기 1면에, 승복 권한 국민·세계
20대 소득격차는 덜한데도… “대물림 탓” 심화한 2030 자산격차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경기지사를 대통령 후보로 선출한 지 하루 만에 내홍에 휩싸였다. 2위를 기록한 이 전 대표 측이 무효표 처리를 놓고 이의를 제기하며 결선투표를 요구하면서다. 신문들은 당 지도부가 이 전 대표 측 요구를 일축했지만 갈등은 쉽게 가라앉을 것이라 전망했다. 일부 신문은 이 전 대표 측의 “대승적 결단”을 주문했다.

20~30대 안에서 자산 격차가 지난해보다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에서 부의 대물림으로 인한 양극화가 더욱 두드러졌다. 세계일보와 한국일보가 이 같은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분석 결과를 1면에 보도했다.

▲12일 아침신문 1면 갈무리
▲12일 아침신문 1면 갈무리

국민·세계 “이낙연 전 대표, 대승적 결단”

이낙연 캠프 소속 의원들은 11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당헌·당규를 제대로 적용하면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은 49.32%이며 과반에 미달한 것”이라면서 “당헌·당규에 따라 결선투표가 반드시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민주당 특별당규 59조1항은 “경선 과정에서 후보자가 사퇴하는 때에는 해당 후보자에 대한 투표는 무료로 처리한다”고 규정했는데, 후보자의 사퇴 이후 득표만 무효이고 사퇴 이전에 얻은 표는 유효하다는 주장이다.

이 전 대표 측은 “경선투표에서 공표된 개표 결과를 단순합산해 유효투표수의 과반을 득표한 후보자를 당선인으로 결정한다”는 조항(60조1항)을 근거로 들었다. 중도 사퇴한 정세균 전 국무총리와 김두관 의원이 사퇴 전 얻은 표도 합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전 대표 측 계산에 따르면 이 지사 득표율은 50.29%에서 49.32%로 떨어진다.

▲12일 국민일보 1면
▲12일 국민일보 1면
▲12일 경향신문 1면
▲12일 경향신문 1면

민주당 송영길 대표는 이 전 대표 측 이의제기를 사실상 거부했다. 송 대표는 11일 기자들과 만나 “당은 어제 이 후보를 20대 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정 발표했다”며 “민주당은 당헌·당규에 따라 운영된다”고 했다.

대부분 신문이 민주당의 경선 후폭풍을 1면 머리기사로 다뤘다. 경향신문은 민주당의 ‘원팀’ 구성이 시작부터 난항을 겪게 됐다고 했다. 국민일보와 동아일보, 세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 등도 민주당 상황을 각각 ‘내홍’과 ‘내분’. ‘후폭풍’ ‘후유증’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신문과 한겨레의 경우 당 지도부 측의 이의제기 거부를 제목에 올렸다.

서울신문은 “송 대표가 특별당규의 당위성을 강조하며 이 전 대표를 언급한 것은 사실상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힌 것”이라며 “송 대표는 ‘원팀의 중요성’도 강조했다”고 했다. 한겨레는 “민주당 안팎에서 집권당 대선 후보가 전례 없는 불복 움직임을 보인 것에 대한 비판이 나온다”며 이번 표 처리 방식은 “역대 대선 경선(2002·2007·2012)에서 중도 사퇴한 후보들의 표를 무효로 처리한 전례를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12일 서울신문 1면
▲12일 서울신문 1면
▲12일 한겨레 1면
▲12일 한겨레 1면

조선일보는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 앞에는 이 전 대표 지지자 수백명이 전날에 이어 몰려들어 ‘사사오입 부정선거’를 외치며 시위를 벌였고, 충돌을 우려한 경찰은 당사로 들어가는 진입로 자체를 봉쇄했다”고 했다.

다수 신문이 사설에서 ‘질서 있는 수습’을 주문했다. 경향신문은 “이 전 대표 측은 ‘게임의 룰’을 바로잡자는 것이라고 하나, 총리와 당대표를 지낸 인사로서 당의 분란을 야기한다는 비판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히는 한편 “당 지도부는 이 전 대표 측이 이의신청을 한 만큼, 공식 절차를 통해 신속하고 투명하게 처리해야 한다”고 했다.

여러 신문이 이 전 대표 측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 한겨레는 “경선룰을 논의하는 단계에선 침묵하다가 경선이 시작되고 판세가 불리하게 기운 뒤부터 그런 주장을 펴기 시작했다는 점도 설득력을 반감시킨다”며 “민주당에 무엇보다 절실한 것은 듣기 좋은 ‘원팀 정신’이 아니라 ‘정치의 문제는 (법적 대응이 아닌) 정치로 풀겠다’는 굳은 의지”라고 했다.

국민일보와 세계일보는 이 전 대표 측에 승복을 권했다. 국민일보는 “당 선거관리위원회가 이미 지난달 중순 ‘사퇴한 후보자의 기존 득표도 무효표로 처리해야 한다’고 결론내린 바 있다. 선관위 결정이 못마땅했다면 당시에 정식으로 이의 제기했어야 (한다)”고 했다. 세계일보는 “이 전 대표는 경선 과정에서 ‘제 사전에 불복은 없다’고 선을 그어 온 만큼 이런 명분 없는 공방은 빨리 끝내야 한다”고 했다.

▲12일 국민일보 사설
▲12일 국민일보 사설
▲12일 세계일보 사설
▲12일 세계일보 사설

조선일보는 경선 내분이 “대장동 특검 막은 게 화근”이라고 했다.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내분) 근간엔 이 지사가 성남시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생긴 대장동 사업 특혜 의혹에 있다”며 “대장동 문제가 아니었다면 이 지사를 사퇴 후보들의 득표 산입 여부와 상관 없이 확실한 승리를 거머쥘 수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더 벌어진 2030 자산격차, 부 대물림 탓” 세계·한국 1면

20~30대 내에서 자산격차가 심화하고 있다. 지난해 이들 세대 상위 20%의 자산 총액이 하위 20%의 35배를 넘겼다. 하위 20%(1분위)의 평균 자산은 2473만원으로 나타난 반면 상위 20%(5분위)는 8억7044만원이었다.

▲12일 세계일보 1면
▲12일 세계일보 1면
▲12일 한국일보 1면
▲12일 한국일보 1면

특히 20대의 격차는 30대보다 더 심각했다. 소득 격차가 아닌 부의 대물림이 요인이었다. 20대 가구 하위 20%와 상위 20% 자산은 각각 844만원, 3억2855만원이었다. 하위 20%의 평균 자산은 전년 대비 115만원, 즉 11.9% 감소했으나 상위 20%는 817만원(2.5%) 늘었다. 그러나 소득 격차는 20대가 30대보다 더 작았다. 지난해 20대 상위 20% 자산 가구의 평균 경상소득은 5263만원, 하위 20%는 2145만원이었다.

김 의원은 “20대 가구의 자산 격차가 소득 차가 아닌 부의 대물림 때문이란 점이 간접적으로 드러났다”며 “부모 재력에 따라 출발점이 달라지는 기회의 불공정, 부의 대물림 고리를 이제는 끊을 때”라고 했다.

세계일보와 한국일보는 1면에 이 같은 김회재 민주당 의원의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 결과를 보도했다. 경향신문과 중앙일보, 한국일보, 동아일보, 국민일보도 지면에 이 소식을 올렸다. 조선일보는 B1면에 보도했다.

▲12일 중앙일보 2면
▲12일 중앙일보 2면
▲12일 경향신문 2면
▲12일 경향신문 2면

중앙일보는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1~8월 전국 아파트 매매 49만3570건 가운데 20대 이하와 30대가 31%를 차지했다”며 “부동산을 가지고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자산 불평등은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추측했다. 그러면서 “결국 20대 가구의 자산 격차는 일해 번 돈보다 부모 등 다른 사람으로부터 이전 받은 자본으로 형성됐다는 해석이 가능하다”고 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