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투표율 80% 넘길까...2030 투표가 선거결과 결정지을 듯

2000년대 이후 80% 넘긴 투표율 없었다

 
사전투표를 하기 위해 늘어선 줄 ⓒ뉴시스
 
오전 6시 전국 1만4464개 투표소에서 투표가 시작됐다. 오전 7시까지 1시간 동안 총선거인 4419만 7692명 가운데 94만2061명이 투표를 마쳤다. 잠정 투표율은 2.1%다. 이 수치는 2017년 19대 대선 같은 시간대 투표율인 2.5%보다 0.4%포인트 낮은데, 역대 최고였던 36.93% 사전투표의 영향으로 보인다.

역대급 초박빙 선거로 분석되는 이번 선거의 관심 포인트 중 하나는 투표율이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80%를 상회하는 투표율이 점쳐지고 있다. 진영간 경쟁이 그 어느 때 보다 높은 데다 사전투표율이 워낙 높았기 때문이다.

대선 투표율이 80%를 넘는다면 1997년 이후 처음이다. 2000년대 이후 공직 선거 투표율이 80%를 넘은 적은 없다. 1997년 대선 투표율이 80.7%였고, 다음 대선인 2002년 대선 투표율은 70.8%로 9.9%포인트 떨어졌고 2007년 대선에서는 63%까지 하락했다. 이후 대선 투표율은 2012년 대선 75.8%, 2017년 대선 77.2%로 계속 오르고 있다. 

대선 외에도 공직선거 투표율은 2010년대 이후 뚜렷하게 상승 추세다. 2008년 46.1%까지 떨어졌던 총선 투표율은 2012년 54.2%, 2016년 58%를 기록하더니 2020년 66.2%까지 뛰어올랐다. 

이같은 투표율 상승추세는 20~30대 투표율 상승 때문으로 보인다. 2007년 20대 투표율은 46.6%였고 30대 투표율은 55.1%로 전체 투표율 63%에 비해 한참 낮았다.

2012년 대선에서는 분위기가 사뭇 달라졌는데 20대 투표율이 68.5%였고 30대는 70.0%였다. 전체 투표율도 75.8%로 올라갔다. 2017년에는 20대가 76.1%로 30대 (74.2%), 40대(74.9%)보다 앞섰다. 전체 투표율 역시 77.2%로 직전 대선보다 올랐다.

2030 투표율이 올라가는 추세와 함께 연령대별 투표율 격차도 줄어드는 추세다. 60대 이상 투표율은 2000년대 이후에도 75%를 상회해 왔다. 2007년 대선 60세 이상 투표율이 76.3%였고 2012년 60세 이상 투표율은80.9%였다. 2017년 60대가 84.1%, 70세 이상은 81.8%가 투표했다.

2007년 20대 투표율과 60대 이상 투표율이 30%포인트가량 차이났던 데 반해 2017년 대선에서는 10%포인트 안쪽으로 격차가 줄어든 것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6일 서울 도봉산 입구와 경기도 동두천시 지행역 광장에서 각각 선거 전 마지막 주말 유세를 하고 있다. 2022.03.06. ⓒ뉴시스


2030 세대의 투표 향방이 이번 선거 최대 승부처로 꼽힌다.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이른바 '젠더 갈라치기'로 지지율을 끌어올리면서 시작된 선거는 선거 후반, '윤석열은 도저히 안 되겠다'며 2030 여성층이 이재명으로 결집하는 양상이 형성됐다.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사전투표율은 이번 선거 투표열기를 그대로 보여준다. 과연 투표율은 80%를 넘길까. 2030세대의 투표율은 얼마나 더 오를까. 이 세대의 손에 대선이 결판지어진다고 봐도 과언은 아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