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신문 솎아보기]
정호영 복지부장관 후보, 자녀 편입 의혹 커져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의 한동훈 법무부 장관 내정으로 검찰이 정쟁의 중심에 올랐다. 15일자 주요 종합일간지 보도에선 “칼(수사지휘권)이 아니라 펜(법무행정)을 쥐여줬다”는 윤 당선자 측 설명과 달리, 실질적인 권한을 쥐어줬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일부 신문은 윤석열 당선자의 인사 방식에 대한 국민의힘 내부 우려를 전했다.

경향신문은 한동훈 법무장관 후보자를 “갈등의 씨앗”이라 칭했다. ‘법·검 탈정치화와 거리…한동훈은 통합 아닌 ‘갈등의 씨앗’’이라는 제목의 기사는 한 내정자 지명을 문재인 대통령이 ‘조국 사태’ 와중에 조국 전 법무부장관을 지명한 일에 빗대었다. 이어 “윤 당선인은 상대방의 ‘장군(검수완박)’에 ‘멍군(한 내정자 지명)’으로 응수하는 것을 택했다. 현 여권과의 감정싸움이나 고초를 겪은 한 내정자에 대한 부채의식이 앞섰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며 “그 대가로 법무·검찰은 정치적 갈등의 한복판에 또다시 끌려들어가게 됐다”고 지적했다.

한겨레는 1면 머리에 ‘사실상 민정수석·검찰총장 역할까지 ‘소통령 한동훈’ 예고’ 기사를 배치했다. 기사는 “검찰에서는 이명박 정부 첫 법무부 장관이었던 김경한 장관 전례를 꺼낸다. 김 장관은 청와대 신임을 등에 업고 검찰 인사에서부터 수사까지 진두지휘하는 듯한 실세 장관 모습을 보였고, 이 때문에 검찰 내부에서 ‘김경한 검찰총장’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며 “ 당시 임채진 검찰총장은 퇴임하며 김 장관으로부터 비공식적 수사지휘를 여러 차례 받았다고 밝혀 논란이 일기도 했다”고 했다.

▲4월15일 주요 종합일간지 1면 모음
▲4월15일 주요 종합일간지 1면 모음

한동훈 지명자의 권한과 관련해선 세계일보 기사(법무부 장관에 상설특검 발동권 ‘검수완박’ 돼도 대장동 수사 가능)도 “법무장관이 독자적으로 ‘상설특검’을 발동할 수 있어 사실상 검찰의 특수수사 기능은 유지되고, 폐지되는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기능까지 흡수하게 되면 법무장관의 ‘힘’은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해질 수 있다는 관측”을 했다. 한국일보도 ‘‘수사의 檢’ 뺏겨도…한동훈에 ‘특검 쌍칼’ 쥐어준 尹당선인’이란 제목을 썼다.

동아일보와 중앙일보는 이번 인선을 앞둔 뒷얘기를 다뤘다. 동아일보 기사(尹, 인선 초기 장제원에 “한동훈 법무 어떻겠나… 한번 만나보라”)는 지난달 말 윤 당선자가 장제원 비서실장에게 ‘법무부 장관으로 한동훈(검사장은) 어떻겠냐’며 의중을 밝혔다면서 “장 실장은 윤 당선인의 지시로 최근 한 후보자와 2시간가량 조찬을 한 뒤 주변에 “외부에 알려진 것과 달리 굉장히 합리적이고 부드러운 사람”이라고 언급했다고 한다”고 했다.

이를 두고 윤 당선자 측근도 몰랐던 인사라며 “윤 당선인이 진짜 터놓고 조언을 구하는 그룹이 따로 있는 게 아니냐”는 당내 목소리가 전해지기도 했다. 중앙일보 기사(중앙일보 권성동도 몰랐던 한동훈 낙점…장제원 “맡겨달라 하더라”)는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사전에 한 검사장 지명을 몰랐다면서 이렇게 전했다.

▲4월15일  중앙일보 기사
▲4월15일 중앙일보 기사

국민일보의 경우 이번 인사를 두고 ‘마이웨이’라며 불만을 표하는 당내 목소리를 전했다. 관련 기사(적재적소 인선이라지만…국힘 내부 ‘尹 마이웨이’ 우려 증폭)가 전한 익명의 국민의힘 인사들 발언은 “철저하게 인사 검증을 한다고 해서 기대가 컸는데, 그 기대가 실망감과 걱정으로 바뀌었다” “윤 당선인이 아직 여의도 정치를 모르는 것 같다” “도무지 이해가 힘든 인사...윤 당선인이 한 후보자를 지명할 경우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정면충돌할 것이라는 점을 예상하지 못했는지 모르겠다” 등이다.

한편 검찰이 ‘윤석열 사단’으로 재편될 거란 전망이 본격화하고 있다. 한국일보 기사(‘尹사단’ 檢요직 장악하나…6월 역대급 물갈이 전망)는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법무부와 검찰 내부에선 한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임명된다면 이르면 6월 역대급 물갈이 인사가 단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벌써부터 인사와 예산을 짜는 법무부 검찰국장 자리에 특정인이 거론되며 윤석열 라인이 포진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고 했다. 이어 “서울중앙지검장 시절 윤 당선인을 보좌하는 차장검사와 특수부장(현 반부패강력수사부) 자리는 대부분 '윤석열 라인'으로 채워졌고, 윤 당선인이 검찰총장으로 영전하자 그들이 대검이나 법무부 요직으로 고스란히 이동했다”며 “당시 윤 당선인의 노골적인 '내 사람 챙기기'는 일선 검사들 사이에서 조직 편가르기와 상대적 박탈감을 키운 사례로 기억된다”는 전례를 전했다.

정호영 복지부장관 후보자 자녀에 ‘아빠병원 특혜’ 논란 증폭

정호영 복지부장관 후보자 자녀에 대한 특혜 의혹이 높아지고 있다. 정 후보자 자녀는 그가 경북대병원 진료처장(부원장) 및 원장이던 시점에 경북대 의대로 편입했다. 딸은 2017년 학사 편입, 아들은 이듬해 지역인재 특별전형으로 편입했는데 이 과정에서 ‘아빠 특혜’가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동아일보 사설(복지장관 후보자 자녀 ‘아빠 찬스’ 의혹, 수사 대상 아닌가)은 “의대 편입은 의학전문대학원 폐지 후 의전원을 준비하던 학부 졸업생들을 위해 2017년부터 4년간 한시적으로 운영된 제도다. 정 후보자의 자녀는 아버지가 부원장인 대학병원에서 봉사활동 스펙을 쌓아 그 대학 의대에 들어갔으니 누가 봐도 ‘아빠 찬스’를 썼다고 의심할 수밖에 없다”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능력 위주의 조각을 강조하지만 의료계에서도 정 후보자 인사 소식에 고개를 갸웃하는 이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4월15일 한겨레 1면 사진기사
▲4월15일 한겨레 1면 사진기사

여러 신문은 이번 사안과 관련해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례를 거론했다. 서울신문 사설(정호영 후보자 ‘아빠 찬스’, 조국 판박이 아닌가)은 “이번 특혜 의혹은 전 국민을 공분케 했던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딸 조민씨 사례와 닮았다. 조씨는 부산대의전원 전형에 제출한 자료에 기록된 스펙이 대부분 허위로 판명돼 입학이 취소됐고, 의사 자격 박탈 위기를 맞고 있다”며 “정 후보자에 대해서도 조민씨와 같은 잣대로 빈틈없는 검증이 요구된다”고 했다.

조선일보 사설(조국 떠올리게 하는 정호영 후보자 자녀 문제)은 “‘논문 저자’ 문제까지 더해지면 조국 자녀의 입시 비리를 떠올리는 국민도 적지 않을 것”이라며 “그러지 않아도 정 후보자는 윤석열 당선인의 오랜 친구라는 것 외에 장관으로서 특별한 경력이 무엇이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조국 비리를 수사한 사람이 윤 당선인이다. 당선인 측과 정 후보자는 철저하고 명확하게 해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