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육체의 방파제"라던 외화벌이 매춘사업, 일본은 뒤늦게 숨겼다

[재조명하는 일본군 위안부 역사] ③

김영호 <지구얼굴 바꾼 인종주의> 저자  |  기사입력 2024.03.15. 05:03:23

 

일본은 태평양 전쟁 당시 동아시아의 식민지, 점령지에서 어린 소녀들을 강제로 연행해 일본군의 성노예로 부렸다. 이른바 종군위안부다. 그것은 무수한 증언과 자료를 통해 입증되고도 남음이 있다. 그 까닭에 일본은 1993년 관방성 장관 고노 요헤이(河野洋平-하야양평)의 담화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의 존재를 인정하고 사과했었다. 이른바 고노담화다.

 

그런데 21세기 들어서는 일본의 태도가 돌변했다. 종군위안부의 강제연행을 부인하더니 이제는 종군위안부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고 있다. 2023년부터는 교과서에서도 '종군위안부'를 삭제하고 '위안부'로 기술하고 있다. 그것은 자발적 매춘행위라는 의미를 함축하는 까닭에 역사왜곡을 넘어선 역사날조다. 

 

그 문제의 심각성은 일본이 자라는 세대에게 학교교육을 통해 한국이 역사를 왜곡해서 일본, 일본인을 폄하한다는 허위인식을 주입시킨다는 사실이다. 그 같은 제도교육은 한국, 한국인에 대한 적대적 감정을 필연적으로 조장한다. 그것은 양국의 위정자들이 말하는 미래지향적 관계를 역행하는 처사다. 

 

바람직한 관계정립은 역사적 진실을 토대로 하는 반성과 사과 위에서 이뤄진다. 그 점에서 언론인 김영호(<지구얼굴 바꾼 인종주의> 저자)가 아래와 같은 연재물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의 역사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⑴ 포르투갈에 소녀들 팔아 조총 산 일본영주들 

⑵ 국가가 관리한 종군위안부 원조 '가라유키상' 

⑶ 외화벌이 매춘사업, 국치로 여겨 숨기는 일본 

종군 위안부의 역사 지으려는 일본의 안간힘 

 

일본의 유곽은 그 역사가 400년 넘게 거슬러 올라간다. 유곽은 정부의 허가를 받아 매춘영업을 하던 건물이나 그 구역을 말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풍신수길)가 유곽을 처음 도입했으며 1585년 오사카(大阪-대판), 1586년 교토(京都-경도)에도 생겼다. 이어서 도쿠가와(德川-덕천) 막부 시대에는 유곽이 25개로 늘어났고 에도[江戶-강호)막부 들어서는 더욱 번창했다. 막부는 1192~1868년 일본을 실질적으로 통치한 군사 독재자인 쇼군의 세습정권을 뜻한다.

 

유곽은 에도시대에는 부유층이 주로 출입하며 유흥을 즐긴 장소여서 일본문학과 우키요에(浮世繪-부세화)의 발달에 큰 영향을 끼쳤다. 우키요에는 일본판화를 말한다. 일본이 1868년 메이지(明治-명치)유신 이후에는 매춘부의 등록제도, 성병검진, 거주제한을 실시하는 공창제를 운영했다. 1930년에는 유곽이 511개로 늘어났고 5만여 명이 공창에 종사했었다.

 

19세기 후반 들어 일본이 침탈을 노리던 조선에도 일본의 유곽과 공창제가 들어왔다. 1876년 일본의 강압에 의해 개항된 부산, 원산, 인천에 일본인 거류지를 중심으로 일본식 매춘시설이 들어섰던 것이다. 이어 노-일전쟁이 일어나자 서울에도 일본인 유곽업자가 여자들을 데리고 나타나 장충단 부근에 유곽을 세우고 매춘영업을 개시했다.

 

그 유곽이 20세기 진입을 전후해 일본군의 진격 나팔소리에 발맞춰 일본 대동아공영권의 서유럽 국가의 식민지, 점령지, 조차지를 넘어서 호주, 미국까지 퍼져나갔다. 일본정부가 내세운 대리인들이 일본군이 가는 곳마다 일본에서 데려간 가라유키상들이 종사하는 공창을 운영했던 것이다. 거기에는 먼 나라로 원정에 나가 고생하는 일본군을 위안한다는 정부의 개입이 숨어있었다. 

 

그 시기에 그들이 몸을 팔아 번 외화를 부모들에게 송금했다. 제국주의의 기치를 높이 든 일본은 가라유키상을 서방열강과 최전선에서 싸우는 군인에 비유해 낭자군(娘子軍)이라는 말로 찬사를 보냈다. 또한 외화를 벌어들이는 애국자라고 치켜세웠다. 실제 그 때 그들은 일본의 외화벌이 첨병이었다. 그들이 벌어들인 외화가 1910년경에는 일본의 전체 외화수입의 10%에 달했다는 소리도 있으니 말이다. 

 

▲ 1945~1946년 동안 운영된 요코스카의 주일미군을 위한 위안소. ⓒ위키미디어

 

 

 

 

 

 

그 일본이 있는 돈, 없는 돈을 박박 털어 영국,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에 군함을 발주해 무장하더니 일약 해양대국으로 도약하여 청나라와 러시아를 잇달아 격파했다. 한 순간에 서방열강과 자웅을 겨룰 만큼 국력이 신장한 일본은 강대국의 반열에 올라섰다. 국제사회에서 일본의 국가적 위상이 높아지자 세계 각지에 퍼져나간 가라유키상을 바라보는 일본사회의 시각이 차츰 싸늘해졌다. 국가적 수치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던 것이다.

1910~1920년대에 걸쳐 일본관리들이 해외에서 일본유곽을 없애려고 분주하게 뛰었다. 1920년에는 매춘금지령이 내려졌다. 정부가 관리하던 많은 가라유키상들이 일본으로 돌아갔으나 그들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사회적 멸시와 천대뿐이었다. 일본에 돌아가도 생활연고가 없는 이들은 그냥 그 자리에 주저앉았었다. 

 

싱가포르, 홍콩, 말레이시아, 시베리아 등지에는 가라유키상이 묻힌 묘지가 아직도 더러 남아 있다. 가난이 죄가 되어 세상물정 모르는 어린 나이에 돈에 팔려나가 이국땅에서 몸을 팔다 다시는 가족의 품에 돌아가지 못한 채 생을 마감한 이들의 무덤이다. 그나마 흔적이라도 남긴 이들은 낫다. 성병, 폐병이나 풍토병에 걸려 죽은 뒤 바다나 정글에 그냥 버려진 여인들의 시신이 부지기수였다. 

 

하와이 진주만 미국 해군기지와 동남아시아 영국식민지에 대한 일본의 기습공격을 시발로 태평양 전쟁(1942~1945년)이 발발했다. 일본의 애국주의가 1920년 금지했던 해외원정 성매매를 되살렸다. 그에 따라 종군위안부들이 일본군부가 관리하는 공창에 들어가거나 민간이 운영하던 사창에서 매춘행위를 했다. 일본군 점령지의 공창에서는 일본헌병이 성병검사를 실시했다. 그 때 조선에서는 어린 소녀들을 강제로 연행해 종군위안부로 부렸던 것이다.

 

태평양 전쟁에서 패배한 이후 일본에는 미국 점령군을 상대로 하는 매춘부가 생겨났다. 일본정부가 점령군의 강간 등 성범죄를 예방한다는 명목으로 연합국사령부의 허가를 얻어 특수위안시설협회를 설립하고 기지촌 부근에 위안소를 설치했다. 일본정부는 그 단체를 내세워 신문광고를 통해 위안부를 모집했다. 

 

위안부 모집에는 도쿄에서만 응모자가 1360명이나 몰렸고 위안소도 30여 곳으로 늘어났다. 점령군을 상대로 하는 매춘사업에 정부가 개입했다는 비판의 소리를 의식해서인지 일본정부는 강간 등 여성의 성적피해를 막는다는 취지를 유독 강조했다. 그 단체를 '육체의 방파제'라는 말로 비호하기도 했다. 

 

그 당시 연합군 주둔규모는 30만 명이었으며 미군을 상대로 성매매에 종사했던 일본여성은 단체의 사무직을 포함해 5만5000명에 달했었다. 그들은 성범죄를 막는 효과도 있었지만 외화벌이의 목적이 컸었다. 1952년 그들이 벌어들인 달러가 1억5000만 달러에 달했다는 추정도 있다. 그들이 가라유키상과 다른 점은 해외가 아닌 일본에서 매춘행위를 했다는 사실이다. 

 

성병이 크게 번지자 연합군 최고사령부가 1946년 위안소 허가를 취소했다. 하지만 일본인의 자발적 성매매에 대해서는 규제할 도리가 없어 연합군이 매춘지역을 접근금지구역(Off Limits)으로 지정하고 주둔군의 출입을 통제했다. 그러자 일본정부는 아카센(赤線-적선)구역이라고 해서 성매매가 가능한 지역을 지정하여 사실상 매춘영업을 보호했다.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미국이 일본을 미국군의 전진-보급기지로 삼았다. 일본이 한국전쟁의 폐허를 딛고 삽시간에 경제부흥을 이룩함으로써 선진국 대열에 진입했다. 패전의 상흔을 일거에 털어낸 일본이 한 때 일장기를 휘날리며 세계로 나갔던 가라유키상을 일본의 치부로 의식하기 시작했다. 1956년 일본정부가 마침내 매춘방지법을 제정하고 유곽을 공식적으로는 폐지했다. 

 

그 어두운 역사가 일본사회에서는 한 동안 가려져 있었다. 그런데 1972년 야마자키 도모코가 펴낸 <산다칸 유곽 8번>(Sandakan Brothel No. 8)이라는 책이 일본사회가 잊고 싶어 하는 가라유키상의 뼈아픈 슬픈 기억을 다시 불러냈다. 그 책은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의 칼리만탄 유곽의 속살을 속속들이 드러냈다.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그곳의 유곽에는 유럽인의 출입이 많았다. 몸값의 절반은 포주가 떼어 가고 남은 절반에서 출국할 때 진 빚을 갚고 화장품과 옷가지를 사고 나면 그들의 손에는 몇 푼 남지 않았다고 한다. 그것이 가라유키상의 일생이었다. 그런데 한국이 일본이 국치로 여겨 숨기는 종군위안부를 사과하고 배상하라고 하니 역사왜곡을 통해 거짓말을 일삼는다.

 

 김영호 <지구얼굴 바꾼 인종주의> 저자 최근글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