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노들에 가서 4

11/9일 일기

그저께 밤, 오랜만에 노들에 갔다. 그래봐야 2주만인데 꽤 오랜만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2주에 한 번씩, 원래의 계획대로 오고 있는데 한 주 빼먹은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궁금하고, 또 궁금하다.

어떻게 뭘 하고 지내고 계실까.


노들은 바쁘다.

밤낮으로 공부 프로그램이 짜여져 있고

교실과 복도와 휴게실에 사람들이 가득이다.

어떤 때는 화장실에 가고 싶어도 못 간다. 줄 서다가 그냥 참았다.


활동가/교사(이 분들을 뭐라고 불러야 할 지 잘 모르겠다. 야학 교사니까 교사라고 하는 게 나을지도 모르겠다. 상근 활동가도 또 있으니까.)들은 이일 저일에 뛰어다닌다.

교사들은 다 내 나이 또래인 것 같다.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의 사람들.

이 사람들은 내가 보기엔 전천후 인간들의 집합소 같은 인상을 준다.

장애인들과 저렇게 소통하고 활동을 보조하는 것을 보면 걸림이 없어 보인다.

수업 준비를 하시는 것만 보더라도,

휠체어 들어가는 공간을 확보하고, 접이식 의자를 어떻게 놓을지 보고,

수업을 들으러 온 학생이 청각 장애인이면 노트북을 들고 들어와

강의 내용을 치고, 어떨 땐 모니터에 점자판이 뜨기도 한다. 와- 처음 봤다.

누워있는 분들이 칠판을 보기 편하도록 이동침대(?)의 높이를 조정해주기도 하고.

묻고, 듣고.


그에 비해 나는 무한한 걸림들을 겪는 중이다.

무엇보다, 성미가 급해 사람들의 말을 잘라먹는다.

친절이나 배려같은 건 개나 줘버려야 할... 아니 개한테도 쓸모없을 것이다.


강의실 문 앞에, 전동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서/앉아 있다. 

이 분은 들어가지도 나가지도 않고 문 앞에 계시다.

지나가는 나로서는 장벽이다.

저기요, 저 좀...

말을 꺼내기가 무섭게 휠체어를 후진시키신다.

나는 쉭 빠져나간다.

그리고는 뒤가 찜찜하다. 물어볼까?

들어가시거나 나가시거나 하시지 왜 거기에 계세요?

출입하려는 사람 입장에서 그분은 문을 막고 계시는 건데

근데 사실 물어보고 싶은 건 저건데, 못 물어보겠다.

어떤 말로 물어야 할지 모든 게 조심스럽다.

나는 빠져나오면서, 웃음을 띠며(정말 웃는 얼굴을 만들어서) “들어가세요~(강의에~)”

라고 했지만, 더 길게 무슨 말을 할 용기가 나지 않는다.

느린 걸 참지 못하기 때문에 그냥 지나쳐 온 것일지도 모르겠고,

어쨌든 머리가 그런 걸 계산하기도 전에 몸이 이미 빠져나가고 귀가 닫히기 때문에

이렇게 한참 만에 돌아와서 생각하는 것이다.


차근히 따져본다.

느리다. 나보다 느리다. 내가 빠르다.

어떤 분들보다 내가 빠르게 말하고 빠르게 듣고 정리해버린다.

노들에는 교사도 있고 활동가도 있고 활동보조인도 있고 학생도 있는데

그러나 나에게는 대화를 할 수 있는 사람과

대화를 할 수 없는 사람으로 분절된다. 그것은 곧

활동가, 교사, 활동보조인/ 학생

의 이분화와 겹친다.

사실 비장애인과 내가 대화를 할 수 없지는 않다.

중요한 건 대화를 하려면 서로의 속도가 맞아야 한다는 것인데

장애와 비장애에서 내가 당장 넘지 못하는 것은 속도의 교차점이다.


배려가 아니라 개입을 하려 한다. 그게 무슨 말이든 상관없다.

혹자는 ‘친해지기’라고 하고 혹자는 ‘알기’라고도 하지만 무슨 상관이랴. 어쨌든

좀 편하게 소통하고 싶은 거다. 그리고 그건 언제나 내가 능숙해져서 몸에 베지 않는 이상

힘을 이끌어올리고 뭔가 하려고 덤비는 일이다.


지난 시간에는 경미언니가 ‘시경’ 수업을 하셨다.

ppt 자료를 미리 뽑아온 학생들이 종종 눈에 띄었다.

한 학생이 수업 중에, 자료를 넘기다가 의자 밑으로 자료를 떨어뜨린다.

발로 그걸 꺼내 올리려 하는 것 같은데, 잘 되지 않자 그냥 계신다.

나는, ‘저거 꺼내드리는 게 편하실까?’ 생각한다.

옆으로 가서 슬쩍 묻는다.

“자료 올려드릴까요?”

“아-니-여.”


한 박자 느린 템포로 ‘아’ 소리가 나고, 천천히 그 다음 음절이 들린다.

아니란다. 그래서 다시 자리로 돌아와 앉는다.

나는 속삭이듯 말하고, 그분은 속삭이시되 성량이 크시다.

살짝 뻘줌하다.

내가 불필요하게 간섭한 건가?

자료를 들어올리려고 하신 것 같은데 내가 불편해서 싫다 하신 건가?

하여간, 이런 생각은 다 쓸데없다.

아니라시니 아닌대로 두면 된다고 생각하고 강의를 계속 듣는다.


굳이 자연스러워지려 하지 않기 때문에, 어색하면 어색한대로 그냥 흘려보내고

다시 또 말하고 듣고 한다.

대신, 좀더 적극적으로 말하고, 말하기 전에 좀더 적극적으로 듣기로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