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트 영역으로 건너뛰기

당 노동조합 창립을 앞두고

당 노동조합의 결성식이 다가올수록 반대론자들의 논박이 활발해지고 있다.

예상을 했던 바이긴 하지만 예상보다는 그 수위가 높지는 않고

논박에 나선 이들도 몇 안되어 보인다.

 

논박의 근거도 예상했던 것들과 크게 벗어나지 않아 보인다.

그런데 한 당원의 지적은 공격이라기보다는 '그렇게 해서 노동조합 하겠냐?'는

의미로 다가오는 것이었는데 '당 상근자 노동조합이라면서 왜 중앙당 상근자

중심이냐, 지역의 상근자들은 얼마나 되냐?'하는 내용이었다.

얼마 전까지 내가 파악한 바로는 중앙당과 지역의 비율이 반반이었는데

전체 상근자들의 수를 생각한다면 최소한 3:7은 되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참여하는 중앙당 상근자들조차 과반을 넘지 못하는 상황도 마음에 걸린다.

과반을 넘지 않는 노동조합이 교섭력을 갖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6일 창립총회하고 다음 달 정기총회때까지는 더 많은 동지들이 함께 했으면 좋겠다.

 

얼마전 신임 사무처장과 당 노동조합에 관해 서로의 의견을 나눈 바 있다.

나와 관련된 개인적 문제와 관련해 얘기가 시작되었는데 노동조합 얘기까지

흘러갔다. 대중단체 활동의 경험을 많이 들었다. 당직자의 활동가성에 대한

문제가 여전히 걸리는 모양이었고 새로이 일을 시작함에 있어 상당히 조심스러워

하는 모습도 보였다. 앞으로 더 많은 대화가 필요한 것을 느꼈다.

 

그리고 지역 상근자들과도 간담회를 통해 의사를 확인해 봤는데 두 부류였다.

별 관심없다 혹은 다른 방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의견과

이왕하려면 제대로 해야 한다 지역 상근자들이 단체로 일괄 가입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었다. 우선 동의하는 동지들부터 함께 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그런데 여기에도 여전히 남는 문제는 지역위원회 상근자들에 대한 지도부의 태도이다.

이들의 존재를 교섭석상에서 지도부가 정당법의 한계를 넘어서서 공식적으로 인정을

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지역위원회 상근자들 중 당 노동조합에 동의를 하면서도

선뜻 함께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바로 이 지점에 있다. 자칫하면 당에서 상근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마저 박탈당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문제는 당 노동조합의 활동과 교섭에도 문제가 될 수 있다.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이중 교섭을 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초대 집행부를 맡을 동지들은 이 문제에 대한 명확한 원칙을 세워야 할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