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590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8/02/18
    여름궁전(2)
    풀소리
  2. 2008/02/17
    익숙하지만 낯선...(2)
    풀소리
  3. 2008/02/14
    초콜릿(7)
    풀소리

여름궁전

예전에 노보에 싣느라고 급하게 썼던 글이다.

급하게 쓰다보니 매끄럽지 못했다. 오죽하면 너그럽기 그지없는 감비까지 지적할 정도였다.

시간이 되면 수정을 해야지 하면서도 많이 미뤄왔다. 그러다가 이번 출장길 버스 속에서 손을 봤다. 물론 손을 봤다고 별반 다를 건 없지만 말이다.

 

여름궁전 포스터

 

여름궁전

 

로우 예(Ye Lou) 감독이 연출한 여름궁전은 사랑을 주제로 한 영화다. 그리고 한국에서 광주민주화항쟁만큼이나 중국 사회에 엄청난 상처를 남긴 천안문사건을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로우 예 감독은 ‘천안문 사건의 격렬함이 사랑의 격렬함과 같다’고 말하였다고 한다. 그러고 보면 천안문 사건을 이 영화의 시대적 배경으로 삼은 것은 우연만은 아닌 것 같다. 사랑의 격렬함을 드러내기 위해 천안문 사건을 배경으로 삼았는지, 아님 천안문 사건의 격렬함을 드러내기 위해 사랑의 격렬함과 무수한 상처를 비유했는지, 아님 상처를 남기기도 하고, 상처 이상의 무엇을 남기기도 한다는 측면에서 사랑과 천안문 사건이 닮아 있음을 그리려 했는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주인공 위홍

 

영화는 주인공 위홍이 북경에 있는 북청대학교 합격증을 받으면서 시작된다. 위홍은 북한과 중국의 접경도시 조선족자치구 투먼을 떠나 북경으로 온다. 위홍이 처음 접한 대학은 통제사회 속의 해방구라는 측면에서 우리네 80년대와 흡사하다. 학생들은 사회의식이 분명하더라도 소란스럽고, 사랑과 일탈을 추구한다. 그곳에서 위홍은 자유롭고, 유쾌한 성격의 리타를 만났고, 리타를 통해 우수로 가득한, 한없이 깊은 눈을 가진 남자 저우웨이를 만났다.

 

우수깃든 눈이 깊은 남자 저우웨이

 

위홍은 저우웨이가 운명적인 남자라는 걸 직감적으로 느끼고, 그에게 깊이 빠져든다. 저우웨이도 마찬가지이지만 그가 전부인 위홍과 달리 다른 여자들 사이로 방황한다. 그런 저우웨이를 보면서 위홍은 그에 대한 사랑이 깊어갈수록 사랑에 대한 불안감 또한 커져간다. 불안감을 이기지 못한 위홍은 결국 결별을 선언한다. 그리고 천안문 사건이 일어난다.


트럭을 타고 흐드러지게 웃으며 노래를 부르고, 힘차게 구호를 외치며 천안문 광장으로 향하는 젊은이들. 그 틈에 위홍도, 저우웨이도, 리타, 그리고 주변의 모든 친구들도 있었다. 시간이 지나고 보면 시들어 흩어질 운명이라는 걸 알게 될지라도 흐드러지게 핀 봄꽃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천안문에서 시위가 격렬해지고, 구호가 온 세상을 덮을 때, 저우웨이와 리타는 기숙사에서 섹스를 하다 학교 당국에게 발각되면서 둘의 관계가 모두에게 알려지고, 손을 잡을 듯 말 듯 위태롭던 그들의 친구 관계는 연인관계로 발전한다.

 

위홍과 저우웨이의 밝은 한때

 

비록 결별을 선언했지만 여전히 저우웨이를 가슴 속 깊이 사랑한 위홍은 분노하고 절망한다. 사랑은 어쩜 젊음의 전부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의욕을 상실한 위홍은 천안문사건이 끝나면서 학교가 조기방학에 들어갈 때 고향 투먼으로 돌아간다.


위홍은 정착하지 못하고 투먼에서 다시 선전으로 선전에서 중경으로 옮겨 다닌다. 정착하지 못하는 건 사랑도 마찬가지다. 공허함이 클수록 그것을 채우려는 시도도 커지는가. 위홍은 사랑을 찾지 못하면서도 섹스에 탐닉한다.


나는 위홍이 탐닉하는 섹스가 슬픈 몸부림처럼 느껴졌다. 마치 거대한 운동이나 혁명이 변질되기 시작하였더라도, 지나고 나면 실패라는 뻔한 결말이 될 것이 명확하지만, 현재시제에 사는 사람은 몰입하지 않을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그녀의 사랑과 섹스가 또 다른 관계를 잉태하지 못하고 그렇게 끝나는 것은 어쩜, 슬프지만 어쩔 수 없이 딛고 살 수밖에 없도록 예정된, 우리의 현실인지도 모르겠다.


나중에 저우웨이가 중경으로 돌아와 다시 재회하였을 때 위홍은 2년 전에 이미 결혼했지만, 남편과의 사랑이 본래 그녀가 추구하던 사랑도, 그래서 최종 기착지도 아니라는 것은 명백해 보인다. 마치 거대한 운동이 끝나고, 참여했던 주체들의 의지와 관계없이 모든 과실이 정치판의 흥정물로 전락했을 때, 주변부로 밀려날 수밖에 없는 순수한 사람들이 선택한 불안한 삶처럼 말이다.


리타는 천안문 사건이 끝나고 저우웨이와 함께 베를린으로 가 함께 10년을 보낸다. 그러나 리타는 저우웨이가 진정으로 사랑하는 것이 자기가 아니고 위홍이라는 걸 안다. 그녀는 자신이 그토록 절실히 원하는 사랑이, 예전에도 그랬던 것처럼, 결코 자신의 것이 되지 않을 것임을 안다. 그녀는 저우웨이와의 사랑이 그런 의미에서 ‘어떤 희망’도 아님을 깨달으면서 ‘혼자’가 되어 간다. 그녀에게 저우웨이를 향한 사랑은 이제는 단지 기억처럼 그녀의 몸과 함께 동행하는 지워지지 않을 흉터일 뿐이다. 그런 그녀가 택한 것은 자살이었다.

 

재회한 위홍과 저우웨이/ 세월은 사람을 성숙하게 만들면서도, 그 세월을 거치면서 상처로 덧댄 기억은 무수히 겹쳐지는 영상으로 사랑을 도도라지게 하는 걸 방해하기도 한다. 

 

리타가 죽고, 리타가 사랑이 ‘흉터’라고 말했던 것을 기억하며 저우웨이는 ‘사랑이 흉터만은 아니’라고 혼자 중얼거린다. 그에게 사랑은 무엇일까? 여전히 희망을 갖게 하는, 그래서 기대할 수 있는 미래일까? 아님 공허함과 아픔이 사랑 그 자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일까? 위홍은 어떠했을까? 그녀에게도 사랑은 기대할 그 무엇이었을까?


저우웨이는 중국으로 그것도 우연하게 중경으로 귀국하면서 그들은 10년 만에 만난다. 하지만 그들의 사랑은 또 다시 빗겨간다. 그들은 열망해왔던 대로 서로 얼굴을 마주보고 있어도 사랑은 여전히 불확실하고, 고통스럽다.

 

사랑하는 사람의/ 무덤을 찾기 위해서/ 난 세상 끝까지/ 찾아 헤맸다네./ 아픈 가슴 부여잡으니/ 눈물이 쏟아지네./ 내 사랑 당신은 어디에?/ 사랑을 찾는 내 가슴은/ 목메어 우는데/ 당신은 지금 어디에?

 

이 영화의 주제가가다. 기억을 아파한다는 건 여전히 사랑하고 있는 증거라고 하던가. 추억을 잊지 않고 간절히 찾고 있는 이에게 ‘사랑’은 포기할 수 없는 그 무엇이 아닐까? 다른 말로 표현하면 ‘희망’이라 할 수 있겠지.


주인공들과 학생들이 트럭 화물칸에 빼곡하게 타고 웃으면서, 노래부르면서, 구호를 외치면서 천안문으로 향하는 장면을 보며 나도 모르게 눈물이 주르르 흘렀다. 주제가처럼 영원히 지치지 않고 세상 끝까지 갈 것 같았는데, 지금도 그런 연장선상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믿고 있었는데, 눈물은 이미 후일담 세대로 전락한 ‘나’를 증거하고 있는가 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익숙하지만 낯선...

바래서 잘 보이지도 않는 전단지와 표어/ '수상'하면 '신고'하자! 간첩신고상금 최고 1억원!


매우 낯설었지만, 생각해보면 그리 먼 옛날도 아니다.

웅변대회를 열고, 표어를 적고, 포스터를 그리던 그 시절...

선생들이 시키는 대로 애써 고민하던 그 시절...

 

안보시력이 넘쳐서 탈이었던 시절/ 지금은 이 빛바랜 포스터처럼 좌익에 대한 안보시력이 바래있는지...

 

대구 출장길. 시간을 쪼개서 대구지역 노민추활동을 하는 동지들과 오랜만에 어울렸다.

밤늦게 찾은 낡은 돼지국밥집에는 가격만 몇 번 다시 고쳐썼을 것 같은 차림표 말고는 시간이 멈춰있는 것 같았다.

 

차림표/ 가격은 여러번 고쳐썼겠지...


흔히 이발소에 걸려있어, 이발소 그림으로 불리우던 호랑이 인쇄된 그림이 걸려있다.

 

소주 한병 추가하자니 주인 할머니는 몇번 불러야 오신다. 표정은 상냥하시지만 세월이 청력을 흐려놓았나보다.

 

덩달아 들어오는 손님들도 지난 시절에서 온 분들 같았다.

그러고 보면 우리도 지난 시절에 사는지 모르지만 말이다.

 

TV 위에는 오랜만에 보는 한복인형이.../ 그러고 보면 TV만이 유일하게 이 집에 어울리지 않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초콜릿

일찍 가겠다고 했으나

어제도 여전히 10시가 가까워서야 넘어서 집에 도착했다.

 

아내는 내게 줄 것이 있다고 했는데, 목소리는 여전히 활기찼다.

성연이는 아내가 선물을 꺼내놓기도 전에 그게 자기가 주는 거라고 우겼다.

아내가 내어놓은 것은 초콜릿이었다.

발렌타인데이 선물이다.

좋다.

 

아내가 준 초콜릿/ 이미 성연이 손을 탔어도 나는 기쁘게 받았다.

 

성연이는 지 엄마가 한 알을 먹었다고 우겼다.

아내는 자기가 아니라고 또 우겼다.

음~ 그림이 그려졌다.

어쨌든 5알 짜리 포장지 안에 4알이 5알처럼 자리잡고 있었다.

뜯어진 포장지만 아니라면 속을 듯...

 

4알을 3명이 나눠먹자니 또 다시 다툼이 ㅎ

최후의 승리자는 항상 그러하듯이 성연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