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날, 수문해수욕장에서 넉넉한 득량만을 품고 있는 비봉리 선소마을까지(2006년 2월 11일)

 

어제 밤늦게까지 가니 못 가니 다투다 첫차를 타고서야 장흥에 올 수 있었다. 쉼 없이 오기도 했지만 아침에 움직였는데도 11시가 채 안 돼 도착했으니 생각보다 빠르다. 밤새 잠도 제대로 못 자면서 다니는 것보다 첫차를 타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

 

컴퓨터까지 쓸 수 있게 해주는 맘씨 좋은 장흥 우체국 직원 분들 덕에 밤새 우리를 실랑이하게 만들었던 일을 너무나 쉽게 처리했다. 마음이 한결 놓인다. 하지만 당초 계획은 율포해수욕장을 지나 득량까지 걷는 것인데 어쨌거나 오전을 다 내버린 지라 일정조정이 필요하다. 허나 맘이 급해서일까? 어디까지 걷자 말도 없이, 점심까지 대충 때울 요량으로 빵 한 봉지씩을 사들고는 세 번째 여행의 종착지이자 네 번째 여행의 출발지인 수문해수욕장 행 군내버스에 오른다.

 

수문에서 율포까지는 7km가 넘는 거리인데도 쉬지 않고 걸었다. 걷는 거야 이번이 벌써 네 번째이니 조금은 이력이 났으나 뱃속에서 나는 요란한 소리가 자꾸만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아무래도 늦은 점심을 먹어야 할 듯 한데, 오늘 걸어야 할 길이 아직 반도 넘게 남았다. 밥이고 뭐고 과자 부스러기 몇 개 사들고는 또 출발이다. 다만 수문에서도 그랬고 율포에서도 그랬고 명색이 해수욕장에 왔는데 모래사장에 발도 디뎌 보지 못하고 가는 것이 아쉬울 뿐이다.

 

 

<수문과 율포에 자리하고 있는 모래사장>

 

날씨가 많이 풀렸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바닷바람이 무척 차다. 하지만 지나는 차도 많지 않은데다 오른쪽으로 넉넉한 보성만이 얼굴을 보였다가 감췄다가 하며 따라오는 것이 마음만은 가볍게 한다. 헌데 율포를 지나 두 시간쯤 걸었을까? 오른쪽 어깨가 자꾸만 결린다. 잠을 못 자서 그런가? 배낭을 잘 못 꾸려서 그런가?

 

사실 우리의 걷기여행이라는 것이 한 번에 길어야 4일 걷는 거고 보통은 이틀 내지 삼일을 걷는 것이기에 짐이 많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도 짐을 싸다보면 이것저것 챙길 것이 많아 금새 배낭이 묵직해지곤 한다. 이럴 땐 망설이고 자시고 없이 과감히 짐을 빼야 한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핸드폰 충전기 같은 것들을 넣었다면 말이다. 옷도 마찬가지다. 여벌의 속옷, 양말만 있으면 처음 출발할 때 입은 옷으로 대충 삼, 사일은 버틸 수 있으니 그 외의 옷들은 과감히 빼야한다. 대신 구급약과 지도는 ‘뭔 일이야 나겠냐’하고 빼 놓는다면 반드시 후회할 일이 생기니 반드시 챙겨야 한다.

 

오늘 아침에도 짐을 싸면서 이것저것 불필요 한 것들을 뺐다 싶었는데, 아무래도 배낭을 잘 못 꾸렸나보다. 간만에 한참을 쉬면서 스트레칭도 한다. 한결 낫다. 배낭도 뒤집어엎고 다시 꾸린다. 아래서부터 가벼운 것으로, 위로 무거운 것들로. 그리고 무게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화죽에서 갈림길이다. 밤길을 걷는 일이 있어도 845번 지방도로를 타고 득량까지 갈 것인가, 아님 해안도로인 2번 군도를 따라 가다 어디선가에서 하루 밤을 보낼 것인가? 수문에서 출발하기 전에 일정조정을 했어야 했는데. 지도를 펼쳐놓고 보니 아무래도 득량까지는 힘들 것 같다. 해서 해안도로를 따라 걷는데 아무래도 숙박이 문제다. 민박촌은 없는 것 같고 큰 마을도 없다. 난감하다. 이리저리 전화를 돌리다 다행히도 선소마을 어촌계장님과 통화가 되면서 어렵사리 숙박이 해결된다. 한숨이 놓인다. 하지만 어림잡아 봐도 선소마을까지도 만만찮은 거리다. 게다가 해는 이미 산꼭대기에 걸려 있으니. 서둘러야 한다.

 

전에는 배를 만들던 곳이라 해서 지금의 이름을 갖게 됐으나 공룡알과 공룡뼈가 발견되고 나서는 그걸로 더 유명해진 비봉리 선소마을*에 도착하니 가로등에 불이 하나 둘 들어오기 시작한다. 해가 수평선을 넘어가기 전에 도착해 다행이다. 마을회관 앞에서 어촌계장님을 기다리고 있자니 동네 어르신들이 오며가며 한마디씩 하시는데 정겨움이 가득 묻어있다.

 

 “여서 잘라꼬? 이장을 찾아야 쓰겄는디”

 “안 그래도 어촌계장님 기다리고 있는 중이예요”

 “그려. 근디 여그는 어떻게 알고 왔는꼬. 뭐 볼게 있다꼬. 지금은 버스도 안댕길덴디?

 “장흥에서부터 걸어왔고요. 오늘은 여기서 자고 내일은 벌교까지 갈꺼에요”

 “어허 거그를 걸어서 왔다꼬?”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잖아요. 차로 다니는 거보다는 걷는 게 더 좋아요”

 “암튼 울 마을에 왔응께롱. 잘 쉬었다들 가게”

 

기다리던 어촌계장님은 나오시지 않고 대신 계장님 부인께서 나오셨다. 헌데 민박은 어찌 있겠지만 식사까지는 안 된단다. 아침은 굶고, 점심은 빵과 과자로 대충 때우고, 아무래도 오늘은 밥 구경하기 틀린 것 같다. 지난 설 이후 물건을 실은 차가 오지 않아 날짜 지난 물건들이 많은 마을회관 옆 가게에서 요기할만한 것들을 집어들고는 야트막한 언덕 위에 자리잡고 민박집으로 향한다.

 

저녁거리라고 해봐야 컵 라면과 과자부스러기가 전부다. 그래도 슈퍼에서 얻어온 김치에 라면이라도 먹을 요량으로 물을 끓이는데, 언제 나오셨는지 할머니께서 내일이 보름인데 맛이나 보라며 오곡밥을 퍼 주신다. 그것도 고봉으로 두 공기나. 결국 오늘이 가기 전에 이곳에서 밥 구경을 하게 된다. 맛나게 오곡밥을 먹고 나니 피곤이 한꺼번에 몰려온다. 새벽 추위에 일어나 보니 텔레비전마저 켜 놓은 채 그대로 잠에 빠져들었다. 

 

* 여행 후에야 오봉리와 비봉리 등 득량의 여러 마을들을 소개하는 홈페이지(http://dr.invil.org/village/)가 있다는 걸 알았다. 화죽 갈림길에서 우리는 2번 군도를 따라 비봉리 선소마을에서 하루 쉬었는데 845번 지방도로를 따라가면 이금재, 이용욱, 이식래 가옥 등 전통가옥을 볼 수 있는 오봉리에 닿는다. 홈페이지에서는 우리가 하루 밤 묵었던 곳도 찾아볼 수 있는데 그 이름이 그곳의 위치나 경치만큼이나 잘 어울리는 ‘쉴만한 물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05/03 12:36 2009/05/03 12:36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