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른 농부

from 11년 만천리 2011/04/04 10:20

종자 구하기(3월 29일/맑음 1-9도)

 

작년엔 팥과 땅콩에 도전했다. 결과는 대체로 만족. 팥은 햇볕에 널어놓은 걸 보고 여기저기서 팥이 좋다며 팔라는 얘기까지 들었다. 땅콩은 시기를 놓쳐 한 번 실패한 후 두 번째 심은 것들이 주렁주렁 꼬투리를 달고 나왔다. 워낙 심은 것 자체가 적었기는 했지만 그래도 열 번 이상은 삶아먹은 듯하니. 팥이며 땅콩 모두 괜찮았던 셈이다.

 

올해엔 잡곡 종자를 더 늘려 심기로 했다. 우선 콩을 3년씩이나 연작한다는 게 마음에 걸린다. 옥수수와 간작으로 심기도 하고, 한해엔 아래쪽 밭에 심었다가 다음 해엔 위쪽 밭으로 옮겨심기도 하고. 메주콩만 심은 것도 아니고 서리태며 팥과도 섞어 심기도 했으니. 큰 병해나 충해가 생기지는 않겠지만 한 가지만 계속 심으면 땅에게도 좋지 않을 터이고. 또 자꾸자꾸 안 해본 것들을 해봐야겠기에 좀 더 가짓수를 늘리기로 한 것이다.

 

지난주에 귀농본부와 괴산잡곡, 다음카페 두 군데에 잡곡 종자를 구한다는 글을 남겼다. 다행히도 주말을 지나면서 귀농본부와 괴산잡곡에서 메일이 왔고. 오늘 오후엔 본부 간사와 통화까지 하고 몇 가지 잡곡 종자를 받기로 했으니. 일단 출발은 좋다. 올 가을 꼭 채종까지 해서 나눔을 해야 한다는 다짐까지 했으니 귀농본부에서 보내준 잡곡은 좀 더 신경을 써야겠고. 다음 달 중순쯤 괴산잡곡을 통해 또 다른 종자들은 구입해야 할 듯. 지금으로선 다음카페 쪽에선 별다른 반응이 없으니 그렇다. 그래도 아직은 농사 준비할 시간이 넉넉히 남았으니 여기저기 더 알아봐야겠고. 카페에도 한 번 더 글을 올려야한다. 구한 것 또 구할 수 있는 것은 제하고 구체적으로 필요한 것만 추려서 말이다.

 

게으른 농부(4월 3일/맑음 0-17도)

 

대체 뭐 하고 살았나 싶네. 겨울 내내 베란다에 쌓아둔 것들을 보고 있으려니 드는 생각은. 참 게으른 농부다, 밖엔 없다. 서리태며, 메주콩은 그래도 털어놨으니 쭉정이, 콩깍지, 돌만 골라내면 되는데. 가마니로 한가득 담겨있는 팥은 까지도 않았으니. 이제 곧 올 농사준비도 슬슬 시작해야 하는데. 결국 또 닥쳐서야 일을 한다.

 

어제, 오늘 이틀을 꼬박 쭈그리고 앉아 돌 골라내고 쭉정이 골라냈더니 서리태는 끝이다. 봉지로 두 봉지가 나왔으니 첫 도전치곤 괜찮은 건가. 허나 심었던 면적을 생각해보면 그닥 수확량이 많은 건 아닐 듯. 서리태보다 적게 심은 팥이 반가마니니 그렇다. 그래도 종종 집에서 먹는 밥에 검은 콩을 넣어 먹을 수 있겠다, 서리태 두부며, 두유도 만들어 먹을 수 있겠다, 싶으니 흐믓.

 

다음 주엔 낮엔 실기 시험공부하고, 밤엔 팥이나 까고 골라야겠다. 한 일주일 하면 다 하지 않을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04/04 10:20 2011/04/04 10:20
Tag //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203

  1. 나야나 2011/04/05 23:23

    나는 콩떡도 만들어 먹을 수 있겠다, 싶으니 흐믓.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