쏟아지는 비

from 11년 만천리 2011/07/03 15:54

쏟아지는 비(6월 28일/맑음 21-25도)

 

6일 동안 비가 내리다니. 아무리 태풍에 장마가 겹쳤다고는 하지만 좀 심하다. 게다가 내리는 양도 어마어마하다. 23일엔 80미리가 넘게 왔고, 6일간 온 양이 200미리가 넘었다. 그야말로 쏟아졌다는 표현밖엔 달리 쓸 말이 없다. 하지만 문제는 이런 현상이 해가 갈수록 더해진다는 거다. 재작년에도 그랬고, 작년에도 그랬고. 매년 어째, 작년보다 심해진 것 같은데, 라는 말이 반복된다는 건데.

 

그래도 사람들은 무심하다. 아니 먹고 살기 바빠 이런 데엔 그때뿐인 관심밖에 없겠지. 그렇담 정부에서나마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터인데. 도통 삽질하는 데만 바쁜 모양새니. 곳곳에서 제방이 무너지고 다리가 끊기는데도 4대강 사업으로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헛소리나 하고 있으니. 하기야 급변하는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에 ‘적응’이라는 말을 스스럼없이 하고 있는 걸 보면. 역시나 일 터진 후에나 땜질 처방하는 짓이 여기에도 적용될 듯. 대체 언제 정신 차리고 돌아가는 상황을 살피려는지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러나저러나 급한 건 일단 밭 상태라 비가 그치자마자 서둘러 자전거에 오르는데. 걱정했던 것 보단 그래도 상태는 나은 편. 고추 몇 대가 쓰러졌고, 한 쪽 귀퉁이에 물이 고이고, 배수로 쪽에도 아직 물이 덜 빠졌지만. 또 잡초가 쑥쑥 자라 다른 걱정이 생기기도 했지만 오이도 따고 애호박도 따고. 아직은 손가락만하지만 풋고추도 한 봉지 따니. 일일이 고추를 지주에 묶어주고 배수로도 손 보고. 따가운 햇볕에 땀을 흘려도 일할 맛이 난다.

 

하지만 내일부터 또 폭우가 쏟아진다고 하고. 주말에도 장맛비가 이어진다고 하니. 비오기 전 심은 팥은 싹을 낼 수 있을까 걱정이다. 이러다 장마 끝물에 팥 대신 콩을 쭉 심어야 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그래도 뭐, 어쩌겠나. 농사란 게 원래 바람과 해와 비가 하는 일에 그저 농부는 씨를 뿌리고 거두는 일이니. 느긋하게 기다릴 뿐.

 

장맛비 - 첫째 날(7월 1일/안개, 가끔 해 22-29도)

 

하루 쉬고 또 비가 내렸다. 이번엔 단 이틀 동안 210미리. 지난 번 6일간 내린 양과 맞먹는다. 하늘에 구멍이라도 난 걸까. 밭 한쪽은 물웅덩이다. 배수로를 손본다고 하긴 했지만 역부족인가. 느지막이 나와 밭을 보니 갑갑하다. 풀은 발목까지 자랐고. 오이며, 호박, 토마토는 세워준 지주끈을 훨씬 크게 자랐고. 일이 많다.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한참을 넋 놓고 바라보다 급한 것부터 손을 댄다. 일단 여기저기 줄기를 뻗어내고 있는 오이, 호박 등을 정리하고 지주끈도 묶어주고. 서리태 심은 곳 풀도 매주고. 그나마 물이 조금 잘 빠지는 곳 배수로도 다시 파주고. 정신없이 일하고 나니 금세 어둑어둑하다. 머 빨리 나왔어도 질퍽거리느라 별반 차이가 없었겠지만. 그래도 서둘러 나올 걸 하는 생각이다. 모래 또 비가 온다고 하는데.

 

장맛비 - 둘째 날(7월 2일/줄곧 안개 23-29도)

 

새벽부터 부지런히 나와 일을 했는데도 하고나니 참. 겨우 콩 심은 이랑 두 개 풀 매준 것 밖에 없다. 급한 거는 어제 대충 해놨으니 열심히 김매기만 해면 되니 그리 한 것인데. 세 시간 가까이 호미질을 했는데도 겨우 이 정도라. 대충 눈대중으로 계산해도 한 일주일은 꼬박 매달려야 겨우 풀을 잡을 수 있을 것 같은데. 오락가락하는 장맛비 때문에 일주일은커녕. 7월 한 달은 꼬박 풀과 뒤엉켜야만 할 듯. 물웅덩이 생긴 쪽에 배수로 다시 파고 자전거에 오르니 땀이 줄줄 흐른다. 안개 때문에 해는 보이지 않아도 습도가 높아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07/03 15:54 2011/07/03 15:54
Tag //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