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울시장 선거가 뜨겁습니다. 5세훈이가 판을 깔았는데. ‘마사지걸’ 운운하는 대통령이 ‘도가니’를 보고 ‘사회의식’ 어쩌구 하는 것으로 한참 웃게 만들더니. 서울시장으로 나선 나경원은 되레 장애인을 발가벗겨 낯 뜨겁게 만들고. 이쪽 동네 얘긴, 맞아요. 어물전 꼴뚜기가 어디 가겠어요. 하지만 안철수로부터 시작된 바람이 결국 박원순이라는 폭풍으로 번지면서 후끈 달아올랐는데요. 민심보다도 더 화들짝 놀란 건 이른 바 ‘야권’들. 민주당은 당대표가 사퇴하니 마니까지 하는 소란이고. 뭐, 고만고만한 지지율이던 민주노동당은 겨우 체면치레나 했나. 에구구, 진보신당은 무너져가는 집 고치느라 강 건너 불구경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2.
페포네라는 읍장은 사회주의자입니다. 그것도 아들에게 ‘레닌’이라는 이름으로 영세를 주려고 하는 아주 ‘골수’입니다(<영세>pp.51-58). 반면 읍에 유일한 가톨릭교회 신부인 돈 칼밀로는 읍장에게 아주 골칫거립니다. ‘레닌’이란 이름으로 영세를 주지 않으려는 것뿐만 아니라. 지구당 게시판에 ‘페포네 바보’라고 쓰질 않나(<성명서> pp.59-70). 광장집회를 방해하기 위해 성당 종을 마구 치질 않나(<경쟁> pp.81-91). 아무튼 앙숙도 이런 앙숙이 없습니다. 심지어는 성당에서 서로 치고 받으며 난투극을 벌이기도 하지요. 그러나 페포네와 돈 카밀로는 함께 파업 중인 농장에 몰래 들어가 소 먹이를 주기도 하고(<사람과 동물> pp.145-160). 쫓겨난 카밀로 대신 온 새로운 신부가 기존 질서를 허물자 이에 대항해 페포네가 나서기도 하고(<고향으로의 귀화> pp.112-125). 할머니 선생님이 남긴 유언을 지키기 위해 서로 한 발씩 물러설 줄도 알기에(<할머니 선생님> pp.227-237). 악어와 악어새의 관계라고나 할까. 실제 이런 일이 일어나는 마을이 있진 않겠지만. 참으로 알다가도 모를 사이입니다. 이렇게 조반니 과레스키(Giovanni Guareschi, 1908-1968)는 상상하지 못할 기발한 상황들 속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신부님 우리 신부님>이란 책에 담았습니다. 책 표지 날개에 ‘이념과 사상의 대립을 협력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는 신념을 반영, 냉전 체제에 지친 유럽 사람들에게 대단한 평판을 얻었다’고 써 있지만. 그건 그닥 공감하기가 쉽지 않지만 말입니다.
 
3. 
연일 때리기입니다. 대기업 후원에 230만 원짜리 월세, 병역문제까지. 네거티브 안 하겠다면서 검증이라며 쏟아내는데. 이거 정신없습니다. 게다가 언제부터 정책선거를 했다고, ‘747 사기’ 당(黨)에서 공약(空約)들을 쏟아내는데. 가만 보니 이만하면 선거판이 대선급입니다. 그에 반해 박원순으로 뭉친 야권은 한참이나 어리숙해보입니다. 민주당이 부리는 몽니야 예상했던 바이지만. 거기에 놀아나고 있는 민주노동당도 그렇고. 잿밥에 더 관심 많은 참여당이나 진보신당, 탈당파들까지. 이렇다 할 정책은커녕 호기를 놓치고 있는 모양새니. 초반 기세를 전혀 이어가지 못하고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가뜩이나 마딱치 않은 이 호들갑이 여간 거슬렀던 게 아니었던 차라. 이쯤해서 정신들 좀 차리려나 싶은데. 그러거나 말거나 아무튼. 우리나라엔 켄1)과 같은 ‘좌파’ 시장이 나오려나, 묻는 건. 뜬금없는 얘긴가요?
 

 

1) 1980년대 영국은 대처가 이끄는 보수당이 집권하고 있었습니다. 이때 런던 시정부를 이끈 사람은 노동당 내에서도 좌파에 속하는 켄 리빙스턴이었습니다. 켄은 대처가 철도를 죽이고 도로를 확충할 때 반대로 대중교통요금을 획기적으로 내려 자가용을 줄이는 정책을 폈습니다. 또 이명박이 서울시장을 재직하던 중 도입했던 대중교통 환승할인의 시초라 할 수 있는 ‘티켓 하나로(Just The Ticket)'도 시행을 했구요. 중앙정부가 ’작은 정부‘를 지향하며 공기업을 팔아치우는데 앞장섰을 때 리빙스턴은 민간기업을 인수, 공기업이나 협동조합을 만들어 일자리를 늘렸습니다. 그리고 광산 노동자들을 무차별 해고할 때 시와 주민이 함께 마주 앉아 도시개발 계획을 새로 구상했습니다. 이렇게 사사건건 보수당과 마찰을 빚게 되자 대처는 런던광역자치단체를 아예 없애버립니다. 이후 1986년부터 1995년까지 런던은 광역차원에서 자치단체가 없는 시로 남았습니다. 하지만 지난 2000년 런던 시정부가 복구되자 켄은 다시 직선시장으로 취임합니다. 그리고 도심혼잡통행료 제도를 실시해 ‘대중교통의 천국’을 되살리는 등 과거의 정책들을 더욱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10/12 13:58 2011/10/12 13:58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