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에서 온 김정은도 그랬지만 맞이한 문재인도 지난 10여년 시간을 무척 안타까워했습니다. 맞습니다. ‘좌파정권’으로부터 되찾았다던 그 10년 동안 보수정권은 무슨 일을 했던 걸까요. 연달아 핵실험을 하고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만든다며 로켓을 쏘아 올린 것을 두둔하고 싶은 마음은 추호도 없습니다. 남북은 물론 동북아시아에 긴장이 높아졌으니까요. 또 직접 포를 쏘기도 하고 총질을 하던 것도 응당 비난해야 합니다. 그런 걸로는 어느 쪽에도 결코 좋지 못한 결과를 줄 뿐이니까요. 그렇더라도요. 남북관계가 파탄났다는 말로도 결코 지나치지 않았습니다. 북미관계가 최악으로 치달아 금방 전쟁이 나도 이상하지 않을 때가 됐는데도 말리기는커녕 부추기기만 하고. 나라가 듣도 보도 못한 사람에게 휘둘리고 있는데도 안보 팔아 기득권 지키기에만 몰두하더니만. 전 세계가 나서서 지금의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도 분명 가야할 길로 가고 있다고 해도 말입니다. 혼자 앵돌아져 딴소리를 해도 유분수지요. 아니요. 돌아가는 모양새가 뜻대로 되지 않고 홱 틀려 돌아가니 못 마땅해도 여간 못 마땅해도 말입니다. 당신이 들어야 할 말을 당신이 입으로 하면 재미없지 말입니다.
 
“두 번 속으면 바보, 세 번 속으면 공범”
 
앵-돌아지다
 
동사
1. 노여워서 토라지다.
말바우 어미는 앵돌아진 표정으로 법당 앞 댓돌 아래 쪼그리고 앉아 있었다. 출처 : 문순태, 타오르는 강
2. 홱 틀려 돌아가다.
계획했던 일은 이미 누군가에 의해 앵돌아져 버린 것 같다.
자정이 훨씬 넘어 삼경이 깊은 밤이었다. 북두칠성은 앵돌아져 바다 위에 걸리고 은하수는 동서로 빗겨 흘렀다. 출처 : 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3. 날씨가 끄물끄물해지다.
굶은 시어미같이 앵돌아졌던 하늘.
 
최루탄 연기 밤안개처럼 고여 있는 영등포의 노동자 거리, 자정에 이르는 밤시간의 비탈길. 우리는 서로 의심하며 험악한 고갯길을 넘는 잘못 만난 길동무처럼 그렇게 밤시간의 비탈길을 허벅허벅 타 넘었을 것입니다. 영등포의 밤거리는 실속 없이 시끌벅적하였으므로, 서로의 마음속에 앵돌아진 엉뚱한 생각들을 은밀하게 다독거리기에 좋을 것입니다. 서로의 살아온 인생, 그 시간의 살갗들이 다르듯, 우리는 비록 함께 있었을지라도 그 시간들을 겹접어 모아두는 게 아니라, 요기까지는 내 시간, 저기부텀은 네 시간, 물과 기름처럼 따로 동뜬 시간들을 억지로 버무려놓고 있었다 할까 그랬을 것입니다.
<밤길의 사람들>, pp. 209-210 박태순, [20세기 한국 소설 20: 서정인, 박태순 외, 창비, 2005]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8/04/30 16:42 2018/04/30 16:42
1.
곳곳에 현수막이 요란합니다. 이제 곧 지방선거니까요. 시장이든 도지사든, 지방의회든 교육감이든 꽤 짭짤한 보수와 각종 이권에 개입할 여지가 많아서인지(선거 뒤 뇌물 수수로 처벌 받거나 직을 잃는 사람이 한 둘이 아니니 그렇습니다.) 선거가 거듭될수록 나오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래서일까요. 한 동네에서도 각 당(黨)마다 나오는 후보들이 여러 명입니다. 현수막 가게가 때 아닌 호황인 이유지요.
 
2.
선거라는 것을 하고 나서부터 말입니다. 지금까지 표를 던진 사람이 당선이 된 경우가 있었나, 되돌아보면요. 6번의 대통령선거와 또 6번의 지방선거까지. 두 번의 교육감 선거만은 분명한데요. 나머지는 기억이 없습니다. 손에 무슨 신기라도 있는 건가요. 어쩌다 산 복권도 5등 한 번 안 되는 것처럼. 아니, 꼴등이나 안 하면 다행입니다. 개표방송 본지도 오래됐으니 더 말해 뭣하겠습니까.
 
3.
선거를 흔히 민주주의의 꽃이라고 합니다. 선거라도 제대로 하자며 피 흘리며 싸운 분들을 생각하면 당연히 그래야 하겠는데. 지난 경험으로는 선뜻 동의가 되질 않습니다. 물론 처음부터 승자독식 문제까지 생각했어야 했다고 하는 말이 아닙니다. 그땐 체육관 대통령 말고 우리 손으로 뽑아보자, 시장도 군수도 민의를 거스르지 말라는 의지를 반영한 것이었으니까요.
 
4.
국회의원은 한 선거구에서 한 명을 선출합니다. 경상도에는 이당, 전라도에는 저당, 충청은 이저당, 지역주의가 여전할 수밖에 없습니다. 광역의원과 기초의원은 한 선거구에서 한 명이나 두 명을 뽑습니다. 뭐 세 명, 많게는 네 명까지 의원이 되는 선거구도 있지만요. 그러니 늘 빨간 색 아니면 파란 무늬, 거대 양당만이 살아남게 됩니다. 1번과 2번. 기껏해야 3번 또는 4번. 그 이후는 그야말로 가뭄에 콩납니다.
 
5.
민주노동당이 처음 무상급식을 얘기했을 때 다른 정당들은 쳐다보지도 않았습니다. 기초연금도 그렇고 무상의료 역시 그랬습니다. 녹색당과 노동당이 내걸었던 기본소득은 또 어떻습니까. 지금은 그 누구도 허황되고 무책임한 공약이라며 대놓고 무시하진 못합니다. 선거연령을 낮추자는 것도 그렇고 핵발전소를 멈추자는 목소리도 헌법 개정안에 반영되고 고리 1호기는 아예 영구정지 되지 않았습니까.
 
6.
가만 생각해보니 찍은 사람이 당선되지 않아 기억이 없는 게 아닙니다.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아니 보수라고 자칭하는 이들이 처음 집권을 했던 10년 전쯤부터였을 겁니다. 더 이상 이대로 둬선 큰 일이 나도 여러 번 나겠다 싶은 겁니다. 그러니 어쩌겠습니까. 어차피 안 되는 사람보다는 저 사람은 꼭 떨어뜨려야 하니요. 늘 최선이 아닌 차악을 택하게 됐습니다.   
 
7.
그렇다고 민주정부라고 했던 때라고 뭐 크게 달랐겠습니까. 파병이다, FTA다, 비정규직법이다 해서 보수정권과는 얼마나 달랐나요. 하는 수 없어 다시 거리에 나서보았지만 달라지기는커녕. 이제 민주주의 사회가 됐으니 그런 ‘과격한 방법’은 버리고 선거로 의견을 표출하라는 점잖은 경고. 맞습니다. 우리 사회가 민주주의를 선거라는 제도에 가두는 순간부터 시작됐을지도 모릅니다.
 
8.
정당등록취소 요건을 완화했다는 얘기가 들립니다. 2번 국회의원 선거, 득표율이 1% 미만일 경우로 제한한답니다. 선심이라도 쓰듯 여야 합의로 ‘국회 헌법 개정 및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정치개혁소위원회’를 통과했다는데요. 4년 전, ‘득표율 2% 미만’이 위헌이라는 결정을 받아낸 소수정당들로서는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고. 벌써부터 다음 이름 준비해야 하는 건 아니지 모르겠습니다.
 
9.
선거구 분할은 거리낌 없이 자행되고 있습니다. 한 선거구에서 4인까지 뽑을 수 있는 곳을 반으로 쪼개 2명씩 뽑는다는 겁니다. 이럴 땐 어찌나 짝짜꿍이 잘 맞는지요. 물론 대구와 같이 한 당이 영구 집권하는 곳 얘기가 아닙니다. 서울과 같은 곳마저 4인 선거구가 모두 2인 선거구로 나눠졌으니 하는 말입니다. 이럴 거면 헌법 개정안에 ‘비례성’원칙은 왜 넣었는지 모르겠습니다.
 
10.
민주주의의 꽃은 선거가 아닙니다. 선거는 주기적으로 한 번씩 투표소로 사람들을 불러내는 대의민주주의일 뿐입니다. 하지만 그것마저도 1번이나 2번만을 강요하는 대의민주주의라면요. 다른 견해를 가졌다고 배제해버리거나 머릿수로 결정해버리겠다는 것이라면 말입니다. 맞습니다. 민주주의를 제도 안에 가두는 것도 모자라 차악을 강요하는 사표민주주의일 뿐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8/04/03 22:41 2018/04/03 2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