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김선동 의원이 국회에서 터뜨린 최루탄을 두고 말이 많습니다. 뭐, 예상했던바 한나라당은 ‘불법 화학무기’에, ‘특수공무방해죄’, ‘헌정사상 최초’라는 말도 모자라 ‘테러’로 규정짓고 있구요. 또 당연하게도 조.중.동을 비롯해 한미FTA 찬성논조를 유지한 매체들은 ‘사퇴’로는 부족한지 ‘제명’하라 한 목소리입니다.
 
반면 두둔하는 쪽에선 “목숨을 내 놓으라”는 총 든 강도 앞에 이성적으로 행동할 수 있겠느냐 되물으며, 김선동 의원 스스로 자평하듯 최루탄 투척 ‘의거’로 치켜세웁니다. 시쳇말로 다 죽게 된 노동자, 농민, 소상공인들이 그 꼴을 봤더라면 가만있었겠냐는 말이고, ‘을사늑약’을 강행하려는데 멍하니 쳐다만 봐야 하냐며 목소리를 높이는 건데요.
 
가만 보고 있자니. 이 팽팽한 기(氣)싸움에 자칫 한쪽 편을 들었다간 한미 FTA에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 하고는 상관없이 ‘매국노’나 ‘폭력배’가 될 상황입니다. 물론 ‘테러’라는 말을 쓰고 있는 한나라당이야말로 적반하장이 유분수인건 분명합니다. 국민들에게 한미 FTA라는 핵폭탄을 터뜨린 작자들이 어디서 그런 말을 내뱉는 건지. 게다가 지난 1965년에 체결된 굴욕적인 한일협정이후 다시 외국과의 조약을 날치기, 그것도 비공개회의로 처리하고선 ‘특수공무방해’를 운운한다는 건. 더 할 말이 없네요. 이런 게 그들이 말한 ‘국격’이니 ‘국가브랜드’라면 말이지요.
 
하지만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말입니다. 좋은 소리는커녕 ‘날치기’를 덮어씌울 건수가 필요했던 이들에게 좋은 먹잇감이 될 게 뻔하고. 뭐, 언론이 길들여놓은 것이라고 치부할지도 모르겠지만. 어쨌거나 국회에서 벌어지는 몸싸움을 보는데 이력 난 사람들에게 또 한 번 ‘다 똑 같은 놈들이야’란 생각을 각인시킬 뿐인데다. 오히려 두고두고 써먹을 건수만 준 거니. ‘무효투쟁’에 도움도 안 될뿐더러 정치 혐오만 더 부추길 뿐이지요. 게다가 저쪽에서 먼저 형식과 절차를 어겼다고 ‘물리력’ 쓰는 걸 옹호하고 나선다면. 아니 영웅으로 칭송한다면 ‘폭력’이 늘 따라다니게 된다는 걸 모르는 겁니까.       
 
아무튼 상황이 이러하니. ‘민주주의’를 머릿수로만 이해하는 이들이나 ‘폭력’을 아전인수격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을 함께 비판하는 건 쉽지 않을 듯합니다. 원인을 제공한데다 의회뿐 아니라 국민들에게 ‘테러’를 가한 한나라당을 비난하고 나선다면 ‘폭력’을 옹호하는 사람이 될 것이고. 이유야 어떻든 간에 국회 내에서 ‘폭력’을 그것도 ‘최루탄’이라는 물리력을 동원했으니 그것만큼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하면 ‘날치기’를 옹호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받게 될 테니 말이지요.
 
게다가 ‘최루탄 투척’을 두고 잘잘못을 얘기한다는 건. 보통 ‘용기’가 필요한 게 아닐 겁니다. ‘테러’니 ‘의거’니 하는 극한 말까지 나도니 말입니다. 뭐, 이 상황에서 벗어나려면 양쪽을 에둘러 애매하게 말하면서 발을 빼는 게 쉬운 일이겠지만. 애당초 저지가 목적이 아니었던 만큼, 내년 총선이라는 잿밥에 더 관심이 많았던, 민주당처럼 말입니다. 그래도 지켜는 봐야겠습니다. 아닌 것은 아니라고 말하는 사람이 누군지. 잘못한 것은 잘못한 것이라 지적하는 이가 누군지 말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11/24 15:35 2011/11/24 15:35

1.

국회에서 또 몸싸움이 났습니다. 뒤엉켜 멱살잡이에, 치고받고, 손에 잡히는 대로 집어 던지는 꼬락서니(심지어 모 남성 의원은 여성 당직자 머리까지 잡아 끌더군요)들이 참 가관입니다. 이러려면 애초부터 힘 좋은 의원 뽑기를 하던지 아님 과반 의석 차지하면 그냥 맘대로 다 할 수 있게 하던지. 막고 있는 이들이나 들어가려고 하는 이들이나 별반 차이가 없는 게. 엊그제는 여기에 있던 자들이 오늘은 저기에, 어제는 저쪽에서 들어가려는 자들이 오늘은 막는 이들로 서 있으니. 이놈들 욕하자니 저 놈들 한 짓이 생각나고, 괘씸한 저 놈들 보고 있으려니 이놈들도 똑같고. 그렇다고 양비론으로 둘 다를 욕하자는 건 절대 아닙니다. 다 같은 놈들이라고 해도 그때그때마다 또 이번 일처럼 분명 잘잘못은 있는 거니까요. 덮어놓고 싸잡아 욕하진 말자는 얘깁니다. 예컨대 막무가내 4대강 삽질에 올인 한, 3년째 예산안을 날치기로 통과시킨 한나라당이 이번 사태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얘길 반드시 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또.
 
2.
우리 사회는 민주주의를 매우 협소한 개념으로 사고하는 듯합니다. 표결과 과반, 그것이 민주주의의 전부인양 생각하고 행동하니 그렇습니다. 아니 그렇지 않고서야 어찌 매년 난장판이 돼 버리고 마는 국회를 이해할 수 있겠습니까. 과반수 의석만 차지하고 나면 무조건 밀어붙이기로 일관하는 정치권(여, 야 가릴 것 없이, 아니 어떻게 보면 둘이 공모한 작품일지도 모르지요. 한 순간에 야당에서 여당으로 또 여당에서 야당으로 바뀌기도 하지만 누가 여당이 됐든 늘 그런 식이었잖아요)이 장단을 넣고 여기에 어울려 춤추는 언론. 이번 예산안 처리만 봐도 그렇지요. 과반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고, 토론이나 심의과정은 대충대충. 그저 머릿수로 어찌해보려고만 하는 한나라당이나.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몸싸움과 고성, 온갖 던지기 등을 ‘폭력’에만 초점을 맞춰 보도하는 언론들(이런 모습들은 민주당이 과반을 차지하고 있던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뭐, 이미 예견된 거 아니었겠습니까.  
 
3.
민주주의는 결코 표결로 완성되는 게 아닙니다. 더구나 과반을 넘겼다고 해서 모든 것에 정당성이 부여되는 것도 아닙니다. 표결보다는 대화와 토론을 통한 합의를, 또 설령 과반, 아니 2/3가 넘더라도 소수 의견은 끝까지 존중하는 것, 그것이 민주주의인데 말이지요. “타협을 해도 성과가 없을 것”이라는 말이나 “고질적인 발목잡기”라고 비난을 한다 해도, 민주주의를 잘 못 알고 있는 것은 변함없는 사실인 것처럼. ‘막장국회’니 ‘난장판국회’니 하며 선정적인 제목과 사진을 쏟아내면서도 정작 무엇 때문에 이런 일이 생긴 건가,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 건가에 대해선 일언반구도 없는 언론도 결국 민주주의를 후퇴시키고 있는 겁니다. 이렇게 국회와 언론이 민주주의를 왜곡하고 애써 외면만 하니. 마치 모든 것을 표결에 붙이고 또 표결에서 과반이 넘으면 되지 않느냐, 아니 이도저도 안되면 쪽수로 밀어붙이자, 라고 생각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그렇게 하는 것이 마치 민주주의를 잘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처럼 매우 당당해합니다. ‘승자독식’이란 말은 ‘과반’과 동의어란 것. ‘표결’은 민주주의의 마지막 수단이란 것. 다시 생각하게 하네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12/10 22:11 2010/12/10 2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