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심심한 7번 국도, 해 넘어 도착한 곳 인구항(2010년 9월 18일)

 

꼭 한 달만이다. 날씨가 좋아 걷기로 했지만 곧 추석이고. 길게는 9일 가까이나 되는 연휴인지라 길이 많이 막힐 것 같아 연휴 시작에 갈까, 연휴 끝에 갈까 고민도 됐고. 이제 막 마르기 시작한 고추도 하루, 이틀은 더 바싹 말려야 안심이 될 것 같아 어쩔까 걱정도 됐지만. 또 며칠 전부터 속도 좋지 않고 조금만 무리해도 피곤해 아무것도 할 수 없이 잠만 쏟아지고 있지만. 이런 저런 일을 생각하다보면 언제 또 가려나 싶어, 이렇게라도 걸어야 운동이 되려나 싶어. 일단 가자, 새벽차를 탄다.

 

오색령을 넘어갈 때까진 썩 기분이 좋질 않았다. 또 이 이유 없이 싸우다 그리됐는데, 옆자리에 앉았던 사람이 꽤나 재밌었을 듯싶다. 보기엔 웃기지도 않는 걸로 둘이 싸우는 가 싶더니, 잠깐 섰다 가던 원통터미널에선 급기야 울기까지 하고. 그러다 구불구불 산길을 올라가는데 뭐가 좋은지 웃고 떠드니. 지겹기만 하진 않았을테다.   

 

새벽에 나선 탓에 세 시간이 넘게 차를 타고 왔는데도 양양에 도착하니 10시도 못됐다. 하루 종일 걸어 남애항이나 인구항까지 가고자 계획을 세웠는데. 둘러가고, 돌아보고 가도 대충 20km정도니 무리하지 않아도 되겠다, 싶어 느긋한 마음에 찬찬히 길을 나선다. 어딜 가도 읍내는 구경하지 않는 법인데. 터미널 주변이긴 해도 이곳저곳 돌아보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 시간 남짓이나 걸었을까. 전날 미리 사 놓은 김밥에 과일까지 바리바리 싸 가져와 버스 안에서 주섬주섬 먹었는데도 배가 고프다. 국도를 벗어나 오랜만에 한적한 시골길을 걸으며 호젓함을 느끼려면 아무래도 뭘 먹지 않으면 안 되겠다. 헌데 이 아침부터 밥하는 데가 있을까. 한참 휴가철이라면 걱정 없겠지만. 어딜 가나 때를 놓치면 밥 한 끼 먹기도, 하룻밤 묵어가기도 쉽지 않으니. 그래도 선사유적지 근처에 가니 아침밥을 하는 곳이 있어 청국장에 밥 한 그릇씩 뚝딱. 든든히 배를 채운다.

 

먹었으니 이제 힘을 내 길을 걸어야겠는데. 동해안 일주여행 하면 으레 떠오르는 길. 7번 국도. 하지만 그 7번 국도는 옛 명성에 통 걸맞지 않다. 해안선을 따라 구불구불, 느리게 내려가던 그 2차선 길은 다리미질 한 것 마냥 일직선, 게다가 바다는 저 멀찍이 떨어져 있어. 걷기엔 참 재미없고 심심하기만 한데. 당분간은 그 길을 걸을 수밖에 없어 힘이 나질 않는다.

 

그래도 어쩌겠나. 잔뜩 구름낀 흐린 날씨지만 벌써 노랗게 패인 벼들과 울긋불긋 코스모스들이 있어, 그 보는 재미에 겨우겨우 나간다. 또 수산항과 동호리에선 등나무 아래, 쉼터 의자에서 오랫동안 이 얘기, 저 얘기 이야기꽃을 피우며 쉬엄쉬엄 가니. 변덕스런 날씨 때문에 해가 나왔다, 들어갔다. 한 여름 불볕더위 못지않은 햇볕을 피해 쉬었다가, 선선한 가을바람에 또 걸었다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메밀전병에 막국수 한 그릇씩 후루룩 말아먹고는 다시 7번 국도 위에 서는데. 좀 전에 걷던 지방도하고는 달리 널찍한 갓길이 있어 둘이 나란히 걸을 수도 있지만. 바람과도 같이 질주하는 차들 때문에 손잡고 걷다, 앞서거니 뒤서거니 발뒤꿈치를 보며 걷다. 하조대에 이르러서는 안 되겠다, 바다에 발 담그고 한참을 놀다. 절벽위에 선 하얀 등대 보러 삼십분 넘게 되돌아가는 길을 걷기도 하고. 이리저리 심심함을 달래보니 아까보단 낫다.

 

그래도. 기사문항을 지나고부터 다시 만난 이 널찍한 도로. 게다가 흐린 날씨 탓에 다섯 시도 안 됐는데 어둑어둑. 두 번을 갈아 타야하는 수고를 덜기 위해 어찌됐든 인구항까진 가야 하기에. 열심히 걷기만 해야 해서. 참 재미없는 걷기다. 하지만 어째, 죽을 힘 다해 부지런히 걸을 수밖에.

 

결국 지나는 포구마다 그저 눈길 한 번씩만 돌리고. 조금만 돌아가면 이 심심한 길을 벗어날 수 있겠건만. 자동차 불빛이 하나, 둘 켜지는 걸 보며 급한 마음에 거의 뛰다시피. 다행히 조기 눈에 보이는 곳이 인구라고는 하지만. 겨우 숨 한번 돌려 쉬고 또 걸어. 겨우겨우, 강릉 가는 시외버스 표를 끊고 나니 금세 어둠이 짙게 깔리는데. 피곤함에, 배고품에, 맥이 탁 풀린다. 

 

* 다섯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양양 읍내에서 인구까지 약 23km.

 

* 가고, 오고  

춘천에서 양양은 한계령을 넘어가는, 홍천, 인제, 원통 등을 거쳐 가느라 시간이 다소 걸리는 시외버스를 타거나 미시령 터널을 지나가는, 중간에 들르는 곳이 없어 조금 빠르긴 하지만 속초에서 다시 버스를 갈아타고 가는 방법이 있다. 인구에서는 도로 양양으로 나오는 것보다는 강릉으로 가서 무정차 춘천행 시외버스를 타는 게 좋다. 양양에서보다 늦게까지 있을 뿐만 아니라 자주 있기 때문이다.

 

* 잠잘 곳

역시 널린 게 먹을 곳, 잠잘 곳이다. 너무 많아 탈이라면 과한 표현인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3/27 12:10 2012/03/27 12:10
반나절 걷기, 양양 물치항에서 읍내까지(2010년 8월 19일) 
 
애당초 1박 2일로 계획을 세웠는데. 어찌어찌하다보니 반나절, 아니 겨우 세 시간 남짓밖에 걷질 못했다. 몸도 무겁고 머리도 아프고. 아무래도 밤늦도록 마셔댄 술에. 아침나절부터 설악에 올랐던 피로가 쌓인 탓이렷다. 멀리 양양 읍내가 보이고. 6시 40분, 춘천으로 가는 차를 타기 위해선 서둘러야 하는데도 발걸음은 무겁기만 하다. 간단히 요기라도 하고 버스에 올라야 하는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서둘러야 할 일이 없기에 한계령으로 향했다. 또 내일이면 걷다 만날 터이지만 낙산도 들렀고, 물치항에서는 아예 자리를 잡고 앉아 밤늦도록 술을 마시며 이야기꽃을 피웠다. 그리고는 오늘 아침. 술이 덜 깬 상태에서 설악엘 올랐으니. 뭐. 남들이야 산보했다, 싶을 만큼만 걸어 올랐지만. 그래도 올라갔다. 마지막으로 헤어지기 전. 맛좋은 점심을 먹고 다시 물치항으로. 그렇게 오랜만에 만난 선배와 헤어지고 길을 나서는데.
 
 
 
 
 
 
 
 
 
 
 
 
 
 
 
휴가철이 다 됐나. 만나는 해수욕장마다 파라솔이니 그늘막이니 이것저것 많이는 보이는데. 그것들 숫자만큼이나 되려나. 통 사람이 없다. 하긴 빠른 데는 벌써 고등학교가 개학을 했고. 다음 주면 대학들도 학기를 시작하니. 또 절기상으로도 처서(處暑)니 이제 곧 선선한 바람이 불어올 터이지. 허나 무더위는 이제 막 절정을 향해 치닫고 있는 듯. 다행히 먹구름이 햇살을 가려주고 있긴 하지만, 무지하게도 덥고. 짧기 만한 휴가를 즐기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간 이들에겐 참 고역이 아닐 수 없겠다. 어느 나라들처럼 여름휴가가 한 달씩 이기는커녕 이 눈치, 저 눈치 봐가며 고작 사나흘. 사람에 치이고 차에 치이고. 휴가이긴 한 건가. 
 
걷다, 쉬다. 또 걷다, 쉬다. 보이는 마을마다 들러 이것저것 먹기도 하고 둘러보기도 하고. 산만한 덩치로 따라오는 개를 피해 신호등도 무시하고 뛰다시피 곤충박물관으로 피신하기도 하고. 걷기 좋은 소나무 숲길을 보면서도 쭉 가던 길을 걷다. 후덥지근하지만 그래도 바닷바람이라고 그나마 나은 해변 길을 걷다. 남대천을 따라 늘어선 파란 잔디 밭, 송이 머시기 머시기 공원도 멀건이 바라보기만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멀리 읍내가 보이자, 시계바늘이 6시를 향하자, 당초 내일 하루 더 머물면서 양양을 훑어보기로 했지만. 무거운 발걸음에, 무더운 날씨에. 더는 말도 없이 서둘러 시외버스 터미널로 향하는데. 헉. 시외버스 요금이 또 올랐단다. 울며 겨자 먹기로 표를 끊을 수밖에 없는데. 이거야 원. ‘친서민정책’은 다 어디 있는 거지. 
 
* 네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물치항에서 양양 읍내까지 약 10km.
 
* 가고, 오고
물치항은 행정구역상 양양에 속해 있으나 속초를 경유해 가는 편이 빠르고 편하다. 하지만 그게 다 산을 관통해 만든 미시령터널 때문인지라 마음은 편치 않다. 구불구불 한계령을 넘는 길은 시간도 많이 걸리고 몸도 피곤하지만 설악 경치를 볼 수 있으니. 서둘러 가야할 일만 없다면 더 나은 길이긴 한데. 이 역시 산허리를 잘라내 만든 길이라 역시 마음이 편치 않다. 
 
* 잠잘 곳
당분간 잠잘 곳, 먹을 것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되겠다. 조금만 가면 해수욕장에 항구가 연이어 나오니 말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2/02 13:16 2012/02/02 1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