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지금도 모임이 이어지고 있는지 모르겠지만(혹 춘천으로 이사를 한 후로 혼자만 빠지게 된 건 아닌지도 모르겠네요). 한때는 계절이 바뀔 때마다 한 번씩은 만나던 대학 동기들이 있습니다. 학교를 다닐 때도 그랬지만 졸업 후에도 그렇게 얼굴을 보던 친구들이 있었던 게지요. 한 번 모이면 겨우 두 자리 숫자를 채우기가 어려웠으니. 많아야 여섯, 일곱쯤 될까요.  그래도 서로 서로 연락들을 했고, 만나서는 삼겹살에 소주도 걸치고, 밤늦도록 PC방에서 게임도 했었습니다. 또 지난 흔적들을 떠올리며 함박웃음을 짓기도 하고, 하나, 둘 늘어가는 자식 자랑에 말소리를 높이기도 하고, 엊그제 누가 또 홈런을 쳤네, 주인공 누가 죽었네 하며 시답잖은 얘기들도 간혹 하곤 했지요. 그리고 툭하면 하는 푸념들, 자고 일어나면 뛰는 집 값 얘기, 얼마 전 새로 산 자동차 자랑, 하루에도 몇 번씩이나 사고팔고 하는 주식 소식들을 듣기만 했지,

 

‘노동자가 골리앗 크레인에 올라가 100일 넘게 고독과 싸우며 농성하고, 10년이나 묵은 해고 때문에 노동자들이 굴뚝에 올라가 목숨을 건 농성을 두 달이나 하다가 그 굴뚝에서 새해를 맞아야 하는 일’(“노사가 동등하다고?” p.34)

 

‘휠체어를 타고 다니면서 악세사리를 팔아 생계를 유지하던 장애인이 서울시장 앞으로 “서울 시내 거리의 턱을 없애주십시오”라는 유서를 남기고 자살’(“함부로 충고할지 말지어다” p.42)

 

과 같은 얘기들은 통 화제(話題)가 되질 못했습니다. 명색이 노동조합에서 활동을 한다고 하는 놈이 있으면 무얼 하겠습니까. 뭐, 변명 아닌 변명이겠지만. 지금도 그렇고 그때는 더 그랬지만. 어디서고 들려오는 소리들이란 게. ‘집단이기주의’니 ‘노동귀족’이니 하는, 가진 자들과 족벌 언론사가 죽이자, 덤벼들고 만들어낸 되도 않는 비난들뿐이었으니까(다들 알만한 대기업에 다녔던 것 때문일까요. 이마저도 술안주로 올라오지 못했네요). 선뜻 말을 꺼내기가 쉽지 않았던 탓도 있었지만. 그리고 또 내로라하는 기업에, 중앙정부 공무원들을 하고 있어서 인지. 노동조합 조합원인 친구들이 한 명도 없었라구요.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함께 공부했을 땐 파이를 들기도 했고. 지랄탄이 날라드는 종로 한복판을 함께 휘젓고 다니고 했던, 그 동기들과도 제대로 이야기 한 번 하지 못했으니. 쥐구멍이라도 찾아야겠지요. 헌데 가만 생각해보면, 그래도 한 번은 얘기한 적이 있었으니. 그것마저 연봉 1억원이 넘는 조종사들이 파업을 한다고(“조종사파업, 당신은 지지했습니까”, “맞아 죽을 각오로 하는 ‘친조종사파업’ 선언” pp.87-98) 침 튀기며 목소리를 높이던 것이었으니(물론 굉장히 수세적으로, 또 혼자서 맞받아치느라 힘이 들었지만). 가만이나 있을 걸. 괜스레 말을 꺼냈나 싶었습니다.

 

이제 곧 연말입니다. 모르긴 몰라도 곧 하루에도 몇 개씩 핸드폰 문자들이 오겠지요. 대게는 집단문자라고 하나요. 딱 틀에 맞춰진 안부인사와 덕담들이기에. 한 번 쓱 보고는 곧 삭제하기만 했는데. 그래요. 그런 문자들, 울 동기들도 매년 그렇듯이 또 보내겠지요. 하지만 올 해엔 또 왔네, 하고 흘겨 보내지 말고 답 문자 하나씩은 보내야겠습니다. 아니 이번엔 먼저 문자를 보내는 것도 좋겠지요. ‘다들 잘 살고 있는가, 언제 한 번 얼굴이나 보고 사는 얘기 하세, 라구요. 그리고 올 해가 가기 전에, 바쁘더라도 책 한권씩은 읽어보자, 해야겠습니다. <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과 같은 책들을 얘기하면서 말이지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11/04 22:44 2010/11/04 2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