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지금도 모임이 이어지고 있는지 모르겠지만(혹 춘천으로 이사를 한 후로 혼자만 빠지게 된 건 아닌지도 모르겠네요). 한때는 계절이 바뀔 때마다 한 번씩은 만나던 대학 동기들이 있습니다. 학교를 다닐 때도 그랬지만 졸업 후에도 그렇게 얼굴을 보던 친구들이 있었던 게지요. 한 번 모이면 겨우 두 자리 숫자를 채우기가 어려웠으니. 많아야 여섯, 일곱쯤 될까요.  그래도 서로 서로 연락들을 했고, 만나서는 삼겹살에 소주도 걸치고, 밤늦도록 PC방에서 게임도 했었습니다. 또 지난 흔적들을 떠올리며 함박웃음을 짓기도 하고, 하나, 둘 늘어가는 자식 자랑에 말소리를 높이기도 하고, 엊그제 누가 또 홈런을 쳤네, 주인공 누가 죽었네 하며 시답잖은 얘기들도 간혹 하곤 했지요. 그리고 툭하면 하는 푸념들, 자고 일어나면 뛰는 집 값 얘기, 얼마 전 새로 산 자동차 자랑, 하루에도 몇 번씩이나 사고팔고 하는 주식 소식들을 듣기만 했지,

 

‘노동자가 골리앗 크레인에 올라가 100일 넘게 고독과 싸우며 농성하고, 10년이나 묵은 해고 때문에 노동자들이 굴뚝에 올라가 목숨을 건 농성을 두 달이나 하다가 그 굴뚝에서 새해를 맞아야 하는 일’(“노사가 동등하다고?” p.34)

 

‘휠체어를 타고 다니면서 악세사리를 팔아 생계를 유지하던 장애인이 서울시장 앞으로 “서울 시내 거리의 턱을 없애주십시오”라는 유서를 남기고 자살’(“함부로 충고할지 말지어다” p.42)

 

과 같은 얘기들은 통 화제(話題)가 되질 못했습니다. 명색이 노동조합에서 활동을 한다고 하는 놈이 있으면 무얼 하겠습니까. 뭐, 변명 아닌 변명이겠지만. 지금도 그렇고 그때는 더 그랬지만. 어디서고 들려오는 소리들이란 게. ‘집단이기주의’니 ‘노동귀족’이니 하는, 가진 자들과 족벌 언론사가 죽이자, 덤벼들고 만들어낸 되도 않는 비난들뿐이었으니까(다들 알만한 대기업에 다녔던 것 때문일까요. 이마저도 술안주로 올라오지 못했네요). 선뜻 말을 꺼내기가 쉽지 않았던 탓도 있었지만. 그리고 또 내로라하는 기업에, 중앙정부 공무원들을 하고 있어서 인지. 노동조합 조합원인 친구들이 한 명도 없었라구요.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함께 공부했을 땐 파이를 들기도 했고. 지랄탄이 날라드는 종로 한복판을 함께 휘젓고 다니고 했던, 그 동기들과도 제대로 이야기 한 번 하지 못했으니. 쥐구멍이라도 찾아야겠지요. 헌데 가만 생각해보면, 그래도 한 번은 얘기한 적이 있었으니. 그것마저 연봉 1억원이 넘는 조종사들이 파업을 한다고(“조종사파업, 당신은 지지했습니까”, “맞아 죽을 각오로 하는 ‘친조종사파업’ 선언” pp.87-98) 침 튀기며 목소리를 높이던 것이었으니(물론 굉장히 수세적으로, 또 혼자서 맞받아치느라 힘이 들었지만). 가만이나 있을 걸. 괜스레 말을 꺼냈나 싶었습니다.

 

이제 곧 연말입니다. 모르긴 몰라도 곧 하루에도 몇 개씩 핸드폰 문자들이 오겠지요. 대게는 집단문자라고 하나요. 딱 틀에 맞춰진 안부인사와 덕담들이기에. 한 번 쓱 보고는 곧 삭제하기만 했는데. 그래요. 그런 문자들, 울 동기들도 매년 그렇듯이 또 보내겠지요. 하지만 올 해엔 또 왔네, 하고 흘겨 보내지 말고 답 문자 하나씩은 보내야겠습니다. 아니 이번엔 먼저 문자를 보내는 것도 좋겠지요. ‘다들 잘 살고 있는가, 언제 한 번 얼굴이나 보고 사는 얘기 하세, 라구요. 그리고 올 해가 가기 전에, 바쁘더라도 책 한권씩은 읽어보자, 해야겠습니다. <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과 같은 책들을 얘기하면서 말이지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11/04 22:44 2010/11/04 22:44

사용자 삽입 이미지1.

‘바보 노무현’이 저 세상으로 간지 그새 60일이 됐네요. 믿기지 않았던 그 토요일의 아침이 엊그제 같기만 한데 말입니다. 세상사는 일이 다 그런가봅니다. 만남이 있으면 헤어짐이 있고, 헤어짐 뒤엔 곧 잊힘이 있고.

 

사실 ‘바보 노무현’에 대한 기억은 그다지 유쾌하지만은 않았습니다. 다른 이들이 그를 세상에 알렸던 청문회와 김영삼을 향한 삿대질, 안될 줄 알면서도 또 부산으로 향하던 모습들을 기억하지만 어찌 된 게 그런 일들이 있었기나 한 것 마냥 통 기억이 없으니까요. 또 그를 한 나라의 대통령이라는 자리에까지 오르게 했던 돼지저금통과 노란색의 물결도 그저 잘 찍은 한 편의 영화를 보는 것만 같았으니까요.

 

‘오늘 밤이 지나면 우리는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납니다. 성별 학력 지역의 차별 없이 모두가 자기의 꿈을 이루어가는 세상 ..... 우리 아이들이 커서 살아가야 할 세상을 그려보세요. 행복한 변화가 시작 됩니다’

 

무엇이 그토록 그를 믿게 만들었던 걸까요. 동창회 모임 때 말고는 얼굴보기 힘든 동기들 전화에 시달렸던 적이 있었습니다. 12월의 몹시도 추웠던 그 날, 마지막 유세를 위해 종로를 거쳐 광화문 교보문고 앞을 지나 미 대사관 근처까지 가는 길에 말이죠. 온통 북새통에 목소리도 들리지도 않는데 이쪽에 뭐라 하든 상관없이 연신 ‘2번’을 외치던 전화를 말입니다.

 

2.

“그러므로 미국의 줄기찬 호전성만큼이나 중요한 일은 우리의 운명이고, 파병을 결정한 우리 정부다. 노무현 정부는 왜 우리가 그에게 허락한 국가권위를 이토록 쉽사리 남용하는지 알 수 없다. 권력이란 무엇인가?” p.297 「피 묻은 국익 (2003)」

 

“노인과 부녀자, 어린이들까지 포함된 서민들의 평화집회에 부안 군수를 위해 정부수반이 보내준 경찰은 특수진압 전투경찰들이었다. 어떤 정권도 이룩하지 못한 핵폐기장을 자발적으로 건설하겠다는 군수가 나타나자 그토록 갸륵했을까.” p.242 「‘핵’ 깡패들 (2003)」

 

“농부들이 논을 포기하게 만든 것은 신자유주의를 내건 열강들의 시장개방 압력에 정부가 너무나 쉽게 굴복했기 때문입니다. 쌀농사를 포기하겠다는 정부의 태도는 이 땅에서 이 땅의 산물을 취하며 오래오래 살겠다는 태도가 아닙니다. 나머지 이야기는 다 허구입니다.” p.29 「논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2006)」

 

“집회가 절정에 이르던 오후 녘, 조용히 밀물이 차 들어오기 시작했다. ‘생금(生金)밭’ 갯벌이 진짜 보석처럼 햇살에 반짝거렸다. 에루아 에루얼싸, 눈물났다. 에루아 에우얼싸. 우리가 부른 노래와 춤은 새만금이 그냥 죽도록 포기하지 않겠다는, 새로운 싸움을 다짐하는 결의의 표현이기도 했다.” p.108 「에루아 에루얼싸, 새만금 (2006)」

 

글을 쓴 이의 면면을 봐도 그렇고 책을 몇 장만 넘겨봐도 영락없는 자연 평화 생태 환경 산문집일 뿐이건만 읽는 내내 왜 ‘바보 노무현’이 자꾸만 떠오른 걸까요. 애초 기대라는 것조차를 하지 않았기에 큰 실망을 하진 않았지만, 그래도 그렇지. 명분 없는 전쟁에 나서고, 그 전쟁에 우리 젊은이가 죽어가도 꿈쩍하지 않고, 농민이 맞아 죽어도, 노동자가 제 몸에 불을 살라도 FTA는 꼭 해야 한다, 하고, 핵쓰레기를 파묻을 곳은 찾고 또 찾고, 기어이 갯벌을 도룡뇽의 숨통을 끊어 놓는 데는 당체 씁쓸함을 지울 수가 없었답니다. 또 129일이라는 시간동안 그 높은 크레인 위에서 삶과 죽음을 넘나들다 끝내는 제 목을 매달고 만 한 노동자와 그런 그이가 몹시도 보고파 크레인이 굽어보는 도크에 몸을 던진 또 한 노동자에게 ‘죽음이 투쟁의 수단이 되는 시대는 지났다’며, 연민의 눈조차 건네지 않았던 데는 마침내 분노가 치밀어 올랐습니다. 그래서일까요. ‘바보 노무현’에 대한 기억이 그다지 유쾌하지만은 않은 까닭이요.

 

3.

‘바보 노무현’이 부엉이 바위에서 몸을 던진 그 토요일의 주말이 지나고 월요일 새벽, 여기 춘천에도 시민분향소가 세워졌더랬습니다. 헌데 급작스레 만들어진 탓도 있었겠고, 아직 출근 전이라는 시간 탓도 있었겠지만, 분향소엔 두 어 사람만이 있는 게 아니겠습니까. 또 분향소 주위엔 ‘바보 노무현’을 상징하는 노란색 메모지가 수십 장 걸려있었지만 정작 아무 글도 쓰여 있지 않았구요. 아무튼 조촐하다 못해 썰렁할 지경이었습니다. 그래 자전거를 타고 가는 길이었기에, 또 ‘바보 노무현’에 대한 기억이 그다지 유쾌하지만은 않지만 잠시 멈추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는 그저 웃고 있는 ‘바보 노무현’을 한참 바라보다 왜 담배를 끊었을까, 뜬금없는 자책 아닌 자책 후에 조용히 자전거에 올랐더랬습니다. 아, 바람에 팔랑거리던 그 노란 빈 종이에 한마디 적은 후에 말입니다. ‘그래도 노짱이 그립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07/23 14:13 2009/07/23 14:13